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氣交變][기교변]
黃帝問曰.
五運更治.上應天期.
陰陽往復.寒暑迎隨.
眞邪相薄.?外分離.
六經波蕩.五氣傾移.
太過不及.專勝兼?.
願言其始而有常名.
可得聞乎.
黃帝께서 問하여 가라사대,
"五運이 번갈아 治함에 위로 天朞(一年의 天氣)에 相應하고,
陰陽이 往復함에 寒暑가 迎隨往來하며,
眞氣와 邪氣가 相薄相搏함에 內外가 分離되고,
六經이 波蕩함에 五藏氣가 傾移하며,
太過하고 不及함에 專勝(太過하면 本氣가 獨勝하여 他氣를 勝함)하고 兼病(不及하면 他氣가 本氣를 兼病함)하니,
願컨대 그 始를 言하여 常名을 두고 싶은데,
可히 얻어 들을 수 있겠습니까?"
岐伯稽首再拜.對曰.
昭乎哉問也.
是明道也.
此上帝所貴.先師傳之.
臣雖不敏.往聞其旨.
岐伯이 稽首하며 再拜하고 對答하여 가로되,
"昭하시도다, 問하심이여!
이는 明道입니다.
이것은 上帝께서 貴히 여기신 바로 先師께서 傳하여 주신 것인데,
臣이 비록 不敏하오나 그 旨를 往時에 聞하였습니다."
帝曰.
余聞得其人不?.是謂失道.
傳非其人.慢泄天?.
余誠菲?.未足以受至道.
然而衆子哀其不終.
願夫子保於無窮.流於無極.
余司其事.則而行之.奈何.
帝께서 가라사대,
"제가 듣건대 그 사람을 得하고도 敎하지 아니하면, 이는 道를 失함이 되며,
그 사람이 아닌데도 傳하면 天寶를 慢泄함이라 하니,
제가 참으로 菲德한지라 足히 至道를 受할 만하지는 못하겠으나,
그러나 衆子가 그 終하지 못함을 哀惜하게 여기나니,
願컨대 夫子께서 無窮한 데에 保하시고 無極한 데에 流傳되게 하시면,
제가 그 일을 司하여, 則하여 이를 行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합니까?"
岐伯曰.
請遂言之也.
上經曰.夫道者.上知天文.下知地理.中知人事.
可以長久.此之謂也.
岐伯이 가로되, 請컨대 모두 말씀드리겠습니다.
[上經]에 가로되, '무릇 道는 上으로 天文을 알고
下로 地理를 알며 中으로 人事를 알아야, 可히 써 長久한다.‘
함이 이를 이름입니다."
帝曰.何謂也.
帝께서 가라사대, "무엇을 이름입니까?“
岐伯曰.
本氣位也.位天者天文也.
位地者地理也.通於人氣之變化者人事也.
故太過者先天.不及者後天.
所謂治化而人應之也.
岐伯이 가로되,
"氣의 位에 根本함이니 天에 자리한 것은 天文이며,
地에 位한 것은 地理이며, 人氣의 變化에 通한 것은 人事입니다.
그러므로, 太過한 것은 天時보다 先하여 至하고,
不及한 것은 天時보다 後하여 至하니,
治化(運氣 主治로 發生하는 氣候變化)함에 人이 이를 應한다고 이르는 바입니다."
帝曰.五運之化.太過何如.
帝께서 가라사대, "五運의 化가 太過하면 어떠합니까?"
岐伯曰.
?木太過.風氣流行.脾土受邪.
民病?泄食減.體重煩寃.腸鳴腹支滿.
上應?星.甚則忽忽善怒.眩冒?疾.
岐伯이 가로되,
"歲木이 太過하면 風氣가 流行하여 脾土가 邪를 受하니,
民은 손泄, 食減, 體重, 煩寃 ,腸鳴, 腹支滿등을 앓으며,
上으로는 歲星(木星)에 應하는데, 甚하면 忽忽히 善怒하며,
眩冒, 癲疾합니다(頭眩, 目暈 등의 頭部 疾患을 앓습니다).
化氣不政.生氣獨治.
雲物飛動.草木不寧.
甚而搖落.
反脇痛而吐甚.
衝陽絶者.死不治.上應太白星.
?火太過.炎暑流行.金肺受邪.
民病?.少氣?喘.血溢血泄注下.
?燥耳聾.中熱肩背熱.上應熒惑星.
甚則胸中痛.脇支滿脇痛.膺背肩胛間痛.
兩臂?痛.身熱骨痛.而爲浸淫.
化氣(土氣)가 布政하지 못하고 生氣(木氣)가 獨治하여,
雲物이 飛動하고 草木이 寧하지 못하며,
甚하면 金氣의 來復으로 搖落합니다.
