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繆刺][교자]
黃帝問曰.
余聞繆刺.未得其意.何謂繆刺.
황제께서 물으셨다.
나는 지금 교자라는 자법을 들었는데,
그 의미를 잘 모르겠소.
교자란 어떠한 자법이요?
岐伯對曰.
夫邪之客於形也.
必先舍於皮毛.
留而不去.入舍於孫?.
留而不去.入舍於絡?.
留而不去.入舍於經?.
?連五藏.散於腸胃.
陰陽?感.五藏乃傷.
此邪之從皮毛而入.
極於五藏之次也.
如此則治其經焉.
今邪客於皮毛.
入舍於孫絡.留而不去.
閉塞不通.不得入於經.
流溢於大絡.而生奇病也.
夫邪客大絡者.
左注右.右注左.上下左右.
與經相干.而布於四末.
其氣無常處.不入於經兪.
命曰繆刺.
기백이 대답하였다.
무릇 외사가 인체에 침입할 때는 반드시 최초는 피모에 머뭅니다.
거기서 쫓아낼 수 없을 때는 손락에 머뭅니다.
거기서 쫓아낼 수 없을 때는 낙맥에 머뭅니다.
거기서 쫓아낼 수 없을 때는 경맥에 머뭅니다.
거기에서 내부의 5장으로 관련되고, 또 6부의 위장으로 산입됩니다.
만약 이 때 표리 관계에 있는 음양의 경맥이 함께 아파서
소위 양감의 병으로 되면 장의 기능이 손상됩니다.
이상이 외사(外邪)가 피모에서 5장에까지 침입하는 순서이며,
이러한 경우는 그 앓고 있는 경맥을 치료하면 됩니다.
지금 외사가 맨 먼저 피모에 머물고,
이어서 손락에 침입하여 머물렀다고 합니다.
여기서 쫓아내지 못할 때는 외사가 낙맥을 통하여
경맥으로 침입해 갈 것인데,
만약 이 통로가 어떠한 원인으로 폐색되어 불통이 되면
경맥에 침입할 수가 없어서 사기(邪氣)는 부득이 넘쳐서
대락으로 흐르고, 거기서 기병이 생기는 것입니다.
무릇 사기가 대락에 머물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다가
혹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흐르기도 하고,
상하 좌우로 유통하여 경맥의 유통과는 전혀 다르게
수족으로 흩어져서 사기가 있는 곳이 일정하지 않으므로
경맥상의 수혈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 치법을 교자라고 합니다.
帝曰.
願聞繆刺.
以左取右.以右取左.奈何.
其與巨刺.何以別之.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교자는 좌측이 병이면 우측을 찌르고,
우측이 병이면 좌측을 찌르는 것은 어째서이며,
거자와는 어떻게 다른 것이요?
岐伯曰.
邪客於經.左盛則右病.右盛則左病.
亦有移易者.左痛未已.而右?先病.
如此者.必巨刺之.
必中其經.非絡?也.
故絡病者.其痛與經?繆處.
故命曰繆刺.
기백이 대답하였다.
사기가 경맥에 머물러서 좌측이 성대해졌기 때문에 우측이 병이 되거나,
우측이 성대해졌기 때문에 좌측이 병이 되는 경우
혹은 또 좌우로 이동할 때에는 좌측의 아픔이 아직 그치지 않는 동안에
우측의 맥이 먼저 병이 된다는 경우 반드시 거자를 실시합니다.
그것은 반드시 그 앓고 있는 경맥상의 수혈을 찌르는 것이며,
낙맥을 찌르는 것은 아닙니다.
대락의 병은 이와는 달라서 아픔이 경맥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규정된 수혈을 찌르는 것이 아니고, 그것과 다른 낙을 찌르는 법이므로
교자라고 명명합니다.
帝曰.
願聞繆刺奈何.取之何如.
황제께서 말씀하셨다.
교자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듣고 싶소.
취혈법은 어떠하오?
岐伯曰.
邪客於足少陰之絡.
令人卒心痛暴脹.胸脇支滿.
無積者.刺然骨之前.
出血.如食頃而已.
不已.左取右.右取左.
病新發者.取五日已.
기백이 말하였다.
