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肺癰][폐옹]
中府欲隱隱而痛者 肺疽, 上肉微起者 肺癰也(靈樞).
중부(中府, 혈이름) 부위가 은은히 아픈 것은 폐저(肺疽)이고
그곳의 살이 약간 불룩해지는 것은 폐옹(肺癰)이다[영추].
肺之癰 喘而兩胠滿 肺癰吐膿如糯米粥 咽燥振寒(內經).
폐옹이 생기면 숨이 차고 양 옆구리가 그득해진다.
폐옹 때에는 찹쌀죽같은 고름을 토하며 목구멍이 마르고 추워서 부들부들 떤다[내경].
振寒發熱 寸脈滑數 咳唾膿血,
其人飮食 起居如故 此爲癰腫膿 在胸中爲肺癰,
其脈緊數爲膿未成,緊去但數爲膿已成(仲景).
추워서 부들부들 떨며 열이 나고 촌맥(寸脈)이 활삭(滑數)하며 기침하면서 피고름을 뱉는데
음식을 먹는 것과 자고 일어나는 것이 평상시와 같은 것은 옹종(癰腫)이다.
이것은 가슴 속에 고름이 생긴 폐옹이다.
맥이 긴삭(緊數)하면 채 곪지 않는 것이다.
맥이 긴(緊)하지는 않고 삭(數)하기만 한 것은 다 곪은 것이다[중경].
肺癰吐膿後 其脈短而澁者 自痊, 浮大者 難治,
其面色白而半赤者 此火之克金 不可治(丹心).
폐옹으로 고름을 토한 다음에 맥이 단삽(短澁)해지면
저절로 낫고 부대(浮大)해지면 치료하기 어렵다.
얼굴빛이 허옇게 되어야 하는데 도리어 빨갛게 되는 것은
화가 금을 이긴 것이므로 치료하기 어렵다[단심].
大凡 肺癰 當咳喘短氣 胸滿時唾膿血 久久如糯米粥者 難治.
其嘔膿而自止者 自愈(精義).
폐옹 때에는 반드시 기침이 나고 숨이 차고 숨결이 밭으며
가슴 속이 그득하며 때때로 피고름을 뱉는데
찹쌀죽같은 고름을 오랫동안 뱉는 것은 치료하기 어렵고
고름을 토하다가 멎는 것은 저절로 낫는다[정의].
始萌可救, 膿成多死(仲景).
초기에는 살릴 수 있고 고름이 생기면 흔히 죽을 수 있다[중경].
肺癰內風寒之氣 內舍於肺而作 先須發表 宜參蘇飮方見寒門.
폐옹은 풍한(風寒)의 사기가 폐에 들어가서 생긴 것이므로 먼저 발표시켜야 한다.
이런 데는 삼소음(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肺癰 咳而胸滿隱痛 時出濁唾腥臭,
實者 先投參蘇飮 4貼,
虛者 先投小靑龍湯方見寒門4貼(得效).
폐옹 때에는 기침이 나고 늘 가슴이 은은히 아프며
때때로 걸쭉한 가래를 뱉는데 비린내가 난다.
실증(實證)이면 먼저 삼소음 4첩을 먹고
허증(虛證)이면 먼저 소청룡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 4첩을 먹어야 한다[득효].
肺癰 口燥咽乾 胸中隱痛 二便赤澁 咳唾膿血 腥臭 置之水中則沈,
宜用桔梗湯 消膿飮 葦葉湯 黃昏湯 五香白朮散 牧丹皮湯 參芪補肺湯 參朮補脾湯(入門).
폐옹 때에는 입과 목구멍이 마르고 가슴이 은은히 아프며 오줌이 벌겋게 되고
대변이 잘 나오지 않으며 기침이 나고 비린내가 나는 피고름을 뱉는데
이것을 물에 넣으면 가라앉는다.
이런 데는 길경탕, 소농음, 위엽탕, 황혼탕, 오향백출산,
목단피탕, 삼기보폐탕, 삼출보비탕을 쓰는 것이 좋다[입문].
肺癰之證 男子以氣爲主 得之十救二三,
婦人以血爲主 得之 十全七八歷試累驗(得效).
폐옹은 주로 남자는 기가 원인이 되어 생기므로 10명에 2-3명을 살릴 수 있고
여자는 주로 혈이 원인이 되어 생기므로 10명에 7-8명은 치료할 수 있다.
여러 번 경험해 보았으나 다 그렇다[득효].
雲母膏 作丸 服太乙膏 二方見上 癰疽糝貼法 亦可(入門).
운모고(雲母膏)로 알약을 만들어 먹어도 된다.
태을고(太乙膏)도 또한 좋다[입문].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肝癰][간옹] (0) | 2020.11.30 |
---|---|
[心癰][심옹] (0) | 2020.11.30 |
[點檢膠法][점검교법] (0) | 2020.11.29 |
[內外分癰疽][내외분옹저] (0) | 2020.11.29 |
[貼膏藥之法][첩고약지법] (0) | 2020.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