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心胃痛治法][심위통치법]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을 치료하는 방법]
凡心胃痛 須分新久
若明知身受寒氣 口喫寒物而得者 於初得之
時當與溫散 或溫利之.
溫散 謂麻黃桂枝湯 桂枝四七湯方見上 冷心痛,
溫利 謂九痛元方見上 心痛有九種 煮黃丸方見上
心胃痛當分虛實 得之稍久 則成鬱 鬱久則蒸熱 熱久必生火.
若行溫散溫利 寧不助火添病耶 由是方中多以山梔
爲熱藥之向導 則邪易伏病易退 正氣復 而病安矣(丹心).
가슴과 위가 아픈 것은 반드시 오래된 것과 갓 생긴 것을 구분하여야 한다.
만일 몸에 찬 기운을 받았거나 찬 음식을 먹어서 생긴 것을 똑똑히 알면
초기에 반드시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발산시키거나 설사시켜야 한다.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발산시킬 때는
마황계지탕, 계지사칠탕(桂枝四七湯)을 쓰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설사시킬 때는 구통원, 자황환(煮黃丸)을 쓴다.
병든 지 좀 오래면 울증(鬱證)이 된다.
울증이 오래면 열이 나고 열이 오랫동안 나면 반드시 화(火)가 생긴다.
이때 만약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발산시키거나 설사시킨다면
화를 도와서 병을 더하게 하지 않겠는가?
그러므로 이런 때는 처방 속에 산치자를 많이 넣어 성질이 더운약으로
이끌어 가게 하면 사기는 쉽게 굴복되고 병은 쉽게 없어지며
정기가 회복되어 병이 낫게 된다[단심].
寒冷 自外而入 初則是寒鬱 久則變熱 始終俱是熱也
宜分寒 熱 血 蟲 4條 寒則溫之 熱則淸之 血則散之 蟲則殺之
庶乎 不惑也(丹心).
한랭(寒冷)의 사기가 밖으로부터 들어오면
처음에는 한사가 몰려 있지만 오래되면 열로 변한다.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다 열인 것도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한(寒), 열(熱), 혈(血), 충(蟲)의
4가지 증으로 구분해야 한다.
한증이면 따뜻하게 하고 열증이면 열을 내리며 혈증이면 헤쳐야 하고
충증이면 충을 죽이는 것이 잘못되지는 않을 것이다[단심].

'[處方箋] > [處方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罨臍法][엄제법]  (0) 2018.12.12
[陽煉秋石法][양련추석법]   (0) 2018.12.12
[息積導引法][식적도인법]  (0) 2018.12.12
[曬乾人乳法][쇄건인유법]  (0) 2018.12.12
[服朱砂法][복주사법]  (0) 2018.12.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