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手少陰之筋][수소음지근]   
起于小指之內, 結于銳骨, 上結肘, 入腋, 挾乳裏, 結于胸中, 下繫于臍.
수소음경의 근은 새끼손가락 안쪽에서 시작하여 예골(銳骨)에서 맺히고,

올라가 팔꿈치에 맺히며, 겨드랑이로 들어가 젖 속을 끼고 가슴 속에 맺히며

내려가 배꼽에 매달린다. 
其病, 內急, 心承伏梁, 下爲肘綱.

其病, 當所過者, 支轉筋, 筋痛.

鍼法, 同上.

其成伏梁唾血膿者, 死不治[靈樞]
수소음경의 근이 병들면 속이 켕기고 아래에서 가슴으로 복량(伏梁)이 치밀며

가슴에서 팔꿈치로 당기는 듯하다.
수소음경의 근이 병들면 지나가는 곳의 근이 당기고 뒤틀리며 근이 아프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
복량이 되어 피고름을 토하면 치료하지 못하고 죽는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筋急筋緩][근급근완]   (0) 2020.03.15
[膝爲筋府][설위근부]   (0) 2020.03.15
[手心主之筋][수심주지근]   (0) 2020.03.15
[手太陰之筋][수태음지근]   (0) 2020.03.15
[手陽明之筋][수양명지근]   (0) 2020.03.15

[手心主之筋][수심주지근]
起于中指, 結于肘, 上臂陰, 結腋下, 挾脇.

其支者, 入腋, 散胸中, 結于臂.
수심주경의 근은 가운뎃손가락에서 시작하여 팔꿈치에 맺히고,

팔 안쪽으로 올라가 겨드랑이 밑에서 맺히며 옆구리를 끼게 된다.

갈라진 가지는 겨드랑이로 들어가 가슴 속에서 흩어지고 횡격에 맺힌다.
其病, 當所過者, 支轉筋, 胸痛, 息賁.

鍼法, 同上[靈樞].
수심주경의 근이 병들면 수심주경의 근이 지나가는 곳이

당기고 뒤틀리며 가슴이 아프고 식분(息賁)이 생긴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膝爲筋府][설위근부]   (0) 2020.03.15
[手少陰之筋][수소음지근]   (0) 2020.03.15
[手太陰之筋][수태음지근]   (0) 2020.03.15
[手陽明之筋][수양명지근]   (0) 2020.03.15
[手少陽之筋][수소양지근]   (0) 2020.03.15

[手太陰之筋][수태음지근]
起于大指之上, 結于魚, 上循臂, 結肘中,

上臑入腋下, 出缺盆, 結髃上, 下結胸裏, 散貫賁, 下抵季脇.
수태음경의 근은 엄지손가락 위에서 시작하여 어복(魚腹)에 맺히고,

팔을 따라 올라가 안쪽 팔꿈치의 가운데에 맺히며,

팔죽지로 올라가 겨드랑이 밑으로 들어갔다가 결분으로 나와 어깨뼈 위쪽에 맺히고,

가슴 속으로 내려가 맺히며, 흉격을 뚫고 퍼져 내려가 허구리에 도달한다.
其病, 當所過者, 支轉筋, 甚成息賁.

鍼法, 同上[靈樞].
수태음경의 근이 병들면 지나가는 곳이 당기고 뒤틀리며 심하면 식분(息賁)이 된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少陰之筋][수소음지근]   (0) 2020.03.15
[手心主之筋][수심주지근]   (0) 2020.03.15
[手陽明之筋][수양명지근]   (0) 2020.03.15
[手少陽之筋][수소양지근]   (0) 2020.03.15
[手太陽之筋][수태양지근]   (0) 2020.03.15

[手陽明之筋][수양명지근]
起于大指次指之端, 結于腕,

循臂, 結于肘, 上臑, 結于髃.
其支者, 繞肩胛, 挾脊.
其直者, 從肩髃, 上頸,
其支者, 上頰, 結于頄.
수양명경의 근은 둘째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손목에 맺히고,

팔을 따라 올라가 팔꿈치에 맺히며, 팔죽지로 올라가 어깨뼈 위쪽[髃]에 맺힌다.
갈라진 가지는 어깻죽지를 싸고 돌아가서 등뼈를 사이에 끼게 된다.
직행하는 것은 어깨뼈를 따라 앞 목으로 올라가고

갈라진 가지는 뺨으로 올라가 광대뼈에 맺힌다.
其病, 當所過者, 支痛轉筋, 肩不擧, 頸不可顧.

