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絲瓜散][사과산]
治腸風藏毒, 痔漏脫肛.
絲瓜根 經霜一二次, 收採洗淨, 夜露十餘宿, 懸當風處陰乾.
每服三錢, 剉散.

水煎熟, 去滓, 滴香油如錢大, 空心, 溫服.

忌雞猪燒酒, 一服卽效[醫鑑].
장풍, 장독, 치루, 탈항을 치료한다.
사과근(서리를 한두 차례 맞히고 거두어들여 깨끗이 씻는다.
밤이슬을 열흘 밤 정도 맞힌 다음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 걸어서 말린다).
위의 약을 서 돈씩 썰어 뭉쳐 있는 것을 흩뜨려서 물에 달여 익혀 찌꺼기를 버린 다음

참기름을 동전 크기만큼 넣어 빈속에 따뜻하게 먹는다.

닭고기, 돼지고기, 소주를 먹지 말아야 하며, 한 번 먹으면 바로 효과가 있다(의감).

[絲瓜散][사과산]
治五色痢及酒痢, 便血腹痛.
乾絲瓜 一枚 連皮燒灰.
爲末, 酒調二錢, 空心服[集驗].
오색리와 주리(酒痢)로 대변에 피가 섞여나오고 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사과 한 개(마른 것을 껍질째 재가 되도록 태운다).
위의 약을 가루내어 두 돈씩 술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집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苓散][사령산]  (0) 2018.12.22
[莎芎散][사궁산]  (0) 2018.12.22
[瀉肝散][사간산]  (0) 2018.12.22
[氷黃散][빙황산]   (0) 2018.12.22
[氷霜散][빙상산]   (0) 2018.12.22

[瀉肝散][사간산]
治烏風昏暗.
大黃, 甘草 各五錢,
郁李仁, 荊芥穗 各二錢半.
右剉, 分二貼. 空心, 水煎服[得效].
오풍으로 눈이 어둡고 침침한 것을 치료한다.
대황, 감초 각 닷 돈,
욱리인, 형개수 각 두 돈 반.
위의 약들을 썰어 두 첩으로 나누어 물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莎芎散][사궁산]  (0) 2018.12.22
[絲瓜散][사과산]  (0) 2018.12.22
[氷黃散][빙황산]   (0) 2018.12.22
[氷霜散][빙상산]   (0) 2018.12.22
[檳蘇散][빈소산]  (0) 2018.12.22

[氷黃散][빙황산]
治丹毒
焰硝 大黃末 各20g
井水調勻 鷄羽掃塗(回春).
단독이 퍼져 나가면서 몹시 다는 것을 치료한다.
염초, 대황가루 각각 20g.
위의 약들을 우물물로 개어 닭의 깃으로 바른다[회춘].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絲瓜散][사과산]  (0) 2018.12.22
[瀉肝散][사간산]  (0) 2018.12.22
[氷霜散][빙상산]   (0) 2018.12.22
[檳蘇散][빈소산]  (0) 2018.12.22
[檳榔散][빈랑산]   (0) 2018.12.22

[氷霜散][빙상산]
治湯火熱油所傷 皮爛肉痛
寒水石 朴硝 靑黛 牡蠣煆 各20g

輕粉2g,
爲末 新水 或油調塗之(丹心).
끓는 물이나 불이나 끓는 기름에 데어 피부와 살이 진물며 아픈 것을 치료한다.
한수석, 박초, 청대, 굴조개껍질(모려, 달군 것) 각각 20g,

경분 2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새로 길어온 물이나 기름에 개서 바른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瀉肝散][사간산]  (0) 2018.12.22
[氷黃散][빙황산]   (0) 2018.12.22
[檳蘇散][빈소산]  (0) 2018.12.22
[檳榔散][빈랑산]   (0) 2018.12.22
[秘傳順氣散][비전순기산]   (0) 2018.12.22

[檳蘇散][빈소산]
治風濕脚氣, 腫痛拘攣. 用此踈通氣道.
蒼朮 二錢,

香附子, 紫蘇葉, 陳皮, 木瓜, 檳榔, 羌活, 牛膝 各一錢,

甘草 五分.
右剉作一貼, 入薑三片葱白三莖, 同煎服[十三方].
풍습으로 생긴 각기로 인하여 붓고 아프며 당기고 떨리는 것을 치료한다.