사람은 도리어 脇痛하고 吐가 甚한데,
萬若 足陽明胃脈인 衝陽脈이 絶하면 死하니
治할 수 없으며,上으로는 太白星에 應합니다.
歲火가 太過하면 炎暑가 流行하여 肺金이 邪를 受하니,
民은 ?, 少氣, 咳喘 ,血溢, 血泄注下,
익燥, 耳聾, 中熱, 肩背熱(等)을 앓으며, 上으로는 熒惑星에 應하는데,
甚하면 胸中痛, 脇支滿 ,脇痛, 膺背肩胛間痛,
兩臂內痛, 身熱膚痛하며 浸淫이 됩니다.
收氣不行.長氣獨明.
雨水霜寒.上應辰星.
上臨少陰少陽.
火燔?.?泉?.物焦槁.病反?妄狂越.?喘息鳴.
下甚血溢泄不已.
太淵絶者.死不治.上應熒惑星.
收氣(金氣)가 行하지 못하고 長氣(火氣)가 獨明하여,
雨氷 霜寒하며, 上으로는 辰星(水星)에 應합니다.
上에 少陰君火나 少陽相火의 氣가 司天하면,
火가 燔열하고 水泉이 학하며, 物이 焦枯합니다.
사람은 病이 도리어 섬妄, 狂越, 咳喘息鳴하며,
下甚하면 血이 溢泄하기를 그치지 아니하며,
(萬若 手太陰肺脈인 太淵脈이 絶하면 死하니 治하지 못하며,
上으로는 熒惑星에 應합니다.
?土太過.雨濕流行.腎水受邪.
民病腹痛?厥.意不樂.體重煩寃.
上應鎭星.甚則肌肉萎.
足?不收.行善?.脚下痛.
飮發中滿.食減.四支不擧.
歲土가 太過하면 雨濕이 流行하여 腎水가 邪를 受하니,
民의 病은 腹痛, 淸厥, 意不樂 ,體重, 煩寃하며,
上으로는 鎭星(土星)에 應하는데, 甚하면 肌肉이 萎하고,
足이 위하여 收하지 못하고, 行함에 잘 계하며, 脚下痛하고,
飮으로 中滿을 發하며 食減하고, 四支를 擧하지 못합니다.
變生得位.藏氣伏.
化氣獨治之.泉涌河衍.
?澤生魚.風雨大至.
土崩潰.鱗見于陸.
病腹滿?泄.腸鳴反下甚.
而太谿絶者.死不治.
上應?星.
變이 得位(한 때인 土旺之節)에 發生하면, 藏氣(水氣)가 伏하고,
化氣(土氣)가 獨治하여 泉湧河衍(샘이 솟구치고 河川이 범람함)하고,
학澤에 魚가 生하며, 風雨가 大至하여,
土가 崩潰하며, 鱗魚이 陸地에 나타납니다.
사람은 病이 腹滿, 당泄 ,腸鳴하고, 도리어 下甚하는데,
萬若 足少陰腎脈인 太谿脈이 絶하면 死하니 治하지 못하며,
上으로는 歲星(木星)에 應합니다.
?金太過.燥氣流行.肝木受邪.
民病兩脇下少腹痛.目赤痛?瘍.耳無所聞.
肅殺而甚.則體重煩寃.胸痛引背.
兩脇滿且痛.引少腹.上應太白星.
甚則喘?逆氣.肩背痛.
尻陰股膝???足皆病.上應熒惑星.
收氣峻.生氣下.草木斂.蒼乾凋隕.
歲金이 太過하면 燥氣가 流行하여 肝木이 邪를 受하니,
民의 病은 兩脇下와 少腹이 痛하며, 目赤痛하고,
자瘍하며, 耳에 들리는 바가 없습니다.
肅殺이 甚하면 體重하며 煩寃하고, 胸이 痛하면서 背가 땅기며,
兩脇이 滿하며 또 痛하고 少腹이 땅기며,
上으로는 太白星(金星)에 應하는데, 甚하면 喘咳逆氣하며,
肩背가 痛하고, 尻, 陰, 股, 膝, 비, 천, 足이 모두 痛하며,
上으로는 熒惑星(火星)에 應합니다.
收氣가 峻하고 生氣가 下하여, 草木이 斂하며 蒼乾하고 雕隕((凋隕))합니다.
病反暴痛?脇.不可反側.?逆甚而血溢.
太衝絶者.死不治.上應太白星.
?水太過.寒氣流行.邪害心火.
民病身熱.煩心躁悸.陰厥.上下中寒.
?妄心痛.寒氣早至.上應辰星.
甚則腹大脛腫.喘??汗出.憎風.
