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暴瘖][폭음]
凡語澁 皆屬風(綱目).
대체로 말을 잘 하지 못하는 것은 다 풍증에 속한다[강목].
腎虛 爲厲風 所傷 語音騫吃
或口喎 脚胻 枯細 緩弱
或耳聾 腰背相引痛 腎瀝湯 地黃飮子 主之.
신(腎) 허한 때 여풍( 風)㈜에 상하게 되면 말을 더듬게 되고
혹은 입이 비뚤어지며 다리에 살이 빠져서 느른해지며
혹 귀가 먹고 허리와 잔등이 서로 켕기면서 아프다.
이런 데는 신력탕이나 지황음자를 주로 쓴다.
內經(脈解篇 第四十九) 曰 內奪而厥 則爲瘖痱 此腎虛也 少陰不至者 厥也.
註曰 痱廢也 腎氣內奪 則舌瘖足廢.
내경에 “원기가 허탈되어 궐증(厥證)이 생기면 벙어리가 되며 다리를 쓰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신(腎)이 허한 것이며
소음경(少陰經)의 기(氣)가 미치지 못해서 생긴 궐증(厥證)이다”고 씌어 있다.
주해에는 “비라는 것은 쓰지 못한다는 말이다.
신기(腎氣)가 허탈되면 혀가 뻣뻣해져 말을 하지 못하고 다리를 쓰지 못하게 된다”고 씌어 있다.
中風瘖瘂 宜用淸心散 加味轉舌膏方並見言語 轉舌膏 正舌散 解語丸 淸神解語湯 資壽解語湯.
중풍으로 벙어리가 된 데는 청심산, 가미전설고, 전설고(轉舌膏, 처방은 모두 언어문에 있다),
정설산, 해어환, 청신해어탕, 자수해어탕 등을 쓴다.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口眼窩斜][구안와사] (0) | 2020.05.08 |
---|---|
[精神蒙昧][정신몽매] (0) | 2020.05.08 |
[暴捒][폭송] (0) | 2020.05.07 |
[不治證][불치증] (0) | 2020.05.07 |
[熏法][훈법]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