이 약은 기(氣)가 다니는 길을 통하게 한다.
창출 두 돈,

향부자, 자소엽, 진피, 모과, 빈랑, 강활, 우슬 각 한 돈,

감초 닷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세 쪽, 총백 세 뿌리를 넣고 달여 먹는다(십삼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氷黃散][빙황산]   (0) 2018.12.22
[氷霜散][빙상산]   (0) 2018.12.22
[檳榔散][빈랑산]   (0) 2018.12.22
[秘傳順氣散][비전순기산]   (0) 2018.12.22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18.12.22

[檳榔散][빈랑산]
治足上生瘡潰爛臭穢
傳喝七箇,

斑猫十四箇,

巴豆肉十四粒,

檳郞一箇,

香油一兩
半右慢火煎先入蝎次入猫次入豆次入檳見豆黑色入蠟一兩候熔去滓只
取蠟油入黃栢灸蛇床子 各二錢

雄黃硫黃黃丹海祒曛 各一錢
白膠香黃連杏仁輕粉 各半錢
右爲末入蠟油中調勻藥水洗瘡付之立效[得效]
발등에 헌데가 생겨 터지고 진물면서 더러운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전갈 7개,

반묘 14개,

파두살(파두육) 14알,

빈랑 1개,

참기름 60g.
위의 약들을 약한 불에 달이되 먼저 전갈을 넣고
다음에 반묘, 파두살, 빈랑 등 차례로 넣어서 달인다.
파두가 거멓게 되면 황랍 40g을 넣고 녹여서 찌꺼기를 버린다.
다음 여기에 황백(닦은 것), 뱀도랏열매(사상자) 각각 8g,
석웅황(웅황), 유황, 황단, 오징어뼈(해표초) 각각 4g,
백교향, 황련, 살구씨(행인), 경분 각각 2g을 가루내어 넣고
고루 섞어 개어 약물로 헌데를 씻고 붙이면 곧 효과가 있다[득효].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氷霜散][빙상산]   (0) 2018.12.22
[檳蘇散][빈소산]  (0) 2018.12.22
[秘傳順氣散][비전순기산]   (0) 2018.12.22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18.12.22
[備金散][비금산]  (0) 2018.12.22

[秘傳順氣散][비전순기산]
治中風喎斜 癱瘓 一切風疾
靑皮 陳皮 枳殼 桔梗 烏藥 人蔘 白朮 白茯 半夏
川窮 白芷 細辛 麻黃 防風 乾薑 白疆蠶 甘草 各3g
剉作一貼入薑五片水煎服(醫鑒).
중풍으로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팔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것과
모든 풍병을 치료한다.
선귤껍질(청피), 귤껍질(陳皮), 지각, 도라지(길경), 오약, 인삼, 흰삽주(백출),
흰솔풍령(백복령), 끼무릇(반하), 궁궁이(천궁), 구릿대(백지), 족두리풀(세신),
마황, 방풍, 건강, 백강잠, 감초 각각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檳蘇散][빈소산]  (0) 2018.12.22
[檳榔散][빈랑산]   (0) 2018.12.22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18.12.22
[備金散][비금산]  (0) 2018.12.22
[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0) 2018.12.22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治一切癰疽 無名惡瘡 能內托令自消
天花粉8g

穿山甲 蛤粉炒 赤芍藥 甘草節 各4g
防風 白芷 皂角刺 金銀花 陳皮 各3g

當歸尾 貝母 乳香 各2g
剉作一貼 好酒一大碗 煎服(丹心).
여러 가지 옹저와 원인 모를 악창을 치료하는데 내탁하여 저절로 삭게 한다.
하늘타리뿌리(천화분) 8g,
천산갑(조가비가루와 함께 닦은 것), 함박꽃뿌리(적작약), 감초(마디) 각각 4g,
방풍, 구릿대(백지), 주염나무가시(조각자), 금은화, 귤껍질(陳皮) 각각 2.8g,
당귀(잔뿌리), 패모, 유향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좋은 술 1사발에 넣어 달여 먹는다[단심].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檳榔散][빈랑산]   (0) 2018.12.22
[秘傳順氣散][비전순기산]   (0) 2018.12.22
[備金散][비금산]  (0) 2018.12.22
[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0) 2018.12.22
[不臥散][불와산]  (0) 2018.12.22