大雨至.埃霧朦鬱.上應鎭星.
上臨太陽.雨?雪霜不時降.
濕氣變物.病反腹滿腸鳴.?泄食不化.?而妄冒.
神門絶者.死不治.
上應熒惑辰星.
歲水가 太過하면 寒氣가 流行하여 邪가 心火를 害하니,
民의 病은 身熱,煩心,躁悸하며, 陰厥하여 上 下 中이 寒하며,
섬妄, 心痛하며, 寒氣가 일찍 至하며, 上으로는 辰星에 應하는데,
甚하면 腹이 腫大하고 脛이 腫하며, 喘咳하며,
寢汗이 出하고 風을 憎하며,(藏氣는 盛하고 長氣는 失政하여 大雨가 至하며, 埃霧가 朦鬱하며,
上으로는 鎭星에 應합니다(水氣 太過하여 火가 受邪하고 火의 子인 土가 復한 경우임).
上에 太陽 寒水之氣가 司天하면, 雨氷雪霜이 不時에 降하여,
濕氣가 物을 變하며, 病은 도리어 腹滿하며 腸鳴, 당泄하고,
食이 不化하며, 渴하면서 妄冒하는데,
萬若 手少陰心脈인 神門이 絶하면 死하니 治하지 못하며,
上으로는 熒惑(星)과 辰星에 應합니다.
帝曰善.其不及何如.
帝께서 가라사대, "善합니다. 그 不及은 어떠합니까?"
岐伯曰.悉乎哉問也.
?木不及.燥?大行.生氣失應.
草木晩榮.肅殺而甚.
則剛木?著.悉萎蒼乾.上應太白星.
民病中?.?脇痛.少腹痛.腸鳴?泄.
?雨時至.上應太白星.
其穀蒼.
岐伯이 가로되, "悉하시도다, 問하심이여!"
歲木이 不及하면 燥氣가 이에 大行하고
生氣(木氣)가 時令에 應함을 失하여,
草木이 늦게 榮하며 肅殺하는데,
甚하면 剛木은 벽著(잎사귀가 말라 나무에 매달려 있는 모양)하고,
民의 病은 中漬, 거脇痛, 少腹痛, 腸鳴, 당泄입니다.
凉雨가 때때로 至하며, 上으로는 太白星(歲星)에 應하며,
그 穀은 蒼입니다.
上臨陽明.生氣失政.
草木再榮.化氣?急.
上應太白鎭星.其主蒼早.
復則炎暑流火.濕性燥.
柔脆草木焦槁.下體再生.
華實齊化.病寒熱瘡瘍.??癰?.
上應熒惑太白.其穀白堅.
上에 陽明이 臨하면(陽明燥金이 司天하면), 生氣(木氣)가 失政하며,
草木이 다시 榮하고, 化氣(土氣)가 이에 急하여지며,
上으로는 太白과 鎭星에 應하며, 그 主는 蒼早입니다.
復하면 炎暑가 火氣를 流하고 濕한 性質을 가진 것이 燥하여져서,
柔脆한 草木이 焦枯해지고 下體가 再生하며,
華實(꽂피고 열매 맺음, 開花와 結實)이 함께 일어나며,
사람은 寒熱, 瘡瘍,비진, 癰座를 앓는데,
上으로는 熒惑(星)과 太白에 應하며,
그 穀은 白堅(白色이면서 堅實한 穀類)입니다.
白露早降.收殺氣行.寒雨害物.
蟲食甘?.脾土受邪.
赤氣後化.心氣晩治.
上勝肺金.白氣?屈.
其穀不成.?而?.
上應熒惑太白星.
白露가 早降하고, 收殺의 氣가 行하며, 寒雨가 物을 害하고,
蟲이 甘黃한 곡물을 食하며, 脾土가 邪를 受하며,
赤氣(火氣)가 金氣가 衰해진 뒤에 化하여, 心氣가 늦게 治하고,
上으로 肺金을 勝하여, 白氣가 이에 屈하니,
그 穀이 成하지 못하며, 사람은 咳하고 구하는데,
上으로는 熒惑 太白에 應합니다.
?火不及.寒?大行.
長政不用.物榮而下.凝慘而甚.
則陽氣不化.?折榮美.
上應辰星.民病胸中痛.脇支滿.兩脇痛.
膺背肩胛間及兩臂?痛.鬱冒朦昧.
心痛暴?.胸腹大.脇下與腰背相引而痛.
甚則屈不能伸.??如別.
上應熒惑辰星.其穀丹.
