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驢尿][노뇨 / 당나귀 오줌]
主反胃 吐不止 朝夕垂絶 取熱尿 服2合(本草).
'[雜病篇] > [嘔吐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田螺][전라] (0) | 2020.09.03 |
---|---|
[牛乳][우유] (0) | 2020.09.03 |
[老牛口中涎][노우구중연] (0) | 2020.09.03 |
[蒪][순] (0) | 2020.09.03 |
[甖子粟][앵자속] (0) | 2020.09.03 |
[驢尿][노뇨 / 당나귀 오줌]
主反胃 吐不止 朝夕垂絶 取熱尿 服2合(本草).
[田螺][전라] (0) | 2020.09.03 |
---|---|
[牛乳][우유] (0) | 2020.09.03 |
[老牛口中涎][노우구중연] (0) | 2020.09.03 |
[蒪][순] (0) | 2020.09.03 |
[甖子粟][앵자속] (0) | 2020.09.03 |
[老牛口中涎][노우구중연]
主反胃 噎膈 取少許 和水服之 終身不噎.
口中齝(丑之切)草 絞取汁 服 止噎(本草).
[牛乳][우유] (0) | 2020.09.03 |
---|---|
[驢尿][노뇨] (0) | 2020.09.03 |
[蒪][순] (0) | 2020.09.03 |
[甖子粟][앵자속] (0) | 2020.09.03 |
[杵頭糠][저두강] (0) | 2020.09.03 |
[蒪][순 / 순채]
和鯽魚 作羹 食之 主反胃 食不下 止嘔(本草).
붕어와 함께 넣고 국을 끓여 먹는다.
반위증으로 음식이 내리지 않는데 주로 쓴다.
구역도 멎게 한다[본초].
[驢尿][노뇨] (0) | 2020.09.03 |
---|---|
[老牛口中涎][노우구중연] (0) | 2020.09.03 |
[甖子粟][앵자속] (0) | 2020.09.03 |
[杵頭糠][저두강] (0) | 2020.09.03 |
[獮猴桃][미후도] (0) | 2020.09.01 |
[甖子粟][앵자속 / 아편꽃씨]
治反胃 食不下 和竹瀝煮作粥 食之 大佳(本草).
반위증으로 음식이 내리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참대기름에 타서 죽을 쑤어 먹는다[본초].
[老牛口中涎][노우구중연] (0) | 2020.09.03 |
---|---|
[蒪][순] (0) | 2020.09.03 |
[杵頭糠][저두강] (0) | 2020.09.03 |
[獮猴桃][미후도] (0) | 2020.09.01 |
[葡萄根][포도근] (0) | 2020.09.01 |
[杵頭糠][저두강 / 절구공이에 붙어 있는 겨]
主噎食不下 咽喉塞 取細糠 蜜丸彈子大 含化嚥之.
음식이 목에 메어 내리지 않는 것과 목구멍이 막힌 것을 치료한다.
보드라운 겨를 꿀에 반죽하여 달걀노른자위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입에 머금고 녹여 먹는다.
又 細糠40g 白粥淸 調服(入門).
또는 보드라운 겨 40g을 흰죽웃물에 타서 먹는다[입문].
[蒪][순] (0) | 2020.09.03 |
---|---|
[甖子粟][앵자속] (0) | 2020.09.03 |
[獮猴桃][미후도] (0) | 2020.09.01 |
[葡萄根][포도근] (0) | 2020.09.01 |
[木瓜][목과] (0) | 2020.09.01 |
[獮猴桃][미후도 / 다래]
治熱壅反胃 取汁 和薑汁服之.
열이 몰려서 반위증이 생긴 것을 치료하는데 즙을 내서 생강즙에 타 먹는다.
藤汁至滑 主胃閉吐逆 煎取汁 和薑汁 服之 甚佳(本草).
다래넝쿨의 즙은 몹시 미끄럽기 때문에
주로 위가 막혀 토하는 것과 구역하는 것을 치료하는데
달여서 생강즙에 타 먹으면 아주 좋다[본초].
[甖子粟][앵자속] (0) | 2020.09.03 |
---|---|
[杵頭糠][저두강] (0) | 2020.09.03 |
[葡萄根][포도근] (0) | 2020.09.01 |
[木瓜][목과] (0) | 2020.09.01 |
[橘皮][귤피] (0) | 2020.09.01 |
[葡萄根][포도근 / 포도나무뿌리]
止嘔噦 濃煎 取汁 細細飮之 佳(本草).
토하는 것과 딸꾹질을 멎게 한다.
진하게 달여서 조금씩 마신다[본초].
[杵頭糠][저두강] (0) | 2020.09.03 |
---|---|
[獮猴桃][미후도] (0) | 2020.09.01 |
[木瓜][목과] (0) | 2020.09.01 |
[橘皮][귤피] (0) | 2020.09.01 |
[蝟][위] (0) | 2020.09.01 |
[木瓜][목과 / 모과]
止嘔逆 煮飮之 佳 生薑同煎服 尤妙
토하기를 멎게 하는데 달여서 그 물을 마시면 좋다.
생강과 함께 달여 먹으면 더 좋다.
榠櫨 去惡心 乾嘔 煎服之(本草).
명사는 메스껍고 헛구역이 나는데 달여서 먹는다[본초].
[獮猴桃][미후도] (0) | 2020.09.01 |
---|---|
[葡萄根][포도근] (0) | 2020.09.01 |
[橘皮][귤피] (0) | 2020.09.01 |
[蝟][위] (0) | 2020.09.01 |
[蚌蛤粉][방합분] (0) | 2020.08.31 |
[橘皮][귤피 / 귤껍질]
治反胃 嘔吐
橘皮用 日照 西方壁土末 同炒香
取皮 爲末 每7.5g 淡薑湯 煎服(直指).
반위증으로 토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귤피)과 해가 늘 비치는 서쪽벽의 흙을 가루낸 것과 함께
고소한 냄새가 나도록 닦는다.
다음 귤껍질만 가루내서 한번에 8g씩 연하게 달인 생강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葡萄根][포도근] (0) | 2020.09.01 |
---|---|
[木瓜][목과] (0) | 2020.09.01 |
[蝟][위] (0) | 2020.09.01 |
[蚌蛤粉][방합분] (0) | 2020.08.31 |
[鯽魚][즉어] (0) | 2020.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