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味四七湯][가미사칠탕]
治梅核氣, 妙不可述.
紫蘇葉, 半夏, 厚朴, 赤茯苓, 陳皮, 枳實, 南星, 縮砂, 神麴 各一錢,
靑皮 七分,
白豆蔲 六分,
檳榔, 益智仁 各三分.
右剉作一貼, 薑五片, 水煎服[醫鑑].
매핵기를 치료하는 데 이루 말할 수 없이 좋다.
자소엽, 반하, 후박, 적복령, 진피, 지실, 남성, 사인, 신곡 각 한 돈,
청피 일곱 푼, 백두구 여섯 푼,
빈랑, 익지인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味四七湯][가미사칠탕]
治痰氣鬱結, 窒碍於咽喉之間, 喀之不出, 嚥之不下, 謂之梅核氣者.
半夏, 陳皮, 赤茯苓 各一錢,
神麴 炒, 枳實, 南星 炮 各七分,
靑皮, 厚朴, 紫蘇葉, 檳榔, 縮砂 各五分,
白豆蔲, 益智仁 各三分.
右剉作一貼, 入薑五片, 水煎服[醫鑑].
담기(痰氣)가 뭉쳐서 목구멍을 막아 뱉어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것을 치료하는데, 이를 매핵기라고 한다.
반하, 진피, 적복령 각 한 돈,
신곡(볶은 것), 지실, 남성(싸서 구운 것) 각 일곱 푼,
청피, 후박, 자소엽, 빈랑, 축사인 각 다섯 푼,
백두구, 익지인 각 서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다섯 쪽을 넣고 물에 달여 먹는다(의감).

[加味四七湯][가미사칠탕]
治心氣鬱滯, 豁痰散驚.
半夏 製 二錢,
赤茯苓, 厚朴 各一錢二分,
茯神, 紫蘇葉 各八分,
遠志 薑製, 甘草 灸 各五分.
右剉作一貼, 薑七片棗二枚石菖蒲半寸, 同煎服[得效].
심기가 뭉치고 막힌 것을 치료한다. 담을 삭이고 놀란 것을 없앤다.
반하(법제한 것) 두 돈,
적복령, 후박 각 한 돈 두 푼,
복신, 자소엽 각 여덟 푼,
원지(생강으로 법제한 것), 감초(구운 것) 각 다섯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생강 일곱 쪽과 대추 두 개,

석창포 반 치를 넣고 함께 달여 먹는다(득효).

[加味四七湯][가미사칠탕]
治 心氣鬱滯 豁痰散驚
半夏製8g, 白茯神6g, 赤茯苓, 厚朴 各5g ,
紫蘇葉4g, 遠志薑製3g, 甘草灸 各2g
生薑12g, 大棗6g, 石菖蒲半寸 同煎服(得效).
심기(心氣)가 울체(鬱滯)된 것을 치료한다.
담(痰)을 삭이고 놀라는 증을 없앤다.
끼무릇(반하, 법제한 것) 8g,
벌건솔풍령(적복령), 후박 각각 4.8g,
복신, 차조기잎(자소엽) 각각 3.2g,
원지(생강즙으로 법제한 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7쪽과 대추 2개,
석창포 반치와 함께 넣고 달여 먹는다[득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