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不換金正氣散][불환금정기산]
治傷寒陰證頭痛身疼或寒熱往來
蒼朮二錢
厚朴 陳皮 藿香 半夏 甘草 各一錢
右犫作一貼入薑三片棗二枚水煎服[入門]
상한음증 때 머리와 몸이 아프고 혹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후박, 귤껍질(陳皮), 곽향, 끼무릇(반하),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입문].
[加味不換金正氣散][가미불환금정기산]
治癰疽寒熱往來或挾風邪或內氣虛婚
蒼朮 橘紅 半夏麴 藿香葉 厚朴 各一錢二分半
甘草灸一錢
白茯巔 川芎 各七分半
木香五分
右犫作一貼入薑五棗二水煎服[直指]
옹저 때 추었다 열이 났다 하거나 풍사(風邪)가 겹쳤거나
속으로 기(氣)가 허(虛)해지는 것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귤홍, 반하국, 곽향잎, 후박 각각 5g,
감초(닦은 것) 4g,
흰솔풍령(백복령), 궁궁이(천궁) 각각 3g,
목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달여 먹는다[직지].
[平胃散][평위산]
治脾胃不和 不思飮食 心腹脹痛 嘔噦惡心 噫氣呑酸
面黃肌瘦 怠惰嗜臥 常多自利 或發霍亂 及五噎八痞
膈氣反胃 等證.
蒼朮8g, 陳皮6g, 厚朴4g, 甘草2g.
剉作一貼 生薑三片 大棗二枚.
水煎服或爲末 取8g 薑棗湯 點服(入門).
비위가 고르지 못하여 음식 생각이 없고 명치 아래가 불러 오르고 아프며
구역과 딸꾹질이 나고 메스꺼우며 트림이 나면서 신물이 올라오고
얼굴빛이 누렇게 되며 몸이 여위고 노곤해서 눕기를 좋아하며
자주 설사를 하는 것과 혹 곽란( 亂)과 5열(五 ), 8비(八 ), 격기(膈氣),
반위증(反胃證) 등을 치료한다.
삽주(창출) 8g, 귤껍질(陳皮) 5.6g, 후박 4g, 감초 2.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3쪽, 대추 2알과 함께 물에 넣고 달여 먹는다.
혹 가루를 내어 한번에 8g씩 생강과 대추를 달인 물에 타 먹기도 한다[입문].
[平胃散][평위산]
和脾健胃能進飮食盖內傷病脾胃中有宿食
故不嗜食用此藥平其胃氣則自然思食(方見五藏)
若加 茯巔 丁香 白朮 爲[調胃散]
加 乾薑爲[厚朴湯]
與 五巔散 相合爲[胃巔湯]
與 六一散 相合爲[黃白散]
加 藿香 半夏爲[不換金正氣散][海藏]
비(脾)를 고르게 하고 위(胃)를 든든하게 하여 음식을 잘 먹게 한다.
대개 내상병(內傷病)으로 비위에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 남아있어서
입맛을 잃는 것이다.
이 약을 먹어서 위기(胃氣)를 고르게 하면 자연히 음식생각이 난다
(처방은 5장문에 있다).
평위산에 흰솔풍령(백복령), 정향, 흰삽주(백출)를 더 넣은 것은
조위산(調胃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건강을 더 넣은 것을 후박탕(厚朴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오령산(五 散)을 넣어 합한 것을 위령탕(胃 湯)이라 한다.
평위산에 육일산(六一散)을 넣어 합한 것을 황백산(黃栢散)이라 한다.
평위산에 곽향과 끼무릇(반하)을 더 넣은 것을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이라 한다[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