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朮][백출 / 흰삽주]  


性溫味苦甘無毒健脾强胃止瀉除濕

消食止汗除心下急滿及囍亂吐瀉不止利腰臍間血療胃虛冷痢
성질은 따뜻하고[溫] 맛이 쓰며[苦] 달고[甘] 독이 없다.

비위를 든든하게 하고 설사를 멎게 하고 습을 없앤다.
또한 소화를 시키고 땀을 걷우며 명치 밑이 몹시 그득한 것과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위(胃)가 허랭(虛冷)하여 생긴 이질을 낫게 한다.
生山中處處有之其形㵋促色微褐氣味微辛苦而不烈

一名[乞力伽]此白朮也[本草]
산에서 자라는데 어느 곳에나 다 있다.
그 뿌리의 겉모양이 거칠며 둥근 마디로 되어 있다. 빛은 연한 갈색이다.
맛은 맵고 쓰나[辛苦] 심하지 않다.
일명 걸력가(乞力伽)라고 하는 것이 즉 흰삽주이다[본초].
本草無蒼白之名近世多用白朮治皮膚間風止汗消搽

補胃和中利腰臍間血通水道上而皮毛中而心胃下而腰臍在氣主氣在血主血[湯液]
신농본초경에는 삽주와 흰삽주의 이름이 없었는데 근래 와서 흰삽주를 많이 쓴다.
흰삽주는 피부 속에 있는 풍을 없애며 땀을 걷우고 트직한 것을 없애며

위(胃)를 보하고 중초를 고르게 한다.
허리와 배꼽 사이의 혈을 잘 돌게 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
위로는 피모(皮毛), 중간으로는 심과 위, 아래로는 허리와 배꼽의 병을 치료한다.
기병(氣病)이 있으면 기를 치료하고 혈병(血病)이 있으면 혈을 치료한다[탕액].
入手太陽少陰足陽明太陰四經

緩脾生津去濕止渴米厹浸半日去蘆取色白不油者用之[入門]
수태양과 수소음, 족양명과 족태음의 4경에 들어간다.
비(脾)를 완화시키며[緩] 진액을 생기게 하고 습을 말리며 갈증을 멎게 한다.
쌀 씻은 물에 한나절 담갔다가 노두를 버리고 빛이 희고 기름기가 없는 것을 쓴다[입문].
瀉胃火生用補胃虛黃土同炒[入門]
위화(胃火)를 사하는 데는 생것으로 쓰고 위허를 보할 때에는 누른 흙과 같이 닦아 쓴다[입문].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兎絲子][토사자]   (0) 2019.05.19
[蒼朮][창출]   (0) 2019.05.19
[熟地黃][숙지황]  (0) 2019.05.15
[生地黃][생지황]   (0) 2019.05.15
[甘草節][감초절]   (0) 2019.05.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