사기가 족소음신경의 낙맥(낙혈)의 태종에 머물면 급격하게 심장부에
아픔이 생겨 배가 불러져서 가슴이나 옆구리가 아래서 밀려 버티는
것처럼 팽만해집니다.
나병이 아닌 자는 연곡 부근의 울혈이 있는 부락을 찔러서 사혈하면
15분 정도 지나서 낫는 것인데,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왼쪽이 아플 때는 오른쪽을 찌르고,
오른쪽이 아플 때는 왼쪽을 찌릅니다.
신병인 자는 5일간 치료하면 치유됩니다.
邪客於手少陽之絡.令人喉痺.
舌卷口乾.心煩.臂外廉痛.手不及頭.
刺手中指次指爪甲上.去端如?葉.各一?.
壯者立已.老者有頃已.
左取右.右取左.
此新病.數日已.
邪客於足厥陰之絡.令人卒疝暴痛.
刺足大指爪甲上.與肉交者.各一?.
男子立已.女子有頃已.
左取右.右取左.
사기가 수소양 3초경의 낙맥의 외관에 머물면
목이 아파서 붓는 병인 후비로 되며,
혀가 말려들고, 입안이 건조되며, 심장부가 괴롭고,
팔의 외측이 아파서 그로 인해 손을 머리까지 올릴 수 없습니다.
무명지(네번째 손가락)의 조갑근부(손톱뿌리부분)의 부추(?)의
잎사귀 끝과 같은 관충 부근의 혈락을 찌르면 1자(刺)로서
장년인 환자라면 즉시, 노년인 환자라면 얼마간 지나서 낫습니다.
왼쪽이 아플 때는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플 때는 왼쪽을 찌릅니다.
신병은 수일 만에 치유됩니다.
사기가 족궐음간경의 낙맥의 나구(여구 :경골과 상 5촌)에 머물면
갑자기 하복부에서 고환에 걸쳐 붓고 아픕니다.
이때는 족의 모지의 조갑근부를 1자하면 남자는 즉시 낫고,
여자는 잠시 후에 낫습니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릅니다.
邪客於足太陽之絡.令人頭項肩痛.
刺足小指爪甲上.與肉交者.各一?.立已.
不已.刺外?下三?.
左取右.右取左.如食頃已.
사기가 족태양방광경의 낙맥의 비양에 머물면
머리나 목덜미나 어깨가 아픕니다.
이때는 족의 제5지의 조갑근부의 지음 부근을 1자하면 곧 낫습니다.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외과의 아래 금문 부근을 3자합니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르게 되면
잠시 지나서 낫는 것입니다.
邪客於手陽明之絡.
令人氣滿胸中.喘息而支?.胸中熱.
刺手大指次指爪甲上.去端如?葉.各一?.
左取右.右取左.如食頃已.
邪客於臂掌之間.不可得屈.刺其?後.
先以指按之.痛乃刺之.
以月死生爲數.
月生一日一?.二日二?.
十五日十五?.十六日十四?.
邪客於足陽?之?.令人目痛.從??始.
刺外?之下半寸所.各二?.
左刺右.右刺左.
如行十里頃而已.
사기가 수양명대장경의 낙맥의 편력에 머물면
가슴 속에 기가 가득 차서 식식거리며,
호흡이 거칠고, 옆구리가 아래에서 치밀어 오르고, 가슴 속이 뜨거워집니다.
이때는 식지의 조갑근부의 상양 부근의
부추의 잎사귀 끝과 같은 곳을 1자합니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르게 되면
잠시 뒤에 낫습니다.
사기가 수궐음심포락의 경맥의 내관에 머물면
손목이 아파서 굽힐 수 없습니다.
이때는 손목뼈(수근골) 뒤 부근을 손가락으로 눌러서 그 압통점을 찌릅니다.
달의 영결에 따라서 자수를 결정합니다.
즉 신월의 1일은 1자, 2일은 2자, 만월인 15일에는 15자,
16야의 16일에는 14자로 점차 줄여 갑니다.
사기가 양교맥에 머물면 눈의 내자에서 아프기 시작합니다.
이때는 족의 외과의 아래 반촌의 신맥 부근을 2자합니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르는데,
1시간가량 지나면 낫습니다.
人有所墮墜.惡血留?.
腹中滿脹.不得前後.先飮利藥.