歲火가 不及하면, 寒이 이에 大行하고,
長政(火氣)이 用하지 못하여, 物이 榮하나 下하며 凝慘하는데,
甚하면 陽氣가 化하지 못하고, 이에 榮美함을 折하며,
上으로는 辰星에 應하는데, 民病은 胸中痛, 脇至滿, 兩脇痛하며,
膺 背 肩胛間과 兩臂의 內側이 痛하며, 鬱冒朦昧하며,
心痛暴音하며, 胸腹이 大하면서 脇下와 腰背가 서로 땅기면서 痛하는데,
甚하면 屈하기는하나 能히 伸하지는 못하고, 관비가 떨어져 나가는 듯하며,
上으로는 熒惑(星)과 辰星이 應하며, 그 穀은 丹입니다.
復則埃鬱.大雨且至.?氣?辱.
病鶩?腹滿.食飮不下.
寒中.腸鳴泄注.腹痛.暴攣?痺.
足不任身.上應鎭星辰星.玄穀不成.
?土不及.風?大行.化氣不令.
草木茂榮.飄揚而甚.秀而不實.上應?星.
復하면 埃鬱하고, 大雨가 장차 至하여, 黑氣가 이에 辱하며,
病은 鶩당하며 腹滿하고, 飮食을 下하지 못하며,
寒中으로 腸鳴, 泄注하며 腹痛하고 暴攣, 위痺((돌연한 四肢 拘攣과 위軟麻痺))하며,
足이 身을 任하지 못하며(서지 못하며), 上으로는 鎭星과 辰星에 應하며,
玄穀이 成하지 못합니다.
歲土가 不及하면 風이 이에 大行하고, 化氣가 令하지 못하여,
草木이 茂榮하고 飄揚하는데, 甚하면 秀하나(이삭은 나오나) 結實하지 못하며, 上으로는 歲星에 應합니다.
民病?泄?亂.體重腹痛.
筋骨繇復.肌肉?酸.善怒.
藏氣擧事.蟄蟲早附.
咸病寒中.上應?星鎭星.其穀?.
民의 病은 소설하고 곽난 하며, 體重하고 腹痛하며,
筋骨이 繇復(筋骨이 動搖를 反復함)하고, 肌肉이 潤酸하며, 잘 怒합니다.
藏氣(水氣)가 擧事하여, 蟄蟲이 일찍 附하며,
사람은 모두 寒中病에 걸리며, 上으로는 歲星과 鎭星에 應하며, 그 穀은 금입니다.
復則收政嚴峻.名木蒼凋.
胸脇暴痛.下引少腹.
善大息.蟲食甘?.氣客於脾.
?穀?減.民食少失味.
蒼穀?損.上應太白?星.
上臨厥陰.流水不?.蟄蟲來見.
藏氣不用.白?不復.
上應?星.民?康.
復하면 收政(金氣之政)이 嚴峻하여, 名木이 蒼凋하며,
사람은 胸脇이 暴痛하고, 아래로 少腹이 땅기며,
太息을 잘하고, 蟲이 甘한 穀類을 喜食하며, 氣가 脾에 客하며,
금穀이 이에 減하며,民이 食少하고 失味하며(飮食의 맛을 잃어 적게 먹음),
蒼穀이 이에 損하며, 上으로는 太白星과 歲星이 이에 應합니다.
上에 厥陰이 臨하면, 流水가 얼지 않고, 蟄蟲이 來見하며,
藏氣가 不用하여 白이 이에 復하지 못하며,
上으로는 歲星이 應하며, 民이 이에 康합니다.
?金不及.炎火?行.生氣?用.
長氣專勝.庶物以茂.燥?以行.上應熒惑星.
民病肩背?重.??.血便注下.
收氣?後.上應太白星.其穀堅芒.
復則寒雨暴至.?零?雹.霜雪殺物.
陰厥且格陽.反上行.
頭腦?痛.延及?頂發熱.
上應辰星.丹穀不成.
民病口瘡.甚則心痛.
歲金이 不及하면 炎火가 이에 行하고, 生氣(木氣)가 이에 用하며,
長氣(火氣)가 專勝하여, 庶物이 茂하고 燥삭이 써 行하며,
上으로는 熒惑星에 應합니다.
民의 病은 肩背가 무重하며, 구체하며, 血便이 注下하며,
收氣(金氣)가 이에 後하며, 上으로는 太白星과 熒惑星에 應하며,
그 穀은 堅芒입니다.
復하면, 寒雨가 暴至하여 이에 氷雹을 零하며, 霜雪이 物을 殺하며,
陰이 厥逆하고 格拒하며, 이에 陽은 도리어 上行하여,
頭와 腦戶가 痛하며 신頂[腦頂]까지 延及하고 發熱하며,
上으로는 辰星과 熒惑星에 應하며, 丹穀이 成하지 못하며,
民의 病은 口瘡하며, 甚하면 心痛합니다.
