[下死胎][하사태] [죽은 태아를 나오게 하는 법]
胎死則母舌必黑 外證指甲靑黑 心腹脹悶 口中極臭,
平胃散方見五藏一貼 加朴硝20g 酒水相半煎服 其胎卽化血水而下(得效).
태아가 죽으면 임신부의 혀가 반드시 검어지고 손톱이 검푸르며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답답해 하며 입에서 냄새가 몹시 난다.
이때에는 평위산(平胃散) 1첩에 박초 20g을 더 넣고 술과 물을 각각 절반씩 두고
달여 먹으면 죽은 태아는 핏물처럼 되어 나온다[득효].
雙胎一死一生 服此則死者出生者安,
蟹爪一升 大甘草20g半生半炒
東流水十盞煎至三盞 去滓 入阿膠10g半生半炒
令消化分二三次頓服卽出, 藥竈宜東向 用葦爲薪(類聚).
쌍태아인 경우에 하나는 죽고 하나가 살았을 때에는
다음의 약을 먹으면 죽은 태아는 나오고 산 태아는 무사할 수 있다.
게발톱 1되, 굵은 감초 20g(절반을 생것, 절반을 닦은 것)을
강물 10잔에 넣고 끓이다가 3잔이 되면 찌꺼기를 버리고
갖풀(아교, 절반을 생 것, 절반을 구운 것) 80g을 넣고 녹여서
두세번에 나누어 먹으면 죽은 태아가 곧 나온다.
이 약을 달일 때 동쪽으로 향한 아궁이라야 하고 불은 갈대로 때는 것이 좋다[유취].
死胎着脊 不出氣欲死 猪脂 白蜜各1升 醇酒2升, 爲合煎取2升 分溫兩服卽下(良方).
죽은 태아가 등쪽에 붙어서 나오지 않아 임신부가 숨이 끊어지려는 데는
돼지기름, 꿀 각각 2홉 반과 좋은 술 5홉과 함께 달여 5홉이 되면
두번에 나누어 따뜻하게 하여 먹으면 곧 나온다[양방].
死胎不下 宜用佛手散 三退散二方見上 保産 香桂散 桂香丸 奪命丸 烏金散 催生散方見上.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는 데는 불수산(佛手散), 삼퇴산(三退散), 향계산(香桂散),
계향환(桂香丸), 탈명환(奪命丸), 오금산(烏金散), 최생산(催生散) 등을 쓰는 것이 좋다.
胎動不安 甚者 當以母形色 察之, 母面赤 舌靑者母活子死, 面靑舌赤 口中沫出者 母死子活.
唇舌俱靑兩邊 沫出者 母子俱死(良方).
孕婦腹痛 胎不動 欲知生死 以手摸之 冷在何面 冷者爲死 溫者爲生(脈經).
胎死腹中 則産母面靑指甲靑 脣舌靑 口臭, 如兩臉微紅 則母活子死(丹心).
孕婦 舌黑者子已死矣 全以泄爲證驗 佛手散救之(回春).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胞衣不下][포의불하] (0) | 2022.01.15 |
---|---|
[下死胎 一方][하사태] (0) | 2022.01.14 |
[過月不産][과월불산] (0) | 2021.12.30 |
[外貼法][외첩법] (0) | 2021.12.25 |
[禳法][양법] (0) | 2021.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