此上傷厥陰之?.下傷少陰之絡.
刺足??之下.然骨之前血?.出血.刺足?上動?.
不已.刺三毛上.各一?.見血立已.
左刺右.右刺左.
善悲驚不樂.刺如右方.
높은 곳에서 추락하거나 해서 내출혈된 나쁜 피가 체내에 머물러
흡수되지 않을 때는 뱃속이 팽만 되거나 대소변이 나오지 않게 됩니다.
이때는 맨 먼저 하제나 이뇨제를 투여합니다.
그것은 상부에서는 족궐음간경의 맥을 뚫고,
아래에서는 족소음신경의 낙맥을 뚫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어서 족의 내과의 아래의 연곡 부근의 혈락을 찔러서 사혈합니다.
또한 족배의 맥동하는 부위를 찌릅니다.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족의 무지의 조갑근부 중앙의 3모가 있는
위를 찔러서 사혈하면 곧 낫습니다.
이 때도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릅니다.
또한 정신적으로 동요하여 슬퍼하거나 놀라거나 하는
환자도 같은 자법을 씁니다.
邪客於手陽明之絡.令人耳聾.時不聞音.
刺手大指次指爪甲上.去端如?葉.各一?.立聞.
不已.刺中指爪甲上.與肉交者.立聞.
其不時聞者.不可刺也.
耳中生風者.亦刺之如此數.
左刺右.右刺左.
사기가 수양명대장경의 낙맥의 편력에 머물면 귀가 안 들리게 되거나
혹은 때때로 소리가 안 들리게 되기도 합니다.
이때는 손의 식지의 조갑근부의 부추 잎사귀 끝과 같은
상양 부근을 1자하면 곧 귀가 들리게 됩니다.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중지의 조갑근부의 중추 부근을 찌르면
곧 들리게 됩니다.
때때로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되는 경우는 찔러서는 안 됩니다.
귓속에 바람이 부는듯한 이명이 생기는 자도 이와 같이 찌릅니다.
왼쪽이 들리지 않을 때는 오른쪽을,
오른쪽이 들리지 않을 때는 왼쪽을 찌릅니다.
凡痺往來行無常處者.
在分肉間痛而刺之.
以月死生爲數.用鍼者.
隨氣盛衰.以爲?數.
鍼過其日數.則?氣.
不及日數.則氣不寫.
左刺右.右刺左.病已止.
不已.復刺之如法.
月生一日一?.二日二?.漸多之.
十五日十五?.十六日十四?.漸少之.
무릇 풍한습에 의하여 비병이 생겨서 그 아픔이 여기저기로 이동하여
일정하지 않은 자는 사기가 분육의 사이를 방황하고 있으므로
그 아픈 때를 겨누어 찌릅니다.
그리하여 달의 영결에 의하여 자수를 결정합니다.
즉 시술에 있어서는 천의 기에 성쇠에 따라서 자수를 정합니다.
만약 자수가 과잉으로 되면 정기가 빠져 버리며,
부족하면 사기를 추방할 수 없습니다.
이때도 왼쪽이 아프면 그 부위의 오른쪽을 찌르고,
오른쪽이 아프면 그 부위의 왼쪽을 찌르는 것이며,
아픔이 멎으면 시술을 그칩니다.
만약 아픔이 가시지 않을 때는 규정대로의 자법을 되풀이합니다.
즉 신월 1일은 1자, 2일은 2자로서 점차 증가해 가서 15일은 15자,
16야의 16일은 14자로서 점차 줄여 갑니다.
邪客於足陽明之經.令人??.上齒寒.
刺足中指次指爪甲上.與肉交者.各一?.
左刺右.右刺左.
사기가 족양명위경의 낙맥의 풍륭에 머물면 코가 막히고,
또 코피가 나서 위 치아에 한기가 스며들게 됩니다.
이때는 족의 제2지의 조갑근부의 여태 부근을 1자합니다.
역시 왼쪽이 나쁠 때는 오른쪽을, 오른쪽이 나쁠 때는 왼쪽을 찌릅니다.
邪客於足少陽之絡.令人脇痛不得息.?而汗出.
刺足小指次指爪甲上.與肉交者.各一?.
不得息立已.汗出立止.
?者?衣飮食.一日已.
