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生地黃][생지황]


性寒味甘(一云苦)無毒

解諸熱破血消瘀血

通利月水主婦人崩中血不止及胎動下血幷婼血吐血
성질은 차고[寒] 맛이 달며[甘](쓰다[苦]고도 한다) 독이 없다.
모든 열을 내리며 뭉친 피를 헤치고 어혈을 삭게 한다.
또한 월경을 잘 통하게 한다.
부인이 붕루증으로 피가 멎지 않는 것과 태동(胎動)으로 하혈하는 것과

코피, 피를 토하는 것 등에 쓴다.
處處種之二月八月採根陰乾沈水肥大者佳
一名[地髓] 一名[] 生黃土地者佳
어느 곳에나 심을 수 있는데 음력 2월이나 8월에 뿌리를 캐어 그늘에 말린다.
물에 넣으면 가라앉고 살이 찌고 큰 것이 좋은 것이다.
일명 지수(地髓) 또는 하(禳)라고도 하는데 누런 땅에 심은 것이 좋다.
本經不言生乾及蒸乾蒸乾則溫生乾則平宣
신농본초경에는 생으로 말린다[生乾]는 말과 쪄서 말린다[蒸乾]는 말은 하지 않았는데

쪄서 말리면 그 성질이 따뜻하고[溫] 생으로 말리면 그 성질이 평순해진다[平宣].
初採浸水中浮者名天黃半浮半沈者名[人黃]沈者名[地黃]

沈者力佳入藥半沈者次之浮者名天黃不堪用採時不可犯銅鐵器[本草]
금방 캔 것을 물에 담그어 뜨는 것을 인황(人黃)이라 하며

가라앉는 것을 지황(地黃)이라고 한다.

가라앉는 것은 효력이 좋아서 약으로 쓰며

절반쯤 가라앉는 것은 그 다음이며

뜨는 것은 약으로 쓰지 않는다.

지황을 캘 때 구리나 쇠붙이로 만든 도구를 쓰지 않는 것이 좋다[본초].
能生血凉血入手太陽少陰經之劑酒浸則上行外行[湯液]
생지황은 혈을 생기게 하고 혈의 열을 식히며 수태양과 수소음경에 들어가며

술에 담그면 약성이 위로 올라가고 겉으로 나간다[탕액].

'[湯液篇] > [草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白朮][백출]  (0) 2019.05.19
[熟地黃][숙지황]  (0) 2019.05.15
[甘草節][감초절]   (0) 2019.05.15
[甘草梢][감초소]   (0) 2019.05.15
[甘草][감초]   (0) 2019.05.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