鍼法, 同上[靈樞].
수양명경의 근이 병들면 수양명경의 근이 지나가는 곳이

당기고 아프며 뒤틀리고 어깨를 들지 못하며 고개를 돌리지 못한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心主之筋][수심주지근]   (0) 2020.03.15
[手太陰之筋][수태음지근]   (0) 2020.03.15
[手少陽之筋][수소양지근]   (0) 2020.03.15
[手太陽之筋][수태양지근]   (0) 2020.03.15
[足厥陰之筋][족궐음지근]   (0) 2020.03.15

[手少陽之筋][수소양지근]
起于小指次指之端, 結于腕, 上循臂, 結于肘, 上肩走頸.

其支者, 入繫舌本. 其支者, 上曲牙, 循耳前, 屬目外眥.
수소양경의 근은 넷째손가락 끝에서 시작하여 손목에서 맺히고,

팔을 따라 올라가 팔꿈치에 맺히며, 어깨로 올라가 목으로 올라간다.
갈라진 가지는 혀 밑[舌本]으로 들어가 혀를 맨다.
갈라진 가지는 곡아(曲牙)로 올라가고 귀 앞을 따라 바깥쪽 눈초리에 속한다.
其病, 當所過者, 卽支轉筋, 舌卷.

鍼法, 同上[靈樞].
수소양경의 근이 병들면 수소양경의 근이 지나가는 곳이 당기고 뒤틀리며 혀가 말린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太陰之筋][수태음지근]   (0) 2020.03.15
[手陽明之筋][수양명지근]   (0) 2020.03.15
[手太陽之筋][수태양지근]   (0) 2020.03.15
[足厥陰之筋][족궐음지근]   (0) 2020.03.15
[足少陰之筋][족소음지근]   (0) 2020.03.15

[手太陽之筋][수태양지근]
起于小指之上, 結于腕, 上循臂, 結于肘入, 結于腋下.

其支者, 上繞肩胛, 循頸, 結于耳後完骨.

其支者, 入耳中, 直者, 出耳上, 屬目外眥.
수태양경의 근은 새끼손가락 위에서 일어나 손목에 맺히고,

팔을 따라 올라가 팔꿈치로 들어가 맺히며 겨드랑이 아래로 들어가 맺힌다.

갈라진 가지는 어깻죽지를 둘러싸고 올라가서 목을 따라 올라가 귀 뒤의 완골에 맺힌다.

갈라진 가지는 귓속으로 들어가고 곧바로 가는 것은 귀 위쪽에서 나와 바깥쪽 눈초리에 속한다.
其病, 手小指, 肘內, 腋下痛, 繞肩胛引頸而痛, 耳鳴目瞑.

鍼法, 同上[靈樞].
수태양의 근이 병들면 새끼손가락과 팔꿈치 안쪽, 겨드랑이 밑이 아프고

어깻죽지에서 앞쪽 목으로 당기고 아프며 귀가 울고 눈이 침침하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陽明之筋][수양명지근]   (0) 2020.03.15
[手少陽之筋][수소양지근]   (0) 2020.03.15
[足厥陰之筋][족궐음지근]   (0) 2020.03.15
[足少陰之筋][족소음지근]   (0) 2020.03.15
[足太陰之筋][족태음지근]   (0) 2020.03.15

[足厥陰之筋][족궐음지근]
起于大指之上, 結于內踝, 上循脛, 上結內輔之下, 上循陰股, 結于陰器, 絡諸筋.
족궐음경의 근은 엄지발가락 위에서 시작하여 안쪽 복숭아뼈에 맺히고,

정강이를 따라 올라가 비골 안쪽 아래에 맺힌 다음

허벅지 안쪽을 따라 올라가 생식기에 맺히면서 여러 근과 얽힌다.
其病, 足大指內踝, 所過而結者, 皆痛, 陰器不用,

傷於內, 則不起, 傷於寒, 則陰縮入, 傷于熱, 則縱挺不收. 鍼法, 同上[靈樞].
족궐음경의 근이 병들면 엄지발가락, 안쪽 복숭아뼈,

족궐음경의 근이 지나가면서 맺히는 곳 모두가 아프며 생식기를 쓰지 못하는데

방사(房事)로 상하면 발기가 안 되고 찬 기운에 상하면

생식기가 쪼그라들며 열에 상하면 생식기가 늘어지게 된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少陽之筋][수소양지근]   (0) 2020.03.15
[手太陽之筋][수태양지근]   (0) 2020.03.15
[足少陰之筋][족소음지근]   (0) 2020.03.15
[足太陰之筋][족태음지근]   (0) 2020.03.15
[足陽明之筋][족양명지근]   (0) 2020.03.15