?水不及.濕?大行.長氣反用.
其化?速.暑雨數至.上應鎭星.
民病腹滿身重.濡泄.寒瘍流水.
腰股痛發.??股膝不便.煩寃.
足??厥.脚下痛.甚則?腫.
藏氣不政.腎氣不衡.
上應辰星.其穀?.
歲水가 不及하면, 濕氣가 이에 大行하고, 長氣가 도리어 用하며,
그 化가 이에 速하여, 暴雨가 자주 이르며, 上으로는 鎭星에 應합니다.
民의 病은 腹滿하고 身重하고, 濡泄하며, 寒瘍으로 膿水가 흐르며,
腰股痛이 發하고 괵천股膝이 不便하며, 煩寃하며,
足위하고 淸厥하며, 脚下가 痛하며, 甚하면 부腫합니다.
藏氣가 政하지 못하여 腎氣가 平衡하지 못하며,
上으로는 辰星에 應하며, 그 穀은 거입니다.
上臨太陰.則大寒數擧.蟄蟲早藏.
地積堅?.陽光不治.
民病寒疾於下.甚則腹滿浮腫.
上應鎭星.其主?穀.
復則大風暴發.草偃木零.
生長不鮮.面色時變.
筋骨??.肉??.目視硯硯.
物疏?.肌肉?發.
氣??中.痛於心腹.
?氣?損.其穀不登.上應?星.
上에 太陰이 臨하면 大寒이 자주 擧하고, 蟄蟲이 일찍 藏하며,
땅에 堅氷이 쌓이고 陽光이 不治하여,
民이 下에 寒疾을 앓는데, 甚하면 腹滿하고 浮腫하며,
上으로는 鎭星에 應하며, 그 主는 금穀입니다.
復하면, 大風이 暴發하여 草木이 쓰러지고
生長이 不鮮하며, 사람은 面色이 때때로 變하고,
筋骨이 幷벽(攣急;拘攣,偏의)하며, 肉이 潤계하고, 目視가 황황하며,
物이 틈이 벌어지고, 肌肉에 진이 發하며,
氣가 膈中에서 病하여 心腹에 痛함이 있으며,
黃氣가 이에 損하여 그 穀이 不登하며, 上으로는 歲星에 應합니다."
帝曰善.願聞其時也.
帝께서 가라사대, "善합니다. 願컨대 그 時를 듣고 싶습니다."
岐伯曰.悉哉問也.
木不及.春有鳴條律暢之化.則秋有霧露??之政.
春有慘凄殘賊之勝.則夏有炎暑燔?之復.
其?東.其藏肝.其病?舍?脇.外在關節.
岐伯이 가로되, "悉하시도다, 問하심이여!
木不及한데, 봄이 明條律暢(風動木鳴, 聲音條暢)의 化가 있으면,
가을에 霧露淸凉의 政이 있으며;
봄에 慘凄殘賊의 勝이 있으면, 여름에 炎暑燔삭의 復이 있는데,
그 생은 東이며, 그 藏은 肝이며, 그 病은 안으로는 거脇에 舍하고,
밖으로는 關節에 在합니다.
火不及.夏有炳明光顯之化.則冬有嚴肅霜寒之政.
夏有慘?凝冽之勝.則不時有埃昏大雨之復.
其?南.其藏心.其病?舍膺脇.外在經絡.
火不及한데, 여름에 炳明光顯의 化가 있으면,
겨울에 嚴肅霜寒의 政이 있으며;
여름에 慘凄凝冽의 勝이 있으면,
不時에(土旺之節인 四季에) 埃昏大雨의 復이 있는데,
그 생은 南이며, 그 藏은 心이며,
그 病은 안으로는 膺脇에 舍하고, 밖으로는 經絡에 在합니다.
土不及.四維有埃雲潤澤之化.則春有鳴條鼓?之政.
四維發振拉飄騰之變.
則秋有肅殺霖?之復.
其?四維.其藏脾.
其病?舍心腹.外在肌肉四支.
土不及한데, 四維(四季)에 埃雲潤澤의 化가 있으면,
봄에 鳴條鼓折의 政이 있으며;
四維에 振拉飄騰의 變을 發하면, 가을에 肅殺霖음의 復이 있는데,
그 생은 四維(四季)이며, 그 藏은 脾이며,
그 病은 안으로 心腹에 舍하고, 밖으로는 肌肉 四支에 在합니다.
金不及.夏有光顯鬱蒸之令.則冬有嚴凝整肅之應.
夏有炎?燔燎之變.則秋有?雹霜雪之復.
其?西.其藏肺.其病?舍膺脇肩背.外在皮毛.
