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痓有剛柔二證][치병에는 강치와 유치의 2가지 증상이 있다]
痓證 寒熱 類傷寒 但脈沈遲弦細 搖頭 露眼 噤口 手足搐搦 項强
背反張 如發癎 終日不醒 爲異因傷寒 發汗過多 或大發濕家汗 皆作痓,
風性勁 故爲剛痓而無汗, 濕性緩 故爲柔痓而有汗(入門).
치병 때에는 오한(惡寒)이 나고 열이 나는 것이 상한(傷寒)과 비슷하다.
맥이 침(沈), 지(遲), 현(弦), 세(細)하고 머리를 흔들며 눈알이 나오고
이를 악물며 손발이 오그라들고 목이 뻣뻣하며 잔등이 뒤로 잦혀지는 것은
전간(癲癎)이 발작하는 것과 같으나 하루종일 정신이 깨어나지 못하는 것이 전간과 다르다.
상한 때에 땀을 지나치게 내거나 습이 많은 사람이 땀을 지나치게 내면 다 치병이 생긴다.
풍(風)의 성질은 세기 때문에 강치(剛 )가 되고 땀이 나지 않으며
습(濕)의 성질은 늘어졌기 때문에 유치(柔 )가 되고 땀이 난다[입문].
無汗 爲剛痓, 有汗 爲柔痓.
땀이 나지 않는 것을 강치라고 하고 땀이 나는 것을 유치라고 한다[해장].
剛柔二痓 並可與小續命湯 柔痓 去麻黃, 有熱 減半桂枝, 冬月 去黃芩(海藏).
강치(剛 )와 유치(柔 ) 때에는 모두 소속명탕(처방은 위에 있다)을 쓰는데 유치 때에는
마황을 빼고 쓰고 열이 있으면 계지의 양을 절반으로 줄여 쓰며
겨울에는 속썩은풀(황금)을 빼고 쓴다[해장].
剛柔 不分 亦用 小續命湯 加生附子
강치와 유치 때에는 다 소속명탕에 생부자를 더 넣어 쓴다[입문].
剛柔二痓 通用九味羗活湯(入門).
강치와 유치 때에는 구미강활탕을 주로 쓴다[입문].
剛痓之病 胸滿 口噤 臥不着席 脚攣急 必齘齒 可與大承氣湯下之(仲景).
강치 때에는 가슴이 그득하고 이를 악물며
반듯하게 누워도 등뼈가 땅에 닿지 않고 다리가 가드라들며 이를 간다.
이때에는 대승기탕(大承氣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으로 설사시켜야 한다[중경].
'[雜病篇] > [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破傷風凶證][파상풍흉증] (0) | 2020.05.13 |
---|---|
[痓與癎相似而實不同 又不可作風治][치여간상사이실부동 우불가작풍치] (0) | 2020.05.13 |
[破傷風之治 同傷寒三法][파상풍지치 동상한삼법] (0) | 2020.05.13 |
[破傷風治法][파상풍치법] (0) | 2020.05.13 |
[破傷風脈][파상풍맥] (0) | 2020.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