[備金散][비금산]
治血崩不止.
香附子 炒黑 四兩,

當歸尾 一兩二錢,

五靈脂 炒 一兩.
右爲末, 每二錢醋湯調, 空心服.
一名 [偁金散][綱目][入門].
혈붕이 그치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시커멓게 볶은 것) 넉 냥,

당귀미 한 냥 두 돈,

오령지(볶은 것)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두 돈씩 식초를 넣고 끓인 물에 타서 빈속에 먹는다.
칭금산이라고도 한다(강목)(입문).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傳順氣散][비전순기산]   (0) 2018.12.22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18.12.22
[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0) 2018.12.22
[不臥散][불와산]  (0) 2018.12.22
[佛手散][불수산]  (0) 2018.12.22

[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治傷寒陰證頭痛身疼或寒熱往來
蒼朮二錢

厚朴 陳皮 藿香 半夏 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入門]
상한음증 때 머리와 몸이 아프고 혹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후박, 귤껍질(陳皮), 곽향,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加味不換金正氣散][가미불환금정기산]
治癰疽寒熱往來或挾風邪或內氣虛婚
蒼朮  橘紅  半夏麴  藿香葉  厚朴  各一錢二分半

甘草灸一錢
白茯巔  川芎 各七分半

木香五分
右犫作一貼入薑五棗二水煎服[直指]
옹저 때 추었다 열이 났다 하거나 풍사(風邪)가 겹쳤거나
속으로 기(氣)가 허(虛)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귤홍, 반하국, 곽향잎, 후박 각각 5g,
감초(닦은 것) 4g,

흰솔풍령(백복령), 궁궁이(천궁) 각각 3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平胃散][평위산]
治脾胃不和 不思飮食 心腹脹痛 嘔噦惡心 噫氣呑酸
面黃肌瘦 怠惰嗜臥 常多自利 或發霍亂 及五噎八痞
膈氣反胃 等證.
蒼朮8g, 陳皮6g, 厚朴4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三片 大棗二枚.
水煎服或爲末 取8g 薑棗湯 點服(入門).
비위가 고르지 못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고 아프며
구역과 딸꾹질이 나고 메스꺼우며 트림이 나면서 신물이 올라오고
얼굴빛이 누렇게 되며 몸이 여위고 노곤해서 눕기를 좋아하며
자주 설사를 하는 것과 혹 곽란( 亂)과 5열(五 ), 8비(八 ), 격기(膈氣),
반위증(反胃證) 등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귤껍질(陳皮) 5.6g, 후박 4g, 감초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과 대추를 달인 물에 타 먹기도 한다[입문].

[平胃散][평위산]
和脾健胃能進飮食盖內傷病脾胃中有宿食
故不嗜食用此藥平其胃氣則自然思食(方見五藏)
若加 茯巔 丁香 白朮 爲[調胃散]
加 乾薑爲[厚朴湯]
與 五巔散 相合爲[胃巔湯]
與 六一散 相合爲[黃白散]
加 藿香 半夏爲[不換金正氣散][海藏]
비(脾)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든든하게 하여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대개 내상병(內傷病)으로 비위에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남아있어서
입맛을 잃는 것이다.
이 약을 먹어서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면 자연히 음식생각이 난다
(처방은 5장문에 있다).
평위산에 흰솔풍령(백복령), 정향, 흰삽주(백출)를 더 넣은 것은
조위산(調胃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건강을 더 넣은 것을 후박탕(厚朴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오령산(五 散)을 넣어 합한 것을 위령탕(胃 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육일산(六一散)을 넣어 합한 것을 황백산(黃栢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곽향과 끼무릇(반하)을 더 넣은 것을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이라 한다[해장].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秘方奪命散][비방탈명산]   (0) 2018.12.22
[備金散][비금산]  (0) 2018.12.22
[不臥散][불와산]  (0) 2018.12.22
[佛手散][불수산]  (0) 2018.12.22
[粉麝散][분사산]  (0) 2018.1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