金不及한데, 여름에 光顯鬱蒸의 令이 있으면,
겨울에 嚴凝整肅의 應이 있으며;
여름에 炎삭燔燎의 變이 있으면, 가을에 氷雹霜雪의 復이 있는데,
그 생은 西이며, 그 藏은 肺이며,
그 病은 안으로는 膺脇肩背에 舍하고, 밖으로는 皮毛에 在합니다.
水不及.四維有湍潤埃雲之化.則不時有和風生發之應.
四維發埃昏驟注之變.則不時有飄蕩振拉之復.
其?北.其藏腎.其病?舍腰脊骨髓.外在谿谷?膝.
水不及한데, 四維(四季)에 湍潤埃雲의 化가 있으면,
不時에 和風生發의 應이 있으며;
四維에 埃昏驟注의 變이 發하면, 不時에 飄蕩振拉의 復이 있는데,
그 생은 北이며, 그 藏은 腎이며,
그 病은 안으로는 腰脊과 骨髓에 舍하고, 밖으로는 谿谷과 端膝에 在합니다.
夫五運之政.猶權衡也.高者抑之.
下者擧之.化者應之.變者復之.
此生長化成收藏之理.氣之常也.
失常則天地四塞矣.
故曰.天地之動靜.神明爲之紀.
陰陽之往復.寒暑彰其兆.此之謂也.
대저 五運의 政은 權衡과 같으니, 高한 것은 抑하고,
下한 것은 擧하고, 化한 것은 應하고, 變한 것은 復하는데,
이것이 生長化收藏의 理이며, 氣의 常입니다.
常을 失하면 四塞(四方이 꽉 막힘)합니다.
그러므로 가로되, 天地의 動靜은 神明이 紀가 되며,
陰陽의 往復은 寒暑가 그 徵兆를 彰한다고 하였으니, 이를 이름입니다."
帝曰.
夫子之言五氣之變.四時之應.可謂悉矣.
夫氣之動亂.觸遇而作.
發無常會.卒然災合.何以期之.
帝께서 가라사대,
"夫子께서 五氣의 變과 四時의 應을 말씀하신 것은 可히 悉하다고 이를 만합니다.
대저 氣의 動亂은 서로 觸遇하여 作하니,
發함에 常會가 없고, 卒然히 災와 合하는데, 무엇으로 이를 期합니까?"
岐伯曰.
夫氣之動變.固不常在.
而?化政令災變.不同其候也.
岐伯이 가로되,
"대저 氣의 動變은, 진실로 常在하지 아니하여,
德化政令災變이 그 候를 같이 하지 않습니다."
帝曰.何謂也.
帝께서 가라사대, "무엇을 이름입니까?"
岐伯曰.
東方生風.風生木.
其?敷和.其化生榮.
其政舒啓.其令風.
其變振發.其災散落.
南方生熱.熱生火.
其?彰顯.其化蕃茂.
其政明曜.其令熱.
其變銷?.其災燔?.
中央生濕.濕生土.
其??蒸.其化?備.
其政安靜.其令濕.
其變驟注.其災霖潰.
西方生燥.燥生金.
其??潔.其化緊斂.
其政勁切.其令燥.其變肅殺.
其災蒼隕.
北方生寒.寒生水.
其??滄.其化?謐.
其政凝肅.其令寒.其變?冽.
其災?雪霜雹.
是以察其動也.
有?有化.有政有令.
有變有災.而物由之.而人應之也.
岐伯이 가로되,
"東方은 風을 生하고, 風은 木을 生하며,
그 德은 敷和이고, 그 化는 生榮이며,
그 政은 舒啓이고, 그 令은 風이며,
그 變은 振發이고, 그 災는 散落입니다.
南方은 熱을 生하고, 熱은 火를 生하며,
그 德은 彰顯이고, 그 化는 蕃茂이며,
그 政은 明曜이고, 그 令은 熱이며,
그 變은 銷삭이고, 그 災는 燔열입니다.
中央은 濕을 生하며, 濕은 土를 生하고,
그 德은 욕蒸이고, 그 化는 豊備이며,
그 政은 安靜이고, 그 令은 濕이며,
그 變은 驟注이고, 그 災는 霖潰입니다.
西方은 燥를 生하고, 燥는 金을 生하며,
그 德은 淸潔이고, 그 化는 緊斂이며,
그 政은 勁切이고, 그 令은 燥이며,
그 變은 肅殺이고, 그 災는 蒼隕입니다.
北方은 寒을 生하고, 寒은 水를 生하며,
그 德은 凄滄이고, 그 化는 淸謐이며,
그 政은 凝肅이고, 그 令은 寒이며,
그 變은 慄冽이고, 그 災는 률雪霜雹입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五運의 變動을 察함에, 德이 있고 化가 있으며,
政이 있고 令이 있으며, 變이 있고 災가 있는데,
物은 이를 말미암고, 사람은 이에 應합니다."
