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頭瘟治法][대두온치법]

 

兩目鼻面腫者 陽明也, 耳前後幷額角腫者 少陽也, 腦後項下腫起者 太陽也,

表證多者 荊防敗毒散, 裏證多者 防風通聖散 加惡實 玄參 俱用酒炒 微微下之(入門).

양쪽 눈과 코, 얼굴이 붓는 것은 양명경(陽明經)에 생긴 것이고 귀의 앞뒤와 이마, 모서리가 붓는 것은

소양경(少陽經)에 생긴 것이며 뒤통수와 목덜미 아래가 붓는 것은 태양경(太陽經)에 생긴 것이다.

표증(表證)이 많으면 형방패독산을 쓰고 이증(裏證)이 많으면 방풍통성산(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에

우엉씨(술에 축여 볶은 것)와 현삼(술에 축여 볶은 것)을 넣어 달여 먹여서 약간 설사시킨다[입문].

 

服藥 俱仰臥 使藥氣上行(入門).

약을 먹은 다음에는 반드시 누워서 약기운이 몸 위로 돌게 하는 것이 좋다[입문]. 

 

東垣 普濟消毒飮子 最妙, 人中黃丸方見上 亦妙(入門).

동원의 보제소독음자가 제일 좋고 인중황환도 또한 좋다[입문]. 

 

治法 當先緩而後急 先緩者 邪見於無形之處 至高之分 當用緩緩徐徐服之. 

寒藥則酒浸酒炒 皆是也 後急者 邪氣入於中 有形疾之所 此爲客邪 當急去之(海藏).

치료하는 방법은 처음에는 천천히 하고 후에는 급하게 해야 한다.

처음에 천천히 한다는 것은

사기가 형체 없는 곳의 가장 높은 곳에 생겼기 때문에 약을 천천히 먹어야 한다는 것이다.

성질이 찬 약을 술에 담갔다가 먹거나 술에 볶아 먹는 것도 다 이런 까닭이다.

나중에 급하게 한다는 것은 사기(邪氣)가 속에

형체가 있는 곳에 들어 간 것을 빨리 없애야 한다는 것이다[해장].

 

大頭病 此熱氣在高嶺之上 切勿用降藥 宜羗活 酒芩 酒大黃(丹心).

대두병(大頭病)은 열이 몸의 높은 곳에 있다고 하여 결코 내리는 약만 쓰지 말고 강호리(강활), 

속썩은풀(황금, 술에 축여 볶은 것), 대황(술에 축여 볶은 것)을 쓰는 것이 좋다[단심]. 

 

大頭瘟 俗謂之 時毒,

當於鼻內搐 通氣散 取十餘嚔作效 若嚔藥 不嚔者 不可治也.

如嚔出膿血者治之 必愈.

每日 用嚔藥三五次 以泄毒氣 此是良法.

左右看病之人 日日用嚔藥嚔之 必不傳染(精義).

대두온(大頭瘟)을 민간에서는 시독(時毒)이라고 하는데

독이 늘 코 안에 있기 때문에 통기산으로 10여 번 재채기를 하게 하면 효과가 있다.

만일 약을 넣어도 재채기를 하지 않으면 치료하지 못한다.

그러나 재채기를 하게 하여 피고름이 나올 때에 치료하면 반드시 낫는다.

하루에 재채기하게 하는 약을 세번에서 다섯번 써서 독기를 빼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간호하는 사람은 매일 재채기하게 하는 약을 써서 재채기하면 반드시 전염되지 않는다[정의].

 

經3~4日不解者 宜荊防敗毒散 至7~8日 大小便通利

頭面腫起高赤者 宜托裏消毒飮方見癰疽 兼鍼砭出血 泄其毒氣 十日外不治自愈

若五日已前 精神昏亂 咽喉閉塞 語聲不出 頭面大腫 食不知味者 必死(精義)

3-4일이 지나도 낫지 않을 때에는 형방패독산을 쓰는 것이 좋고 7-8일이 되어 대소변이 잘 나가고

머리와 얼굴이 부어서 몹시 붉어진 데는 탁리소독산(처방은 옹저문에 있다)을 쓰는 것이 좋다.

겸하여 침으로 찔러 피를 내어 그 독기를 빼야 한다.

그 다음에는 치료하지 않아도 10일이 지나면 저절로 낫는다.

만일 5일 이전에 정신이 흐릿하고 목구멍이 막혀 말소리가 나오지 않으며

머리와 얼굴이 몹시 붓고 음식맛을 모르면 반드시 죽게 된다[정의].

 

大頭瘟 宜用旣濟解毒湯 芩連消毒飮 牛蒡芩連湯 漏蘆散 二黃湯

消毒丸 殭黃丸 二聖救苦丸 加味殭黃 丸淸凉救苦 散通氣散(諸方).

대두온(大頭瘟)에는 기제해독탕, 금련소독음, 우방금련탕, 누로산, 이황탕,

소독환, 강황환, 이성구고환, 가미강황환, 청량구고산, 통기산이 좋다[저방].

 

 

'[雜病篇] > [瘟疫]' 카테고리의 다른 글

[辟瘟疫預防法][벽온역예방법]  (0) 2020.11.21
[?法][부법]  (0) 2020.11.21
[大頭瘟證][대두온증]  (0) 2020.11.21
[瘟疫治法][온역치법]  (0) 2020.11.21
[脈法][맥법]  (0) 2020.11.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