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陰毒][상한음독]
傷寒 三陰病深 必變爲陰毒 其證 四肢厥冷 吐利不渴 靜踡而臥
甚則咽痛 鄭聲 加以頭痛 頭汗 眼睛內痛 不欲見光 面 唇 指甲靑黑 手背冷汗 心下結硬 臍腹築痛
身如被杖 外腎氷冷 其脈 附骨取之則有 按之則無 宜甘草湯 正陽散,
陽氣乍復 或生 煩躁者 返陰丹 復陽丹用之 不可凉藥(入門).
상한 때에 3음경병(三陰經病)이 심해지면 반드시 음독(陰毒)으로 변하는데
그 증상은 팔다리가 싸늘하고[厥冷] 토하며 설사하고 갈증은 없으며
몸을 꼬부리고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다.
심하면 목구멍이 아프고 정성(鄭聲)㈜이 있으며 머리가 아프고 머리에서 땀이 나고
눈알[眼睛] 속이 아파서 햇빛을 보기 싫어하며 얼굴, 입술, 손발톱이 검푸르게 되고
손등에서 찬 땀이 나고 명치 밑이 뜬뜬하며 배꼽노리[臍腹]가 툭툭 뛰면서 아프다.
몸은 마치 매를 맞은 것같이 아프고 음낭이 얼음처럼 차고
맥은 잠복되어 꾹 눌러야 짚이고 약간 누르면 짚이지 않는다.
이런 데는 감초탕이나 정양산을 쓴다.
양기(陽氣)가 잠시 회복되어 안타깝게 답답하면[煩燥] 반음단이나 부양단을 쓰고
성질이 서늘한 약은 쓰지 말아야 한다[입문].
又此證 面靑舌黑 四肢厥冷 多睡(入門).
또 이때의 증상은 얼굴이 푸르며 혀가 거멓고 팔다리가 싸늘하고 잠이 많다[입문].
積陰 感於下 則微陽消於上 故其候 四肢沈重 逆冷 腹痛 咽喉不利
或心下脹滿 結硬 燥渴 虛汗不止 或時狂言 爪甲 面色靑黑 六脈沈細 而一息七至以來
速於氣海 關元各灸200~300壯 以手溫煖 爲效仍服還陽散 退陰散(本事).
몰린 음기[積陰]가 하초로 내려가면 미약한 양기[微陽]는 상초에서 소모된다.
그러므로 이때의 증상은 팔다리가 무겁고 싸늘하며 배가 아프고 목구멍이 불편하며[不利]
혹 명치 밑이 불러 오르고 그득하면서 뜬뜬하며 갈증이 나고 허해서 땀이 계속 나며 때로 미친 소리를 한다.
그리고 손발톱과 얼굴빛이 검푸러지고 6맥이 침세(沈細)하면서 한번 숨 쉴 동안에 일곱번씩 뛴다.
이때에는 빨리 기해(氣海), 관원(關元) 혈에 뜸을 각각 200-300장씩 떠야 하는데
손발이 더워질 때까지 뜬 다음 곧 환양산이나 퇴음산을 써야 한다[본사].
陰毒 沈困之候 六脈附骨取之 方有 按之則無 一息八至已上 或不可數至 此則藥餌 難爲功矣
宜灸臍下200~300壯 更以還陽散 等熱藥助之 如手足不和 緩者 不可治(本事).
음독 때의 위험한 증상은 6맥이 잠복되어 꾹 눌러야 짚이고
약간 누르면 짚이지 않으면서 한번 숨 쉴 동안에 여덟번 이상 또는 그 수를 셀 수 없이 뛰는 것이다.
병이 이와 같이 되면 약을 써도 효과가 없다.
그러므로 배꼽 아래에 약 200-300장의 뜸을 뜬 다음
환양산과 같이 성질이 뜨거운 약으로 도와주어야 한다.
그러나 손발이 더워지지 않으면 치료하기 어렵다[본사].
傷寒陰毒之病 面靑 身痛 如被杖 咽喉痛 五日可治 七日不可治 甘草湯主之(仲景).
상한음독 때에는 얼굴빛이 퍼렇게 되고 몸이 매를 맞은 것같이 아프면서 목구멍도 아픈데
이 병이 생긴 지 5일 되었으면 치료할 수 있으나 7일이 된 것은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는 감초탕을 쓴다[중경].
陰毒 宜用正陽散 附子散 回陽救急湯 熨臍法.
음독 때에는 정양산, 부자산, 백출산, 회양구급탕과 배꼽에 찜질하는 방법을 쓴다.
一人傷寒 四肢逆冷 臍下築痛 身疼如被杖 盖陰毒也
急服 金液丹 來復丹二方並見下 痼冷等藥 其脈遂沈 而滑證 雖陰而有陽脈 可生
仍灸臍下100壯 乃手足溫陽回 得汗而解(本事)
어떤 사람이 상한을 만나서 팔다리가 싸늘하고[逆冷]
배꼽노리가 툭툭 뛰면서 아프고 몸은 매를 맞은 것같이 아팠다.
이것은 상한음독(傷寒陰毒)이기 때문에 급히 금액단과 내복단(처방은 다 아래에 있다) 등을 먹였다.
그러자 맥이 곧 침활(沈滑)해졌기 때문에 비록 음증증상은 있으나
양맥(陽脈)이 나타나므로 살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배꼽 아래에 뜸 100장을 뜨니 곧 손발이 더워지고
양기(陽氣)가 회복되어 땀이 나면서 풀렸다[본사].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陽毒][상한양독] (0) | 2020.06.01 |
---|---|
[熨臍法][위제법] (0) | 2020.06.01 |
[厥與四逆不同][궐여사역부동] (0) | 2020.05.31 |
[厥有藏厥蚘厥][궐유장궐회궐] (0) | 2020.05.31 |
[辨陰陽厥法][변음양궐법] (0) | 2020.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