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東醫寶鑑序]


.  

, ,  , 

,  ,  ,  

의학을 하는 자들은 늘 황제와 기백을 말한다. 

황제와 기백은 위로는 하늘의 법도[]를 다하고[], 

아래로는 사람 사는 이치를 다하였으나 굳이 글을 남기려 하지는 않았다. 

그래도 의문점을 말하고 어려운 것을 드러내어 후세를 위해 그 법을 세웠으니, 

의학계에 의서가 있은 지가 이미 오래 되었다. 

, , , , 

, , . 

, , , 

, , , .

위로는 순우의()와 편작에서부터 아래로는 유완소(), 장종정(), 

주진형(), 이고()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학파가 끊임없이 생겨나 

학설이 분분하였고, 부분을 표절하여 다투어 파벌을 만드니, 

책이 많을수록 임상[]은 더욱 어두워져서  영추의 본래 뜻과 큰 차이가 난다. 

세속의 용렬한 의사들은 이치를 탐구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여 경전의 가르침을 

배반하여 자의적으로 쓰기를 좋아하거나, 옛날의 고정적인 데[]에 얽매여 

변화를 알지 못하기도 하니, 분별하고 고르는 데 어두워 요점을 잃어 

사람을 살리는 방법으로 사람을 죽이는 자가 많았다.
, , , , . 

, ,
우리 선조 대왕께서는 몸을 다스리는 법으로 모든 사람을 구제하려는 

어진 마음[]으로 의학에까지 마음을 넓히시어 백성의 고통을 근심하셨다. 

일찍이 병신년()에 태의()인 신하 허준()을 부르시고는 

다음과 같이 하교하셨다.
, , . 

, . , 調, , . 

, . , , , . 

, 使.
요즈음 중국의 의서를 보면 모두 용렬하고 조잡한 것만 모아 놓아 볼 만한 것이 없다. 

마땅히 여러 의서를 널리 모아 하나의 책으로 편집하라. 

또한 사람의 질병은 모두 조리와 섭생의 잘못에서 생기는 것이므로 

수양()을 우선으로 하고 약물은 그 다음이어야 한다. 

여러 의서가 너무 방대하고 번잡하니 그 요점을 고르기에 힘쓸 것이다. 

가난한 시골과 외딴 마을은 의사와 약이 없어서 일찍 죽는 자가 많다. 

우리 나라는 향약()이 많이 나나 사람들이 그것을 알지 못하니 

마땅히 이들 약물을 분류하고 향약명을 함께 써서 백성들이 알기 쉽게 하라. 
退, , , , 

, , . 

, , .
허준이 물러나와 유의()인 정작, 태의()인 양예수, 김응탁, 이명원, 정예남 등과 

더불어 편찬국을 세워, 모은 책들을 편찬하여 주요 줄거리만을 간략히 정리하였을 때 

정유재란()을 당하여 여러 의사들이 뿔뿔이 흩어져 마침내 일을 중단하게 되었다.
, , , . 

, , 曰"鑑" 
그 후 선조께서 다시 허준에게 하교하여 혼자서라도 편찬하라 하고, 

보관하였던 의서 오백 권을 내어주어 이를 바탕으로 참고하고 근거로 삼게 하였으나, 

편찬을 아직 반도 이루지 못한 때 임금께서 돌아가시었다. 

성상께서 즉위하신 지 3년째인 경술년에 허준은 비로소 과업을 마치고 

책을 진상하여 "의보감"라 이름지으니 모두 25권이다.
, , , , , 

, , , . 

, , . 

, . , . 

調
임금께서 보시고 가상히 여기시어 하교하여 가로되, 

양평군 허준이 일찍이 선왕[] 때 의서를 편찬하라는 특별한 분부를 받들어 

오래도록 깊이 생각하여, 유배되어 떠돌아다니던 중에도 그 직무를 버리지 아니하고 

이제 책 한 질을 편찬하여 바쳤다. 

이에 선왕께서 편찬을 명한 책이 덕이 부족하고 어두우며 아직 상복을 입고 있는 

나에게 책이 다 이루어졌다고 고하니 슬픈 마음을 이길 수 없다"고 하셨다. 

그리고 태복마 한 필을 허준에게 주어 그 노고에 보답하게 하고, 

곧 내의원()에 명령을 내려 청()을 만들어 인쇄하도록 하여 

경향 각지[]에 널리 배포하도록 하셨다. 

또한 제조(調)로 있던 신 이정구에게 명하여 서문을 지어 책머리에 붙이도록 하셨다.
, 調, , , 

, , . 

, , , 
신()이 혼자 생각하건대 태화()의 기가 한번 흩어져 육기()가 조화롭지 

못하게 되면 여러 가지 불구의 병이 들고 돌림병이 돌아 백성이 재해를 입게 되니, 

의약으로 백성의 요절을 구제하는 것이 실로 제왕()의 인정() 가운데 

제일 먼저 하여야 할 어진 정치이다. 

그러나 의술은 책이 아니면 그 내용을 실을 수 없고, 

책은 가리지 않으면 정교하지 못하게 되고, 

가려 뽑되 그것이 넓지 못하면 이치가 분명하지 않으며, 

널리 전하지 못하면 혜택이 널리 미치지 못한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이 책은 옛날과 오늘의 것을 두루 갖추어 묶고 여러 사람의 말을 절충하여 

근원을 탐구하고 원칙과 요점을 잡았으니, 상세하되 산만하지 않고 간결하되 

포괄하지 않음이 없다. 

내경, 외형으로부터 시작하여 잡병()과 여러 가지 처방으로 나누고, 

맥결(), 병증론[]과 약성(), 치료법, 섭생과 양생의 요점[], 

침구의 여러 법규에 이르기까지 갖추지 않은 것이 없고 질서 정연하여 문란하지 않다. 

그러하니 병이 비록 그 증상이 백 가지 천 가지로 나뉜다 하여도 

보사()와 완급()을 잘 한다면 널리 대응하여 모두 이치에 들어맞을 것이다. 

그러므로 구태여 멀리는 옛 서적이나 가깝게는 요즈음 이러저러한 

조문을 살필 필요도 없이 분류한 데[]에 따라 처방을 찾으면 중첩하여 거듭 나오니, 

어떤 증()에 대하여 약을 투여하여도 좌계()처럼 꼭 들어맞는다. 

진실로 의학을 하는 이의 귀한 거울[]이요, 세상을 구하는 훌륭한 법이다. 

이는 모두 선왕께서 가르쳐주신 오묘한 지혜이며 

또한 우리 성왕[, 광해군]께서 선왕()의 뜻을 그대로 이어받은 높은 뜻이니, 

이는 곧 백성을 사랑하고 사물을 아끼는 덕이며, 사용을 편리하게 하여 

삶을 도탑게 하는[] 도()이며, 앞과 뒤[선조와 광해군]가 한결같으니 

[두 분의] 중화()하고 위육()하는 정치가 바로 여기에서 나타났다. 

옛말에 "어진이의 마음 씀씀이는 그 이로움이 넓다" 하니 참으로 그러하다.

, 祿夫, 學, 學, 

筵, 館, 客, .
 

微 
1611년 신해년 초여름(음력 4월), 

숭록대부, 행이조판서 겸 홍문관 대제학, 예문관 대제학, 지경연, 춘추관, 

성균관사 세자의 좌빈객, 신하 이정구가 하교를 받들어 삼가 서를 짓다.
1613년 음력 11월 내의원에서 하교를 받들어 간행하다.
훈련도감 교관, 통훈대부, 내의원 직장, 신하 이희헌
통훈대부, 행내의원, 부봉사, 신하 윤지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