左刺右.右刺左.病立已.
不已復刺如法.
사기가 족소양담경의 낙맥의 광명에 머물면 옆구리가 아파서
그로 인해 숨쉬기가 괴롭고, 또 기침을 하면 땀이 납니다.
이때는 족의 제4지의 조갑근부의 규음 부근을 1자합니다.
옆구리가 아파서 숨쉬기가 괴롭던 것도 곧 낫고,
기침을 하면 땀이 나던 것도 곧 멎습니다.
기침을 하는 자는 다시 의복을 따뜻하게 하고,
따뜻한 음식물을 먹이면 하루 지나서 낫습니다.
왼쪽이 아플 때는 오른쪽을 찌르고,
오른쪽이 아플 때는 왼쪽을 찌르면 곧 나을 것인데,
낫지 않을 때는 전과 마찬가지로 규칙에 따라서 되풀이합니다.
邪客於足少陰之絡.
令人?痛.不可?食.
無故善怒.氣上走賁上.
刺足下中央之?.各三?.凡六刺.立已.
左刺右.右刺左.
?中腫.不能?唾.時不能出唾者.
刺然骨之前.出血立已.
左刺右.右刺左.
사기가 족소음신경의 낙맥의 태종에 머물면 목이 아파서 음식물을 먹을 수 없습니다.
또한 이유도 없이 잘 노하게 되고,
또 하복부에서 가슴이나 목을 향하여 기가 상충하는 증상을 일으킬 때는 발바닥의 중앙에 있는 용천을 3자합니다.
6자하면 곧 낫습니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릅니다.
또 목안이 부어서 침을 삼킬 수도 뱉을 수도 없을 정도인 사람은 연곡 부근을 찔러서 사혈하면 곧 낫습니다.
왼쪽이 부어 있을 때는 오른쪽을, 오른쪽이 부어 있을 때는 왼쪽을 찌릅니다.
邪客於足太陰之絡.令人腰痛.
引少腹控次.不可以仰息.
刺腰尻之解.兩?之上.是腰兪.
以月死生爲?數.
發鍼立已.
左刺右.右刺左.
사기가 족태음비경의 낙맥의 공손에 머물면 허리가 아파서 하복부에까지 울리고,
또 옆구리까지 땅기므로 앙와위로는 숨을 쉴 수도 없습니다.
이 때는 엉덩이의 갈라진 틈인 요유의 우측의 솟아오른 육상에 있는 백환유를 찌릅니다.
달의 영결에 따라서 자수를 정하여 자침이 끝나면 곧 낫습니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릅니다.
邪客於足太陽之絡.
令人拘攣背急.引脇而痛.
刺之從項始.數脊椎.?脊疾按之.
應手如痛.刺之傍三?.立已.
사기가 족태양방광경의 낙맥의 비양에 머물면
경련을 일으켜서 등이 땅기고 옆구리에 동통이 울립니다.
이를 찌를 때는 대주에서 아래쪽인 배골의 양측을 세게 눌러서
아픈 곳의 부근을 3자하면 곧 낫습니다.
邪客於足少陽之絡.
令人留於樞中痛.?不可擧.
刺樞中.以毫鍼.
寒則久留鍼.
以月死生爲數.立已.
治諸經.刺之所過者.不病則繆刺之.
耳聾.刺手陽明.
不已.刺其通?出耳前者.
齒?.刺手陽明.
不已.刺其?入齒中.立已.
사기가 족소양담경의 낙맥의 광명에 머물면 고관절 속에 머물러서
동통이 생겨 고를 올릴 수 없게 됩니다.
이 때는 환조를 호침으로 찌르는데, 한이 많을 때는 유침법을 채용하며,
또 달의 영휴에 따른 자수를 실시하면 곧 낫습니다.
여러 경맥을 고치기 위하여 경맥의 수혈에 자법을 실시하는 것은
그 경맥에 이상이 있는 경우입니다.
만약 경맥상에 이상이 없으면 이 교자법을 실시합니다.
귀가 잘 안 들릴 때는 수양명대장경상을 찌르는데,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그 경맥이 이전에 나와 있는 곳을 찌릅니다.
만약 치아가 아플 때는 수양명대장경상을 찌르는데,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그 경맥이 치중으로 들어가는 곳을 찌르면 곧 낫습니다.
