傷寒陰證 腹痛

灸足小指外側上紋尖 灸三壯 男左女右(回春).

상한음증(傷寒陰證)으로 배가 아픈 데는

새끼발가락 바깥쪽 위의 금이 난 끝에 뜸 3장을 뜨되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뜬다[회춘].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 手足厥冷][상한 수족궐냉]  (0) 2020.06.16
[傷寒陰毒][상한음독]  (0) 2020.06.16
[傷寒脅痛][상한협통]  (0) 2020.06.16
[傷寒胸痛][상한흉통]  (0) 2020.06.16
[傷寒結胸][상한결흉]  (0) 2020.06.16

傷寒脅痛 取支溝 陽陵泉(綱目).

상한에 옆구리가 아픈 데는 지구, 양릉천 혈을 쓴다[강목].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陰毒][상한음독]  (0) 2020.06.16
[傷寒陰證][상한음증]  (0) 2020.06.16
[傷寒胸痛][상한흉통]  (0) 2020.06.16
[傷寒結胸][상한결흉]  (0) 2020.06.16
[傷寒汗多][상한한다]  (0) 2020.06.16

傷寒胸痛 取期門 大陵(綱目).

상한에 가슴이 아픈 데는 기문(期門), 대릉(大陵) 혈을 쓴다[강목].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陰證][상한음증]  (0) 2020.06.16
[傷寒脅痛][상한협통]  (0) 2020.06.16
[傷寒結胸][상한결흉]  (0) 2020.06.16
[傷寒汗多][상한한다]  (0) 2020.06.16
[傷寒汗不出][상한한불출]  (0) 2020.06.16

傷寒結胸 先使人心蔽骨下 正痛處 左畔揉之 以毫鍼者 左畔支溝穴

次刺左間使穴 名曰雙關 刺 次刺 左行間穴 左邊結胸 立效

右亦依上法 刺之 慢慢呼吸 停鍼 立愈(綱目).

상한결흉에는 먼저 명치 밑의 아픈 곳을 왼쪽으로 문지르고

호침(毫鍼)으로 왼쪽 지구혈(支溝穴)에 침을 놓고

그 다음 왼쪽 간사혈(間使穴)에 침을 놓는데 이를 쌍관자(雙關刺)라 한다.

다음으로 왼쪽 행간혈(行間穴)에 침을 놓으면 왼쪽에 생긴 결흉증이 곧 낫는다.

오른쪽에 생긴 결흉증에는 위의 방법과 같이 침을 놓고

천천히 숨쉬게 하고 유침하면 곧 낫는다[강목].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脅痛][상한협통]  (0) 2020.06.16
[傷寒胸痛][상한흉통]  (0) 2020.06.16
[傷寒汗多][상한한다]  (0) 2020.06.16
[傷寒汗不出][상한한불출]  (0) 2020.06.16
[傷寒大熱][상한대열]  (0) 2020.06.16

傷寒汗多 不止 取內庭 合谷 復溜俱瀉(綱目).

상한에 땀이 많이 나오면서 멎지 않으면

내정, 합곡, 부류(復溜) 등의 혈에 침을 놓아 사한다[강목].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胸痛][상한흉통]  (0) 2020.06.16
[傷寒結胸][상한결흉]  (0) 2020.06.16
[傷寒汗不出][상한한불출]  (0) 2020.06.16
[傷寒大熱][상한대열]  (0) 2020.06.16
[傷寒頭痛][상한두통]  (0) 2020.06.16

傷寒汗不出,

取合谷鍼五分遍身汗出卽出鍼 此久發汗大妙

復溜瀉

商丘 腕骨 陽谷 俠谿 厲兌 勞宮 風池 魚際 經渠 內庭

又十二經 榮穴 皆可刺(綱目). 

상한에 땀이 나지 않으면

합곡(침을 5푼 놓아 온몸에서 땀이 나면 곧 침을 뺀다. 이 혈은 땀을 내는 데 아주 좋다)

부류혈(復溜穴)에 침을 놓아 사하고

또 상구(商丘), 완골(脘骨), 양곡(陽谷), 협계(俠谿), 여태( ), 노궁(勞宮), 풍지(風池),

어제(魚際), 경거(經渠), 내정(內庭) 등의 혈과

12경맥의 영혈(榮穴)에다 침을 놓는다[강목].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胸痛][상한흉통]  (0) 2020.06.16
[傷寒結胸][상한결흉]  (0) 2020.06.16
[傷寒汗多][상한한다]  (0) 2020.06.16
[傷寒大熱][상한대열]  (0) 2020.06.16
[傷寒頭痛][상한두통]  (0) 2020.06.16

傷寒 大熱不止 取曲池瀉

絶骨補 陷谷出血

八關 大刺十指間出血(易老).

상한에 심한 열이 내리지 않으면 곡지혈(曲池穴)에 침을 놓아 사하고

절골혈(絶骨穴)에 침을 놓아 보하며 함곡혈(陷谷穴)에서 피를 내고

팔관(八關, 열손가락 사이)을 찔러 피를 낸다[역로].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胸痛][상한흉통]  (0) 2020.06.16
[傷寒結胸][상한결흉]  (0) 2020.06.16
[傷寒汗多][상한한다]  (0) 2020.06.16
[傷寒汗不出][상한한불출]  (0) 2020.06.16
[傷寒頭痛][상한두통]  (0) 2020.06.16

傷寒 初得一二日 頭痛寒熱

宜灸巨闕 上脘 中脘各50壯(得效).

상한병에 걸린 지 1-2일에 머리가 아프고 추웠다 열이 나는 데는

거궐(巨闕), 상완(上脘), 중완(中脘) 등의 혈에 각각 50장의 뜸을 뜬다[득효].

 

傷寒 頭痛 刺合谷 攢竹(綱目).

상한에 머리가 아픈 데는 합곡과 찬죽 혈에 침을 놓는다[강목].  

 

傷寒頭痛 太陽證 刺完骨

京骨 陽明證 刺合谷 衝陽

少陽證 刺陽池 丘墟 風府 風池(雲岐).

상한에 머리가 아픈 것이 태양증이면 완골,

경골(京骨) 혈에 침을 놓고

양명증이면 합곡, 충양(衝陽) 혈에 침을 놓고

소양증이면 양지(陽池), 구허(丘虛), 풍부(風府), 풍지(風池) 등의 혈에 침을 놓는다[운기].  

'[雜病篇] > [寒鍼灸]' 카테고리의 다른 글

[傷寒胸痛][상한흉통]  (0) 2020.06.16
[傷寒結胸][상한결흉]  (0) 2020.06.16
[傷寒汗多][상한한다]  (0) 2020.06.16
[傷寒汗不出][상한한불출]  (0) 2020.06.16
[傷寒大熱][상한대열]  (0) 2020.06.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