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脾主時日][비주시일]
脾主長夏, 足太陰陽明主治, 其日戊己.
비는 늦은 여름을 주관하고, 족태음과 족양명경으로 주치하고,

그 날은 무일(戊日)과 기일(己日)이다.
中央生濕, 濕生土, 土生甘, 甘生脾.
중앙은 습의 기를 생기게 하고, 습은 토기(土氣)를 생기게 하며,

토기는 단맛을 생기게 하고, 단맛은 비의 기를 생기게 한다.
脾屬土, 主長夏及四季[內經].
비는 토에 속하므로, 늦은 여름과 사계를 주관한다(내경).

'[內景篇] > [脾臟]'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脾傷證][비상증]   (0) 2019.11.27
[脾臟大小][비장대소]   (0) 2019.11.26
[脾屬物類][비속물류]   (0) 2019.11.26
[脾部位][비부위]   (0) 2019.11.26
[脾形象][비형상]   (0) 2017.05.19

[脾部位][비부위]
脾長一尺掩太倉.

太倉者, 胃之上口, 卽中脘穴也[東垣].

비장은 길이가 한 자로, 태창을 감싸고 있다.

태창은 위(胃)의 윗구멍[胃之上口]으로, 중완혈을 말한다(동원).

脾居中脘一寸二分, 上去心三寸六分, 下去腎三寸六分.

中間一寸二分, 名曰黃庭.

在天爲太陽, 在地爲太陰, 在人爲中黃祖氣.

道家以脾爲黃庭, 黃者中央之色, 庭者四方之中也.

脾居一身之中央, 故曰黃庭[入門].

비장은 중완 부위 한 치 두 푼에 있다.

위로 심장과 세 치 여섯 푼 떨어져 있으며,

아래로 신장과 세 치 여섯 푼 떨어져 있고,

그 중간의 한 치 두 푼을 황정이라고 한다.

황정은 하늘에서는 태양(太陽)이고, 땅에서는 태음(太陰)이며,

사람에게는 중황(中黃)의 조기(祖氣)이다.

도가는 비장을 황정이라고 하였는데,

누런 것은 중앙의 빛깔이며, 정(庭)은 사방의 가운데를 말한다.

비장은 몸의 가운데 위치하므로 황정이라고 하였다(입문).

脾與胃以膜相連耳[內經].

비와 위는 막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내경).

章門穴, 乃脾之募也, 直臍傍季肋端.

在背則脾兪, 在十一顀下.

是脾之部位也[銅人]. 

장문혈은 비의 모혈(募穴)인데, 바로 배꼽 양쪽 계륵(季肋)의 끝에 있다.

등에서는 비수혈(脾兪穴)의 위치에 해당하는데, 제11흉추 아래이다.

이것이 곧 비(脾)의 부위이다(동인).  

'[內景篇] > [脾臟]'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脾傷證][비상증]   (0) 2019.11.27
[脾臟大小][비장대소]   (0) 2019.11.26
[脾屬物類][비속물류]   (0) 2019.11.26
[脾主時日][비주시일]   (0) 2019.11.26
[脾形象][비형상]   (0) 2017.05.19

[脾形象]


脾 形象馬蹄 內包胃脘 象土形也.
經絡之氣 交歸于中 以營運眞靈之氣 意之舍也(內經註).
비장은 형태가 말발굽 같고 위완(胃脘)을 둘러싸고 있는데 토의 모양을 상징하였다.
그리고 경락(經絡)의 기가 그 속으로 번갈아 들어가서 진령(眞靈)의 기운을 움직이게 한다.
이곳에는 의(意)도 들어 있다[내경주].
脾 形扁似馬蹄又如刀鎌(入門).
비장은 납작하고 말발굽같이 생겼는데 낫 같기도 하다[입문].
脾 重二斤三兩 扁廣三寸 長五寸 有散膏半斤 主裹血 溫五藏 主藏意(難經).
비의 무게는 1.32kg이고 너비는 3치이며 길이는 5치이다.
여기에 흩어져 붙어 있는 기름은 300g 정도이다.
비장은 피를 간직하고 5장을 따뜻하게 하는데

주로 의(意)를 간직한다[난경].
脾者 俾也.

在胃下 俾助胃氣 主化水穀也. 胃主受納 脾主消磨(綱目).
비라는 것은 도와주는 것인데 위아래에 있으면서

위기(胃氣)를 도와서 음식이 잘 소화되게 한다.
위는 주로 받아들이고 비는 주로 소화시킨다[강목].   

'[內景篇] > [脾臟]' 카테고리의 다른 글

[脾傷證][비상증]   (0) 2019.11.27
[脾臟大小][비장대소]   (0) 2019.11.26
[脾屬物類][비속물류]   (0) 2019.11.26
[脾主時日][비주시일]   (0) 2019.11.26
[脾部位][비부위]   (0) 2019.11.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