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塞咳逆][식색해역]

 

飮食塡塞胸中 或食物太甚 噎而不下 發爲咳逆

宜二陳湯 加枳殼 縮砂 紫蘇葉 或三香散(入門).

음식이 가슴 속에 막혔거나 음식을 지나치게 먹어서 목이 메어 내리지 않아 생긴 해역에는

이진탕에 지각, 사인, 차조기잎(자소엽)을 넣어 쓰거나 삼향산을 쓴다[입문].

 

帝曰人之噦者 何氣使然?

岐伯曰 穀入于胃 胃氣上注于肺 今有故 寒氣與新穀氣 俱還入于胃 故爲噦(靈樞 口問 第二十八).

황제(黃帝)가 “딸꾹질이 나는 것은 무슨 기(氣) 때문인가” 고 물었다. 

그러자 기백(岐伯)이 “음식물이 위에 들어가면 새로 들어온 것과 본래 있던 것이 서로 뒤섞이고 

진기(眞氣)와 사기(邪氣)가 서로 부딪쳐서 다시 위(胃)에서 치밀어 오르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고 대답하였다[영추]. 

 

宜服藥 且取嚔 以通之(入門).

이런 때에는 약을 쓰는 것이 좋다.

또한 재채기를 시켜서 멎게 하여도 된다[입문].

 

'[雜病篇] > [咳嗽]'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結咳逆][수결해역]  (0) 2020.09.24
[痰閉咳逆][담폐해역]  (0) 2020.09.24
[痢後咳逆][이후해역]  (0) 2020.09.24
[咳逆陽證][해역양증]  (0) 2020.09.23
[咳逆陰證][해역음증]  (0) 2020.09.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