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癰疽善惡證][옹저선악증]

 

癰疽破潰後 善證 有五,

① 動息自寧 飮食知味 一善也,

② 便尿調均 二善也,

③ 神彩精明 語聲淸朗 三善也,

④ 膿淸腫消 色鮮不臭 四善也,

⑤ 體氣和平 五善也

옹저가 터진 뒤 좋은 증상은 5가지가 있고

몸을 움직이거나 숨을 쉬는데 편안하고 음식맛이 있는 것이 첫째로 좋은 것이다.

대소변이 고른 것이 둘째로 좋은 것이다.

눈에 정기(精氣)가 있고 말소리가 명랑한 것이 셋째로 좋은 것이다.

고름[膿]이 맑고 부은 것이 내리고 살빛이 선명하며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이 넷째로 좋은 것이다.

몸의 원기가 없어지지 않는 것이 다섯째로 좋은 것이다.

 

惡證 有九.

① 眼白睛黑 而目緊小 一惡也,

② 不能飮食 納藥而嘔 食不知味 二惡也,

③ 腹痛渴甚 三惡也,

④ 肩背不便 四肢沈重 四惡也,

⑤ 聲嘶色脫 唇鼻靑黑 面目四肢浮腫 五惡也,

⑥ 煩躁時嗽 泄利無度 小便如淋 六惡也,

⑦ 膿血大泄 焮痛尤甚 膿色敗臭氣 不可近 七惡也,

⑧ 喘粗短氣 恍惚嗜臥 八惡也,

⑨ 未潰先黑陷下 面靑唇黑 便汚者 九惡也.

五善 見三則吉, 九逆 見六則危(精要).

나쁜 증상은 9가지가 있다. 

눈 흰자위가 거멓게 되고 눈이 졸아들어 작아지는 것이 첫째로 나쁜 것이다.

음식을 먹지 못하며 약을 먹으면 구역이 나고 음식맛을 알지 못하는 것이 둘째로 나쁜 것이다.

배가 아프고 갈증이 심한 것이 셋째로 나쁜 것이다.

어깨와 잔등을 잘 놀릴 수 없으며 팔다리가 무거운 것이 넷째로 나쁜 것이다.

목이 쉬고 얼굴빛이 생기가 없으며 입술과 코가 검푸르며

얼굴과 팔다리가 붓는 것이 다섯째로 나쁜 것이다.

번조증(煩躁證)이 나고 때로 기침이 나며 설사가 수없이 나고

임병(淋病) 때 같이 오줌이 나오는 것이 여섯째로 나쁜 것이다.

피고름이 많이 나왔으나 후끈후끈 달면서 아픈 것이 더 심해지고

고름빛이 나쁘며 냄새가 나서 가까이 갈 수 없는 것이 일곱째로 나쁜 것이다.

숨이 차서 헐떡거리고 정신이 얼떨떨하며 잠만 자려고 하는 것이 여덟째로 나쁜 것이다.

곪아터지기 전에 먼저 거멓게 꺼져 들어가고 얼굴이 퍼렇게 되며

입술이 거멓게 되고 대변이 궂은 것이 아홉째로 나쁜 것이다.

5가지 좋은 증상 가운데서 3가지가 나타나면 좋다.

9가지 나쁜 증상 가운데서 6가지가 나타나면 위험하다[정요].

 

眼白睛黑 眼小 是一逆也,

納藥而嘔 是二逆也,

腹痛 渴甚 是三逆也,

肩項中不便 是四逆也,

聲嘶色脫 是五逆也.

無此五者 爲順(靈樞 玉版 第六十).

눈 흰자위가 거멓게 되고 눈이 작아지는 것이 첫째 역증(逆證)이고

약을 먹으면 구역이 나는 것이 둘째 역증이며

배가 아프고 갈증이 심한 것이 셋째 역증이고

어깨와 목을 잘 움직일 수 없는 것이 넷째 역증이며

목이 쉬고 얼굴빛이 생기가 없는 것이 다섯째 역증이다.

이 5가지가 없으면 순증(順證)이다[영추].

 

更有氣噫 痞塞 咳嗽 身冷 自汗

無時目瞪 耳聾 恍惚 驚悸 言語顚倒 皆是惡證(精要).

또한 트림이 나고 가슴이 트직하여 막힌 것 같고

기침이 나며 몸이 차고 때없이 저절로 땀이 나며

눈을 치뜨고 귀에 메며 정신이 얼떨떨하고

놀란 것 같이 가슴이 두근거리며 허튼 소리를 하는 것도 있는데

이것들은 다 나쁜 증상이다[정요].

'[雜病篇] > [癰疽]'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癰疽內托法][옹저내탁법]  (0) 2020.11.28
[治癰疽大法][치옹저대법]  (0) 2020.11.27
[癰疽死證][옹저사증]  (0) 2020.11.27
[癰疽發暈][옹저발훈]  (0) 2020.11.27
[癰疽 難治·不治證][옹저 난치불치증]  (0) 2020.11.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