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辟穀絶食方][피곡절식방]

[음식을 먹지 않고도 살 수 있게 하는 방법]

 

年荒穀貴 或遠方水火不便 或修行人欲休粮 宜服此,

黑豆5升淘洗蒸三遍 晒乾去皮 爲末

大麻子1.8kg(一作5升)湯浸一宿漉出晒乾證三遍,

令口開去皮爲末 用糯米粥 合和搗勻成團 如拳大

再入甑蒸之 從夜至子住火 至寅取出 磁器盛盖 勿令風乾,

每服1~2塊 以飽爲度 不得喫一切物,

第一頓7日不食, 第二頓7 7日不食,

第三頓100日不食, 第四頓 永不飢,

容貌可勝 更不燋悴 如渴則飮大麻汁 以滋潤藏府,

若要喫物 服葵菜湯 解之 或葵子3合杵碎 煎湯 冷服亦可.

흉년이 들어 식량이 귀한 때와 먼 곳에 가서 밥을 지어 먹기가 불편한 때와

도를 닦으러 다니면서 음식을 먹지 말아야 할 때 쓰면 좋다.

검정콩[黑豆] 5되를 일어 씻어서 3번 쪄서 햇볕에 말려 껍질을 버린 다음 가루낸다.

그리고 역삼씨[大麻子] 3되(5되라고 한데도 있다)를

끓인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 3번 터지게 쪄서 껍질을 버리고 가루낸다.

이것들을 함께 찹쌀죽에 반죽하여 주먹만하게 단자[團]를 만들어 시루에 넣고

해질 무렵부터 밤 11시 또는 새벽 1시까지 찐다.

이것을 새벽 3-5시에 꺼내서 사기그릇에 담고 바람에 마르지 않게 뚜껑을 막아둔다.

한번에 1-2덩어리씩 배가 부르도록 먹고 일체 다른 것을 먹지 말아야 한다.

한번 먹으면 7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있고

2번 먹으면 49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있으며

3번 먹으면 1백 일 동안 음식을 먹지 않을 수 있고

4번 먹으면 영영 배가 고프지 않고 얼굴이 고와지면서 여위지도 않고 피곤해지지도 않는다.

만일 갈증이 나면 역삼씨즙을 먹어서 장부(藏府)를 자양[滋]하고 눅여주어야[潤] 한다.

만일 무엇을 먹고 싶을 때에는 아욱국을 먹어서 풀거나

아욱씨(규자) 3홉을 짓찧어 달여서 식혀 먹으면 좋다.

 

一方 有白茯苓200g

다른 한 가지 처방에는 흰솔풍령 200g이 들어있다[류취].

'[雜病篇] > [雜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辟穀不飢方][피곡불기방]  (0) 2021.04.18
[千金麨][천금초]  (0) 2021.04.17
[荏子][임자]  (0) 2021.04.15
[蔓菁子][만청자]  (0) 2021.04.14
[靑梁米][청량미]  (0) 2021.04.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