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諸蟲入耳][제충입이]
諸虫入耳不出, 將兩刀於耳門上, 相磨敲作聲, 虫聞自出.

又將鏡子敲之, 亦出[本草].

여러 가지 벌레가 귓속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 때는

귓구멍 앞에서 두 자루의 칼을 서로 갈거나 부딪치는 소리를 내면

벌레가 그 소리를 듣고 스스로 나온다.

또 거울로 부딪쳐 소리를 내도 나온다(본초).

取車釭脂塗耳孔, 虫自出[本草].

수레바퀴 통쇠의 기름[車釭脂]을 귓구멍 속에 바르면 벌레가 스스로 나온다(본초).

藍靑汁滴入耳中, 虫自死出[得效].

남청즙을 귓속에 방울방울 떨어뜨려 넣으면 벌레가 죽어서 저절로 나온다(득효).

川椒末醋浸良久, 取汁灌耳中, 虫自出[本草].

천초가루를 식초에 한참 담갔다가 그 즙을 귓속에 흘려 넣으면 벌레가 스스로 나온다(본초).

諸虫及虱入耳, 白膠香燒烟熏入耳, 耳內煖, 虫自出[綱目].

여러 가지 벌레와 이가 귀에 들어갔을 때

백교향 태운 연기를 귓속에 들어가게 쏘이면

귓속이 따뜻해지면서 벌레가 스스로 나온다(강목).

虫入耳痛者, 鰻鱺魚膏塗入耳中[本草].

벌레가 귀에 들어가 아픈 데에는 뱀장어기름을 귓속에 바른다(본초).

諸虫入耳, 桃葉熟挼塞耳中, 卽出[本草].

여러 가지 벌레가 귀에 들어가면

복숭아 잎을 잘 비벼서 귓구멍을 틀어막으면 바로 나온다(본초).

惡虫入耳, 桃葉作枕, 枕之, 虫自鼻出[得效].

나쁜 벌레가 귀에 들어갔을 때는

복숭아 잎으로 베개를 만들어 베면 벌레가 코로 나온다(득효).

飛虫入耳, 好醋滴入耳內, 虫必死而出[綱目].

날아다니는 벌레가 귀에 들어갔을 때는

좋은 식초를 귓속에 방울방울 떨어뜨려 넣으면 벌레가 반드시 죽어서 나온다(강목).

飛蛾入耳, 醬汁灌耳中, 卽出. 又擊銅器於耳傍, 亦出[本草].

날아다니는 나방이 귀에 들어갔을 때는 간장을 귓속에 흘려 넣으면 바로 나온다.

또 구리그릇을 귀 옆에서 두드려도 나온다(본초).

百虫入耳, 韭汁葱汁薑汁麻油雞冠熱血隨所得, 灌耳中, 卽出[本草].

온갖 벌레가 귀에 들어갔을 때는

부추즙이나 파즙, 생강즙, 참기름이나 닭 볏의 뜨거운 피 등 구하는 대로

귓속에 흘려 넣으면 바로 나온다(본초).

驢乳牛乳灌入耳, 亦卽出[丹心].

당나귀 젖이나 우유를 귀에 넣어도 바로 나온다(단심).
蜈蚣入耳, 生薑汁或韭汁灌耳中, 卽出[得效].

지네가 귀에 들어갔을 때는 생강즙이나 부추즙을 귓속에 흘려 넣으면 바로 나온다(득효).

又猪脂肉灸令香, 掩耳, 蜈蚣自出[本草].

또 돼지의 비계와 고기를 구워서 귀에 대고 냄새를 피워 귓속으로 들어가게 한 다음

귀를 가려 막으면 지내가 스스로 나온다(본초).

蚰蜒入耳, 半夏生爲末, 麻油調, 塗耳門外, 虫聞香卽出[綱目].

그리마[蚰蜒]가 귀에 들어갔을 때는

생반하를 가루내어 참기름에 개서 귓구멍 겉에 바르면 벌레가 냄새를 맡고 바로 나온다(강목).

活地龍一條, 納葱葉中, 化水, 滴耳中, 蚰蜒化爲水[本草].

살아 있는 지렁이 한 마리를 파잎 속에 넣어두면 물처럼 녹는데,

그것을 귀에 방울방울 떨어뜨려 넣으면 그리마도 녹아서 물처럼 된다(본초).

鼠婦虫硏如泥, 攤紙上, 撚作條, 納耳中, 自出.

又蝸牛滴水硏爛, 滴汁耳中, 亦出[綱目].

쥐며느리를 진흙처럼 갈아서 종이 위에 펼쳐 놓고

꼬아서 심지를 만들어 귓속에 넣으면 스스로 나온다.

또 달팽이를 물방울을 떨어뜨리면서 문드러지게 갈아

그 즙을 귓속에 방울방울 떨어뜨려 넣어도 나온다(강목).

脂麻油作煎餠枕臥, 須臾出[本草].

참기름을 넣어 찐 떡을 베고 누우면 벌레가 바로 나온다(본초).

小蒜汁滴入耳, 卽出.

諸虫皆同[本草].

달래즙을 귀에 방울방울 떨어뜨려 넣으면 벌레가 바로 나온다.

다른 벌레들도 역시 모두 같다(본초).

牛酪或驢乳灌耳中, 當消成水[本草].

졸인 소의 젖이나 당나귀 젖을 귓속에 흘려 넣으면 벌레가 녹아서 물처럼 된다(본초).

蟻子入耳, 穿山甲燒末, 水調灌之, 卽出[本草].

개미가 귀에 들어갔을 때는

천산갑을 태워 가루내어 물에 타서 귓속에 흘려 넣으면 바로 나온다(본초).

猪脂或牛脂或肉灸令香, 安耳孔, 虫自出[本草].

돼지기름이나 쇠기름, 고기를 구워서 냄새를 피워 귓속에 들어가게 한 다음

귀를 막으면 벌레가 스스로 나온다(본초).

耳中有物, 不可出, 用弓弦或麻繩, 打令頭散, 塗好膠, 粘着其物, 徐徐引出, 妙[本草].

귓속에 이물질이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 때는

활줄이나 삼줄의 한쪽을 두드려 풀어지게 한 다음

그 끝에 좋은 아교를 발라서 그 이물질이 붙게 하여 천천히 빼내면 좋다(본초).

取葱管, 合於耳門內, 極力吸之, 卽出[本草].

파의 대롱을 잘라서 귓구멍 속에 딱 맞게 하여 입으로 힘껏 빨면 바로 빠진다(본초).

一切虫物入耳不出, 以竹管入耳內, 用口氣, 盡力吸出, 最妙[丹心].

모든 벌레나 이물질이 귀에 들어가서 나오지 않을 때는

대나무 대롱을 귓속에 넣고 입으로 힘껏 빨아내는 것이 가장 좋다(단심).       

'[外形篇] > [耳]'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治證][불치증]   (0) 2020.02.03
[修養法][수양법]   (0) 2020.02.03
[透關通氣藥][투관통기약]   (0) 2020.02.03
[耳痒][이양]   (0) 2020.02.03
[耳痛成膿耳][이통성농이]   (0) 2020.02.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