帝曰.
夫子之言?候不及.
其太過而上應五星.
今夫?化政令.災?變易.非常而有也.卒然而動.
其亦爲之變乎.
帝께서 가라사대,
"夫子께서는 歲候를 말씀하심에 있어서
그 不及과 太過함에 따라 위로 五星에 應한다고 하셨는데,
이제 저 德化政令災생變易은 常規를 가지고 나타나는 게 아니고, 卒然히 動하는데,
그것들(五星) 또한 이(德化政令災생變易) 때문에 變합니까?"
岐伯曰.
承天而行之.故無妄動.無不應也.
卒然而動者.氣之交變也.其不應焉.
故曰.應常不應卒.
此之謂也.
岐伯이 가로되,
"天을 承하여서 行하므로 망령되이 動함이 없고 應하지 않음이 없습니다.
그러나, 卒然히 動하는것은 氣의 交變이라서, 그것들이 이에 應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가로되, 常에는 應하나 卒에는 應하지 않는다고 하였으니,
이를 이름입니다."
帝曰.其應奈何.
帝께서 가라사대, "그 應함은 어떻게 합니까?"
岐伯曰.各從其氣化也.
岐伯이 가로되, "각기 그 氣化를 從합니다."
帝曰.其行之徐疾逆順何如.
帝께서 가라사대, "그 行함의 徐, 疾, 逆, 順은 어떠합니까?"
岐伯曰.
以道留久.逆守而小.是謂省下.
以道而去.去而速來.
曲而過之.是謂省遺過也.
久留而環.或離或附.
是謂議災與其?也.
岐伯이 가로되,
"道를 따라 오래 留(五星이 視運動上에서 停止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狀態)하다가
逆行(五星이 視運動上 東에서 西로 가는 것)하다 守(오래 留하는 것)하면서 별빛이 작아짐,
이를 省下(아래를 살핌 --- 즉 天下의 人君의 有德有過를 살핌)라 하고;
軌道를 따라 가는데, 가다가 빨리 오고, 屈曲하면서 지나감,
이를 有過(빠뜨린 허물 --- 즉 미처 살피지 못하고 지나친 허물)를 살핀다고 하며;
오래 留하면서 環(視運動上 제자리에서 빙빙 도는 것처럼 보이는 것)하여,
或 離하기도 하고 或 附하기도 함,
이를 災와 그 德을 議한다고 합니다.
應近則小.應遠則大.
芒而大倍常之一.其化甚.
大常之二.其??也.
小常之一.其化減.
小常之二.是謂臨視.
省下之過與其?也.
災德이 近하면서 微함에 應하면, 별빛이 작아지고,
遠함에 應하면 커지는데,
光芒이 常보다 一倍가 크면, 그 化가 甚하고,
常보다 二倍가 크면, 그 생이 곧 發합니다.
常보다 一倍 작으면, 그 化가 減하고,
常보다 二倍 작으면 이를 臨視(觀察)라고 하는데,
그 宿屬의 分野의 下의 過와 그 德을 省함입니다.
?者福之.過者伐之.
是以象之見也.
高而遠則小.
下而近則大.
故大則喜怒?.小則禍福遠.
德이 있는 者는 福을 주고, 過가 있는 者는 伐합니다.
이러한 까닭으로 象의 나타남은,
高하면서 遠하면 光芒이 작아지고,
下하면서 近하면 光芒이 커집니다.
그러므로 커지면 喜怒가 가까워지고,
작아지면 禍福이 멀어집니다.
?運太過.則運星北越.
運氣相得.則各行以道.
故?運太過.畏星失色而兼其母.
不及.則色兼其所不勝.
肖者瞿瞿.莫知其妙.閔閔之當.孰者爲良.
妄行無?.示畏侯王.
歲運이 太過하면,
運星(主歲의 星)이 北으로 越하고(北쪽으로 行하여 그 常度를 벗어나고),
運氣가 相得하면, 각각 道로써 軌道를 따라 運行합니다.
그러므로 歲運이 太過하면,
畏星(所制의 星, 예컨데 木運이 太過하면 木이 能히 土를 制하므로 鎭星이 畏星이 된다)이 빛을 잃고,
그 母星의 色을 兼帶하며;
不及하면 色이 그 勝하지 못하는 것의 色을 兼帶합니다.
肖者가 瞿瞿(부지런히 探求하는 모양)하되 그 妙를 알지 못하니,
閔閔함을 當하여, 누가 良이 되리오?
망령되이 無徵(徵驗이 없는 것)을 行하여, 候王에게 示畏하는도다!
帝曰.其災應何如.