邪客於五藏之間.其病也.
?引而痛.時來時止.
視其病.繆刺之於手足爪甲上.
視其?.出其血.
間日一刺.一刺不已.五刺已.
繆傳引上齒.齒脣寒痛.
視其手背?血者去之.
足陽明中指爪甲上一?.
手大指次指爪甲上各一?.立已.
左取右.右取左.
사기가 5장 사이를 방황하여 정착하지 않을 때는
그 경맥상이 땅겨서 아프고, 발작에 일정한 간격이 있는 것입니다.
그 병증을 봐서 그 병증에 속하는 경맥의 주행상에 있는 수족의
조갑근부를 교자하고, 또 그 경맥상의 울혈락 에서 사혈합니다.
하루걸러 1회 시술하는데, 1회의 시술로 낫지 않더라도
5회 가량 실시하면 나을 것입니다.
병이 혼란되어 전해지는 교전으로 그것이 상치에 울려서 치아나
입술이 냉하고 아플 때는 손의 배면의 울혈된 낙맥에서 사혈합니다.
또한 족양명위경의 족의 제2지와 수양명 대장경의 손의 식지와의
조갑근부에 1자씩 실시하면 곧 낫습니다.
왼쪽이 아프면 오른쪽을, 오른쪽이 아프면 왼쪽을 찌릅니다.
邪客於手足少陰太陰足陽明之絡.
此五絡皆會於耳中.
上絡左角.五絡?竭.
令人身?皆動.而形無知也.
其?若尸.或曰尸厥.
사기가 수소음심경, 수태음폐경, 족소음신경, 족태음비경 및 족양명위경의
낙맥에 머문 경우 이 다섯 개 낙맥은 모두 이중에 회합하여
왼쪽의 두각에 연락되고 있으므로 이 다섯 개 낙맥에 기가 통하지 않게 되면 환자는 신체 각소의 맥이 박동하고 있지만,
인사불성으로 되어 산송장처럼 됩니다.
이를 척궐이라 합니다.
刺其足大指?側爪甲上.
去端如?葉.後刺足心.
後刺足中指爪甲上.各一?.
後刺手大指?側.去端如?葉.
後刺手心主.少陰?骨之端.各一?.立已.
不已.以竹管吹其兩耳.
?其左角之髮.方一寸.燔治.飮以美酒一杯.
不能飮者?之.立已.
이때는 무지 내측의 조갑근부의 부추잎(?葉)과 같은 부위를 찌르고, 이어서 족심을 1자하고, 다시 족의 제2지의 조갑근부를 1자하며,
다시 또 손의 무지 내측의 조갑근부의 조단에 있는 부추잎과 같은 개소를 1자하고,
최후에 수소음심경의 두골의 끝을 1자하면 곧 의식이 회복됩니다.
만약 그래도 회복되지 않을 때는 죽관으로 그 양이의 속을 불고,
좌액의 두발 1촌 평방을 깎아서 태워 가지고 고급주 한잔과 함께 먹입니다.
마시지 못하는 환자는 입안에 주입하면 곧 의식이 회복됩니다.
凡刺之數.先視其經?.切而從之.
審其?實而調之.不調者.經刺之.
有痛而經不病者.繆刺之.
因視其皮部有血絡者.盡取之.
此繆刺之數也.
무릇 자법의 규측은 먼저 이상이 있는 경맥을 발전하여 절진해서
그 허실을 알고 이를 조화시킵니다.
그래도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는 경맥상의 경과 낙의 사이의
혈기가 모여 있는 곳을 찌릅니다. 이를 경자라고 합니다.
만약 아프더라도 경맥에 이상이 없는 경우는 교자법을 실시합니다.
그리하여 그 낙맥상의 울혈된 혈락에서 모조리 사혈(寫血)해 버립니다.
이것이 교자의 방법입니다.
'[黃帝內經] > [素問]' 카테고리의 다른 글
[標本病傳][표본병전] (2) | 2025.04.04 |
---|---|
[四時刺逆從][사시자역종] (0) | 2025.03.29 |
[調經][조경] (0) | 2025.03.15 |
[水熱穴][수열혈] (0) | 2025.03.09 |
[骨空][골공] (2) | 2025.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