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喘嗽][천수] 숨차 하고 기침하는 것
産後喘 極危 多死也(産寶).
해산 후에 숨차 하는 것은 아주 위급하고 흔히 죽을 수 있다[산보].
産後 喉中氣喘促者 因所下過多 榮血暴竭 衛氣無生 獨聚肺中
故令喘 孤陽絶陰 爲難治
宜用大劑 芎歸湯方見下 姙娠通治 小參蘇飮(綱目).
해산 후에 숨결이 밭고 몹시 숨이 찬 것은 피를 너무 많이 흘린 탓으로
영혈(榮血)이 갑자기 줄어들고 위기가 작용하지 못하며 폐에만 몰리기 때문이다.
이런 증을 고양절음(孤陽絶陰)이라고 하는데 치료하기 어렵다.
이런 때에는 궁귀탕의 중량을 세게 해서 쓰거나 소삼소음(小蔘蘇飮) 등을 쓰는 것이 좋다[강목].
産後喘急 命在須臾 宜用奪命散方見上 兒枕痛 童便
好酒各半盞 調和 熱服 惡血卽下 喘自定
或用獨蔘湯方見氣門 亦可(入門).
해산 후에 숨이 차서 생명이 위급한 데는 탈명산(奪命散)을 쓰되
좋은 술 반잔에 타서 뜨겁게 해서 먹으면 궂은 피가 곧 나오고 숨찬 것이 저절로 멎는다.
혹 독삼탕(獨蔘湯)을 써도 좋다(처방은 기문에 있다)[입문].
或人參 茯苓 水煎服.
혹 인삼과 흰솔풍령(백복령)을 물에 달여 먹기도 한다.
産後咳嗽 多是瘀血入肺 二母散, 感冒 宜旋覆花湯(入門).
해산 후에 기침이 많은 것은 대개 어혈이 폐에 들어간 것이므로
이모산(二母散)을 쓰고 감기에는 선복화탕(旋覆花湯)을 쓴다[입문].
'[雜病篇] > [婦人]'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産後不語][산후불어] (0) | 2022.04.23 |
---|---|
[咳逆][해역] (0) | 2022.04.22 |
[禳法][양법] (0) | 2022.04.15 |
[衄血][뉵혈] (0) | 2022.04.13 |
[治産後血崩][치산후혈붕] (0) | 2022.04.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