[足少陰之筋][족소음지근]
起于小指之下, 斜走內踝之下, 結于踵,

上于內輔之下, 循陰股, 結于陰器,

循脊內, 上至項, 結于枕骨, 與足太陽之筋合.
족소음경의 근은 새끼발가락 밑에서 시작하여

비스듬히 안쪽 복숭아뼈 아래로 곧장 가서 뒤꿈치에 맺히고,

비골 안쪽 아래로 올라가 안쪽 허벅지를 따라 올라가서 생식기에 맺히며,

등뼈 안쪽을 따라 뒷목에 다다랐다가 올라가서 뒤통수에 맺힌 다음 족태양의 근과 만난다.
其病, 足下轉筋 所過而結者, 皆痛,

在外者, 不能俛, 在內者, 不能仰. 鍼法, 同上[靈樞].
족소음경의 근이 병들면 발바닥이 뒤틀리고

족소음경 근이 지나가면서 맺히는 곳이 모두 아프며,

병이 겉에 있으면 몸을 구부리지 못하고 속에 있으면 젖히지를 못한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手太陽之筋][수태양지근]   (0) 2020.03.15
[足厥陰之筋][족궐음지근]   (0) 2020.03.15
[足太陰之筋][족태음지근]   (0) 2020.03.15
[足陽明之筋][족양명지근]   (0) 2020.03.15
[足少陽之筋][족소양지근]   (0) 2020.03.15

[足太陰之筋][족태음지근]  
起于大指之端, 上結于內踝.

其直者, 絡于膝, 循陰股, 結于髀, 聚于陰器, 上腹, 結于臍, 循腹裏, 散於胸中, 着於脊.
족태음경의 근은 엄지발가락에서 시작하여 올라가 안쪽 복숭아뼈에 맺힌다.
곧바로 가는 것은 무릎을 얽고 허벅지 안쪽을 따라 올라가 허벅지에 맺히고,

생식기에 모였다가 배로 올라가 배꼽에 맺히며,

뱃속을 따라 가슴 속에서 갈래갈래 흩어져 등뼈에 붙는다.
其病, 足大指轉筋, 膝引髀而痛, 陰器紐痛引臍, 脊痛, 鍼法, 同上[靈樞].
족태음경의 근이 병들면 엄지발가락이 뒤틀리며 무릎에서 허벅지로 당기고 아프며,

생식기가 조이듯이 아프면서 배꼽까지 당기고 등뼈가 아프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足厥陰之筋][족궐음지근]   (0) 2020.03.15
[足少陰之筋][족소음지근]   (0) 2020.03.15
[足陽明之筋][족양명지근]   (0) 2020.03.15
[足少陽之筋][족소양지근]   (0) 2020.03.15
[足太陽之筋][족태양지근]   (0) 2020.03.14

[足陽明之筋][족양명지근]
起于中二指, 結于跗, 上加輔骨, 上結于膝, 上髀樞, 上脇屬脊.

其直者, 循伏兎, 上結于髀, 聚于陰器, 上腹而布, 至缺盆,

上頸挾口, 合于頄, 下結于鼻, 上合于太陽.

太陽爲目上綱, 陽明爲目下綱.

족양명경의 근은 둘째발가락에서 시작하여 발등에 맺히고,

올라가 비골[輔骨]의 높은 부위를 타고 올라가 무릎에 맺히며,

비추로 올라갔다 옆구리로 올라가서 등뼈에 속한다.

곧바로 가는 것은 복토(伏兎)를 따라 올라가 허벅지에 맺히고,

생식기에 모였다가 배로 올라가 넓게 펴졌다가 결분에 다다르며,

앞쪽 목으로 올라가 입을 끼고 돌아서 광대뼈에서 합쳤다가 내려가 코에 맺히고,

다시 올라가 태양의 근과 합친다.

그래서 태양경근은 눈 위쪽의 벼리가 되고, 양명경근은 눈 아래쪽의 벼리가 된다.

其病, 足中指轉筋, 髀腫疝, 腹筋急引缺盆, 口噼, 目不合. 鍼法, 同上[靈樞].

족양명경의 근이 병들면 가운뎃발가락이 뒤틀리고 허벅지가 붓고 퇴산(疝)이 생기며,

배의 근이 결분까지 당기고 입이 돌아가며 눈을 감지 못한다.

침놓는 방법은 족태양경과 같다(영추).

'[外形篇] > [筋]' 카테고리의 다른 글

[足少陰之筋][족소음지근]   (0) 2020.03.15
[足太陰之筋][족태음지근]   (0) 2020.03.15
[足少陽之筋][족소양지근]   (0) 2020.03.15
[足太陽之筋][족태양지근]   (0) 2020.03.14
[宗筋][종근]  (0) 2020.03.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