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陰陽交證][음양교증]
黃帝問曰 “有病溫者 汗出 輒復熱 而脈躁疾 不爲汗 衰狂言 不能食 病名爲何”?
岐伯曰 病名陰陽交 交者 死也.
帝曰 願聞其說?
岐伯曰 人所以汗出者 皆生於穀 穀生於精 今邪氣交爭 於骨肉 而得汗者 是邪却而精勝也.
精勝 則當能食 而不復熱 復熱者 邪氣也 汗者 精氣也
今汗出而輒復熱者 是邪勝也 不能食者 精無俾也.
病而留者 其壽可立 而傾也 且夫熱論曰 汗出而脈 尙躁盛者 死.
狂言者 是失志 失志者 死(內經 評熱病論篇 第三十三).
황제가 묻기를 “온병(溫病)에 땀을 냈는 데도 걸핏하면 열이 나고
맥이 몹시 빠르며 땀이 나지 않고 쇠약하여 미친 소리를 하며 먹지 못하는 것은 무슨 병이라고 하는가”
기백이 대답하기를 “병의 이름은 음양교(陰陽交)라고 하는데 교(交)란 죽는다는 것이다”고 하였다.
황제가 그 이유를 물으니
기백이 대답하기를 “사람에게서 나오는 땀은 음식에서 생기고 음식에서는 정기(正氣)가 생긴다.
그런데 지금 정기와 사기(邪氣)가 몸안에서 싸워 땀이 나는 것은 사기가 물러나고 정기가 이긴 것이다.
정기가 이기면 잘 먹고 다시 열이 나지 않는다.
다시 열이 나는 것은 사기 때문이다.
땀은 정기이다.
지금 땀이 나면서 걸핏하면 열이 나는 것은 사기가 이긴 것이고
먹지 못하는 것은 정기가 없기 때문이다.
병으로 사기가 머물러 있으면 수명이 오래 가지 못한다”고 하였다.
또 열론(熱論)에는 “땀이 나면서도 도리어 맥이 몹시 빠르면 죽고
미친 소리를 하는 것은 정신을 잃은 것이다.
정신을 잃으면 죽는다”고 하였다[내경].
發汗後 脈躁疾 狂言 不能食 謂之陰陽交 言交合 陰陽之氣 不可分別 此死證也(入門).
땀을 낸 후 맥이 몹시 빠르고 미친 말을 하며 먹지 못하는 것은 음양교(陰陽交)이다.
이것은 음기와 양기가 뒤섞여 분간할 수 없는 것인데 이것은 죽을 수 있는 증상이다[입문].
'[雜病篇] > [寒]'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合證][백합증] (0) | 2020.06.05 |
---|---|
[壞證][괴증] (0) | 2020.06.05 |
[傷寒吐蛔][상한토회] (0) | 2020.06.05 |
[傷寒胸腹痛][상한흉복통] (0) | 2020.06.05 |
[傷寒自利][상한자리] (0) | 2020.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