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醫寶鑑集例]

, , . 

. 

 , . 

, . 

, . 

, . 

, . 

. 

, . 

. 

使, , 
신이 삼가 사람의 몸을 살펴보건대, 안으로는 오장육부가 있고 밖으로는 

근과 골, 기()와 육, 혈과 맥, 그리고 피부가 있어서 그 형체를 이룬다. 

그런데 정기신()이 또한 장부와 백체()의 주()가 되니, 

그렇기 때문에 도가의 삼요()와 불교의 사대()가 모두 이를 말하는 것이다. 

황정경에 '내경()'이라는 글이 있고, 의서에도 역시 내경과 외경의 형상을 

담은 그림이 있다. 

도가에서는 청정()과 수양을 근본으로 삼고 의가[]에서는 약과 식이(), 

침구로써 치료를 하니, 도가는 그 정미로움[]을 얻었고, 

의가는 그 거칠음[]을 얻은 것이다. 

이제 이 책은 먼저 내경인 정기신과 장부를 「내편()」으로 삼고 

그 다음 외경인 머리, 얼굴, 수족, 근과 맥, 골과 육을 모아 「외편」으로 삼았다. 

또한 오운육기와 사상(), 세 가지 치료법[], 내상()과 외감(), 

여러 병의 증상을 모아서 열거하여 「잡편」으로 삼고, 

마지막에 「탕액」과 「침구」를 붙여 그 변화를 다하였으니, 

병든 사람으로 하여금 책을 펴보게 하면 [병의] 허실과 경중(), 

길흉()과 생사()의 조짐이 물이나 거울에 비친 것처럼 분명하여, 

잘못 치료하여 요절하게 하는 우환이 거의 없을 것이다.
, , . 

, . 

, . 

, , 

, , , . 

, , , 

, . 

, , 使便.
옛 사람들의 처방에 들어가는 약재의 양과 숫자는 너무 많아 모두 갖추어 쓰기가 어렵다.

태평혜민화제국방의 한 첩에 들어가는 약물의 숫자가 너무 많으니 

가난한 집에서 어떻게 이를 다 갖추겠는가. 

세의득효방의학정전은 모두 다섯 돈을 표준으로 하니 너무 거칠다. 

대개 한 처방에 네다섯 가지만 들어간다면 다섯 돈씩도 가능하겠지만, 

이삼십 가지의 약이 들어가게 되면 어떤 약재는 겨우 한두 푼만 들어가게 되어 

그 약의 성미()가 너무 적으니 어찌 효과 없음을 탓하겠는가. 

오직 최근의 고금의감과 만병회춘의 약은 한 첩[에 들어가는 

전체 약물의 양이 '일곱, 여덟 돈 혹은 한 냥'에 이르니 약의 성미가 온전하고 

양이 적절하여 요즈음 사람들의 기품에 꼭 들어맞는다. 이제 모두 이 법도를 따라 

기존의 양을 줄여서 한 첩으로 만드니 처방하는 데 편하고 쉬울 것이다.
, , . 

, , , 

, . 

, , 

, .
옛 사람들은 "의학을 배우려면 먼저 본초를 읽어서 약성을 알아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본초는 방대하고 번잡하며 여러 의가의 논의가 한결같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요즘 사람들은 잘 모르는 약재가 거의 반이나 된다. 

지금 쓰이는 처방만을 골라 이 책에서는 신농본초경일화자주,

이고나 주진형의 요점만을 실었다.

또한 중국의 약[]과 향약을 [함께] 실었는데 

향약은 향명()과 생산지, 채취 시기, 말리는 법[]을 써놓았으니 

약을 갖추어 쓰기 쉬워서 멀리서 구하거나 얻기 어려운 폐해가 없을 것이다.
, , . 

, 西. . 

, , , . 

, , . 

,  , , . 

, , , , , .
왕륜[]이 "이고[]는 북의()인데 나천익[]이 

그 의학을 남쪽에 전하여 강소성과 절강성에 그 이름이 널리 알려졌고, 

주진형은 남의()인데 유종후()가 그 학문을 이어 북쪽의 섬서성에서 

명성이 자자하였었다"고 말한 것이 있으니, 

의학에 남과 북이라는 이름이 있은 지가 오래 되었다. 

우리 나라는 동쪽에 치우쳐 있고 의학과 약의 도()가 끊이지 않았으니 

우리 나라의 의학은 '동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감()'이란 만물을 밝게 비추어 그 형체가 거울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원 나라 때 나천익에게는 위생보감이 있고, 

명 나라 때 공신()에게는 고금의감이 있는데, 

모두 '감'이라는 글자로 이름을 삼았으니 그 뜻이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제 이 책을 펼쳐 한번 보면 병의 길흉과 경중이 맑은 거울처럼 밝혀질 것이다. 

그러므로 마침내 동의보감이라고 이름지은 것은 옛 사람이 남긴 뜻을 본받은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