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內傷飮食宜下][내상음식의하]

 

人病 有宿食 何以別之?

曰 脈浮而大 按之反澁 故知有宿食

宜大承氣湯方見寒門 下之.

체기가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아는가

대답하기를 맥이 부()하면서 대()하나 누르면

반대로 삽맥(澁脈)이 나타나는 것으로 체기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에는 대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이 좋다.

 

脈數而滑者 此有宿食 宜下之 愈用大 小承氣湯

宿食 潮熱 用小承氣湯方見寒門(仲景).

맥이 삭()하면서 활()한 것은 체기가 있는 것이므로 설사시키면 낫는데

대승기탕, 소승기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체기에 조열(潮熱)이 있으면 소승기탕을 쓴다[중경].

 

傷寒物 或熱物者 宜備急丸方見救急 除源散(入門).

찬 음식물이나 뜨거운 음식물에 상했을 때에는

비급환(처방은 구급문에 있다)이나 제원산이 좋다[입문].

 

食在中下脘者 宜下以逐之

木香見睍丸 丁香脾積丸二方見腹門 感應元方見大便門 選用(入門).

체한 것이 중완(中脘)이나 하완(下脘)에 있을 때에는

설사시켜 내보내는 것이 좋은데 목향견현환, 정향비적환(처방은 배문에 있다),

감응원(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등에서 골라 쓴다[입문].

 

下食積 宜用沂源散 一名 除源散 方見上

煮黃丸 丁香脾積丸方見大便門

神應丸(卽 一名 感應元) 枳實大黃湯.

식적(食積)을 내려가게 하는 데는 소원산(제원산),

자황환, 정향비적환(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신응환(즉 감응원), 지실대황탕을 쓰는 것이 좋다.

 

'[雜病篇] > [內傷]'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斷酒方][단주방]  (0) 2020.07.13
[導引法][도인법]  (0) 2020.07.08
[內傷飮食宜吐][내상음식의토]  (0) 2020.07.07
[食積類傷寒][식적유상한]  (0) 2020.07.07
[食厥][식궐]  (0) 2020.07.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