帝께서 가라사대, "그 災應은 어떠합니까?“
岐伯曰.
亦各從其化也.
故時至有盛衰.凌犯有逆順.
留守有多少.形見有善惡.
宿屬有勝負.?應有吉凶矣.
岐伯이 가로되, "또한 각기 그 化를 從합니다.
그러므로 時가 至함에는 盛衰가 있고, 凌犯에는 逆順이 있으며,
留守에는 多少長短가 있고, 形見에는 善惡이 있으며,
宿屬에는 勝負가 있고, 徵應에는 吉凶이 있습니다."
帝曰.其善惡何謂也.
帝께서 가라사대, "그 善惡은 무엇을 이름입니까?"
岐伯曰.
有喜有怒.有憂有喪.
有澤有燥.此象之常也.必謹察之.
岐伯이 가로되,
"喜가 있고 怒가 있으며, 憂가 있고 喪이 있으며,
澤이 있고 燥가 있는데, 이것이 象의 常이니,
반드시 삼가 이를 살펴야 합니다."
帝曰.六者高下異乎.
帝께서 가라사대,
"여섯 가지((喜, 怒, 憂, 喪, 澤, 燥))가 高下에 따라 달라집니까?“
岐伯曰.
象見高下.其應一也.故人亦應之.
岐伯이 가로되,
"象은 高下에 따라 달리 보이나,
그 物候에 應함은 한가지 입니다.
그러므로 사람도 또한 이에 應합니다."
帝曰善.
其?化政令之動靜損益.皆何如.
帝께서 가라사대, "善합니다.
그 德化政令의 動靜과 損益은 모두 어떠합니까?"
岐伯曰.
夫?化政令災變.不能相加也.
勝復盛衰.不能相多也.
往來小大.不能相過也.
用之升降.不能相無也.
各從其動而復之耳.
岐伯이 가로되,
"대저 德에는 德으로 갚고 化에는 化로 갚아서,
어느 한쪽이 더하거나 덜함이 없이 均衡을 이루고,
勝이 盛하면 復도 盛하고,
勝이 衰하면 復도 衰하여 어느 한쪽이 많지 아니하며,
勝復大小의 氣數가 모두 같아서 서로 過하지 못함 ;
혹은, 五星의 往來大小는 서로 過하지 못하고,
用의 升降은 能히 相無하지 못하니,
각기 그 動함을 從하여 復할 따름입니다."
帝曰.其病生何如.
帝께서 가라사대, "그 病이 生함은 어떠합니까?“
岐伯曰.
?化者.氣之祥.
政令者氣之章.變易者復之紀.
災?者傷之始.氣相勝者和.
不相勝者病.重感於邪則甚也.
岐伯이 가로되,
"德과 化는 氣의 祥(善應;吉祥之兆)이고,
政과令은 氣의 章(程式;表現 形式)이며, 變과 易은 復의 綱紀이고,
災와 생은 傷의 始인데, 氣가 相勝하면 和하고,
相勝하지 못하면 病들며, 邪에 거듭 感하면 甚해집니다."
帝曰善.
所謂精光之論.大聖之業.
宣明大道.通於無窮.究於無極也.
余聞之.善言天者.必應於人.
善言古者.必驗於今.
善言氣者.必彰於物.
善言應者.同天地之化.
善言化言變者.通神明之理.
非夫子.孰能言至道歟.
?擇良兆.而藏之靈室.
?旦讀之.命曰氣交變.
非齊戒不敢發.愼傳也.
帝께서 가라사대, "善합니다.
이른바 精光의 論이요 大聖의 業이며,
大道를 宣明하여 無窮(함)에 通하고 無極을 究함입니다.
余가 듣건대, 天을 잘 말하는 者는 人에 應하고,
古를 잘 말하는 者는 반드시 今에서 徵驗하며,
氣를 잘 말하는 者는 반드시 物에 彰하고,
應을 잘 말하는 者는 天地의 化와 함께하며,
化와 變을 잘 말하는 者는 神明의 理에 通한다 하니,
夫子가 아니시면 누가 能히 至極한 道를 말할 수 있겠습니까!"
이에 良兆((吉日良辰))를 擇하여 靈室에 藏하시고,
매일 아침마다 이를 讀하셨는데, 命하여 氣交變이라 하고,
齋戒함이 아니고서는 敢히 發하지 아니하셨으니,
傳함을 愼重히 하심이셨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六微旨][육지미] (0) | 2025.04.18 |
---|---|
[五運行][오운행] (0) | 2025.04.14 |
[天元紀][천원기] (0) | 2025.04.09 |
[標本病傳][표본병전] (2) | 2025.04.04 |
[四時刺逆從][사시자역종] (0) | 2025.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