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難治 可治證][난치 불치증]

 

帝曰 寒熱瘰癧 在於頸腋者 皆何氣使然?

岐伯曰 此皆鼠瘻 寒熱之毒氣 留於脈而不去者也.

帝曰 決其生死奈何?

岐伯曰 反其目視之 其中有赤脈 上下貫瞳子

見一脈 一歲死 見一脈半 一歲半死 見二脈 二歲死

見二脈半 二歲半死 見三脈 三歲而死

見赤脈不下貫瞳子 可治也(靈樞 寒熱 第七十).

황제(黃帝)가 목과 겨드랑이에 나력이 생겨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그것은 한열(寒熱)의 독기가

경맥에 머물러 있으면서 없어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황제가 죽겠는가 살겠는가 하는 것은 어떻게 알 수 있는가고 물었다.

기백이 “환자의 눈을 뒤집어보아

벌건 핏줄이 눈동자의 위에서 아래로 꿰뚫고 지나갔는가를 보고 안다.

핏줄이 하나 있으면 한 해 만에 죽을 수 있고

하나 반이 있으면 한 해 반 만에 죽을 수 있으며

2개가 있으면 두 해 만에 죽을 수 있고

2개 반이 있으면 두 해 반 만에 죽을 수 있으며

3개가 있으면 세 해 만에 죽을 수 있다.

벌건 핏줄이 눈동자를 꿰뚫고 지나가지 않았으면 치료할 수 있다”고 대답하였다[영추].

 

婦人 患瘰癧 經調及經閉 無潮熱者 可治,

經閉 有潮熱者 或咳者 死.

玉燭散 治瘰癧通經 日服1貼 7~8日 自消.

부인들이 나력이 생겼으나 월경이 고르로운 것[調]과

월경이 끊어졌다고 하여도 조열(調熱)이 나지 않는 것은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월경이 끊어지고 조열이 나며 혹 기침이 나는 것은 죽을 수 있다.

옥촉산(처방은 포문에 있다)은 나력 때 월경이 끊어진 것을

치료하는 약인데 날마다 1첩씩 7-8일 동안 먹으면 저절로 낫는다.

 

男子患瘰癧 有潮熱有咳 乃瘰癧傷證之標也.

故勞瘵類 有曰 腹中有塊 頸上有核 最爲難治(入門).

남자가 나력 때 조열이 있고 기침을 하는 것은

나력으로 폐가 상하여 악화된 증상이다.

이렇게 되어 생긴 노채 때 뱃속에 뜬뜬한 덩어리가 생기고

목에 멍울이 생긴 것이 제일 치료하기 어렵다[입문].

 

瘰癧 延及胸中 中府 雲門 肺經部分者死(得效).

나력이 폐경(肺經)인 가슴의 중부혈(中府穴)과 운문혈(雲門穴)까지 퍼지면 죽을 수 있다[득효].

 

 

 

'[雜病篇] > [諸瘡]'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癭瘤][영류]  (0) 2020.12.13
[結核][결핵]  (0) 2020.12.13
[糝貼藥][삼첩약]  (0) 2020.12.12
[外治法][외치법]  (0) 2020.12.12
[治瘰癧一方][치나력일방]  (0) 2020.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