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形氣之始][형체와 기의 시초]
[乾鑿度]云 天形出乎乾.
有太易 太初 太始 太素.
夫太易者 未見氣也.
太初者 氣之始也.
太始者 形之始也.
太素者 質之始也.
形氣已具而痾 痾者瘵.
瘵者病 病由是萌生焉.
人生從乎太易 病從乎太素.
[건착도]에는 “하늘에서는 형체가 건(乾)에서 나오는데
이에는 태역(太易), 태초(太初), 태시(太始), 태소(太素)가 있다.
태역은 아직 기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고 태초는 기가 나타난 시초이며
태시는 형체가 나타난 시초이고 태소는 물질의 시초이다.
형체와 기가 이미 갖추어진 뒤에는 아가 되는데 아란 것은 피로한 것이고
피로한 것은 병인데 병이 여기에서 생긴다.
사람은 태역으로부터 생기고 병은 태소로부터 생긴다”고 씌어 있다.
[參同契] 註曰 形氣未具 曰鴻濛 具而未離 曰混淪.
[易]曰 易 有太極 是生兩儀 易猶鴻濛也.
太極 猶混淪也.
乾坤者 太極之變也.
合之爲太極 分之爲乾坤
故合乾坤而言之 謂之混淪 分乾坤而言之 謂之天地.
[列子]曰 太初 氣之始也.
太始 形之始也 亦類此.
[참동계]의 주해에는 형체와 기가 다 갖추어지지 못한 것을 홍몽(鴻 )이라고 하였고 

형체와 기가 갖추어졌으나 갈라지지 않은 것은 혼륜(混淪)이라고 하였다.
[주역]에는 “역에는 태극(太極)이 있어 이것이 양의(兩儀)를 생기게 한다”고 씌어 있다.
역은 홍몽과 같으며 태극은 혼륜과 같다.
건곤(乾坤)은 태극이 변화된 것인데 합하면 태극이 되고 갈라지면 건곤이 된다.
때문에 건과 곤이 합한 것을 혼륜이라 하며 

건과 곤을 갈라서 말할 때에는 천지(天地)라고 한다.
열자(列子)가 말하기를 태초는 기의 시초이고 태시는 형체의 시초라고 하였으니
이것도 역시 유사한 말이다.

'[內景篇] > [身形]' 카테고리의 다른 글

[壽夭之異][수요지이]  (0) 2019.09.18
[年老無子][노년무자]   (0) 2019.09.17
[人氣盛衰][인기성쇠]   (0) 2019.09.17
[四大成形][사대성형]   (0) 2019.09.17
[身形藏府圖][신형장부도]   (0) 2017.03.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