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消渴傳變證][소갈전변증]
消渴之疾 末傳能食者 必發腦疽背瘡 不能食者 必傳中滿鼓脹 皆爲不治之證.
張潔古 老人 分而治之 能食而渴者 白虎加人蔘湯方見寒門主之 或加減白虎湯,
不飮食而渴者 錢氏白朮散方見小兒倍加葛根與之 或加減白朮散 上中旣平 不復傳下消矣(東垣).
소갈병이 딴 병으로 변하지 않았을 때 잘 먹으면 뇌저(腦疽)나 등창[背瘡]이 생기고
잘 먹지 못하면 반드시 중만(中滿)이나 고창(鼓脹)이 생기는데 이것은 다 치료하기 어려운 증상이다.
장결고(張潔古)가 이것을 갈라서 치료하였는데 잘 먹으면서 갈증이 나는 데는
백호가인삼탕(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써서 치료하였다.
그리고 혹 가감백호탕도 썼다.
먹지 못하면서 갈증이 나는 데는 전씨백출산(처방은 어린이문(小兒門)에 있다)에
칡뿌리(갈근)를 곱으로 넣어 쓰거나 가감백출산을 썼다.
이와 같이 쓰면 상소(上消)나 중소(中消)가 낫고 다시 하소(下消)로 변하지 않는다[동원].
或曰 末傳癰疽者 何也?
此火邪勝也 其瘡痛甚而不潰 或赤水者 是也.
末傳中滿者 何也?
如上消 中消 制之太急寒藥 傷胃久而成中滿之疾 所謂 上熱未除 中寒復生也(東垣).
어떤 사람이 “어떻게 되어 소갈의 나중에는 옹저가 생기는가”고
묻기에 “그것은 화사(火邪)가 성하기 때문인데
이때에 생긴 옹저는 몹시 아프며 터지지 않고 혹 벌건 진물이 나온다”고 대답해주었다.
그러자 “소갈병이 나중에는 어떻게 되어 중만(中滿)이 되는가”고 물었다.
그러자 그것은 상소나 중소 때에 지나치게 빨리 치료하려고
성질이 찬약을 쓰면 위(胃)가 상하는데 그것이 오래되면 중만이 된다 고 대답해주었다.
그리고 이것은 또한 상초의 열이 없어지지 않았을 때
중초에 찬 기운이 다시 생겼기 때문이다”고 말해주었다[동원].
消渴 久病變成發癰疽 或成水病 或雙目失明(類聚).
소갈이 오래되면 옹저가 생기거나 수종(水腫)이 생기거나 양쪽 눈을 다 보지 못하게도 된다[유취].
甚而水氣 浸漬溢於肌膚 則張爲腫滿 猛火自炎 留於分肉 則發爲癰疽 此又病之深 而證之變者也(直指).
병이 심해지면 물기가 스며나가서 살로 넘쳐나기
때문에 부종이나 창만이 생기고 센 화기가 분육(分肉)에 머물러 있으면 옹저가 생긴다.
이것은 병이 심해진 것이고 증상이 변한 것이다[직지].
渴利者 謂隨飮卽小便也
由腎氣虛 不能除水液 故隨飮卽小便也 以其內熱
故小便利 小便利 則津液竭 津液竭 則經絡澁 經絡澁
則榮衛不行 榮衛不行 則熱氣留滯 故成癰疽也(聖惠).
갈리(渴利)라는 것은 물을 마시면 곧 오줌이 나온다는 말이다.
그것은 신기(腎氣)가 허하여 진액을 잘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물을 마시자 마자 곧 오줌이 나오는 것이다.
속에 열이 있으면 오줌이 잘 나오고 오줌이 잘 나오면 진액이 줄어들고
진액이 줄어들면 경락이 막히고 경락이 막히면 영위(榮衛)가 잘 돌지 못하고
영위가 잘 돌지 못하면 열기가 머물러 있게 되기 때문에 옹저가 생긴다[성혜].
'[雜病篇] > [消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治證][불치증] (0) | 2020.11.02 |
---|---|
[消渴須預防癰疽][소갈수예방옹저] (0) | 2020.11.02 |
[蟲渴][충갈] (0) | 2020.11.01 |
[酒渴][주갈] (0) | 2020.11.01 |
[消渴通治藥][소갈통치약] (0) | 2020.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