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半天河水][반천하수] [대나무울타리나 높은 나무의 구멍에 고인 빗물]
性平(一云微寒一云寒). 味甘 無毒.
성질이 평(平)하고
(혹은 약간 차다고도 하고 차다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此竹籬頭 及高樹穴中 盛天雨水也(本草).
治心病鬼疰狂邪氣 惡毒 能殺鬼精 恍惚 妄語皆可飮幷洗 諸瘡(本草).
[長桑君] 授扁鵲 飮以上池之水 乃竹籬藩頭管內之積水耳
取其淸潔自天而降 未受下流 汚濁之氣 故可以煉還丹 調仙藥之用也(正傳).
심병(心病)과 귀주, 미친 병[狂邪]을 낫게 하는데 독한 사기와 귀정(鬼精)을 없앤다.
정신이 얼떨떨하고 헛소리하는 증[恍惚妄語]도 낫게 한다.
이것은 참대울타리 윗 끝이나 큰 나무의 구새먹은 구멍에 고인 빗물을 말하는데
먹을 수도 있고 여러 가지 헌데[諸瘡]를 씻을 수도 있다[본초].
장상군(長桑君)이 편작(扁鵲)에게 주어서 마시게 한 상지(上池)의 물이라는 것이
바로 참대울타리윗끝의 구멍에 고였던 물이었다.
이 물은 깨끗한데 그것은 하늘에서 내려와 땅의 더럽고 흐린 것이 섞이지 않은 물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늙지 않게 하는 좋은 약을 만들 때 쓸 수 있다[정전].
治白䮕 取水洗 擣桂屑和唾 付䮕上 日再(本草).
백철(白 )을 치료한다.
이 물로 그곳을 씻고 계피를 가루를 내어 물로 갠 다음
하루에 두번씩 백철이 난 곳에 바른다[본초].
殺鬼精癲狂, 取與飮之 勿令知(本草).
사귀의 기운으로 미친 것을 치료한다.
환자가 무슨 물인지 모르고 마시게 해야 한다[본초].
'[湯液篇] > [水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玉井水][옥정수] (0) | 2018.02.07 |
---|---|
[屋漏水][옥류수] (0) | 2018.02.07 |
[梅雨水][매우수] (0) | 2018.02.07 |
[方諸水][방제수] (0) | 2018.02.06 |
[夏氷][하빙] [여름어름] (0) | 2018.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