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破傷風之治 同傷寒三法][파상풍지치 동상한삼법]
破傷風 有在表 在裏 在半表半裏 三者 之不同 故不離乎 汗 下 和 三法也(正傳).
파상풍은 표(表)에 있는 것, 이(裏)에 있는 것, 반표반리(半表半裏)에 있는 것 등 3가지가 있다. 그러므로 치료방법도 땀내는 방법, 설사시키는 방법, 화해시키는 방법

이 3가지 방법에서 벗어나지 않는다[정전].  
發汗過多 因致痓 身熱 足寒 項强頭搖 口噤 背反張者 太陽痓也

無汗 宜汗之 有汗 宜止之,

若頭低視下 手足牽引 肘膝相構者 陽明痓也,

若一目 或左右視 幷一手一足 搐搦者 少陽痓也(海藏).
지나치게 땀을 내면 치병이 된다. 몸에 열이 나고 발은 차며 목은 뻣뻣하고 머리가 흔들리며

이를 악물고 잔등이 뒤로 잦혀지는 것은 태양경(太陽經)에 속한 치병( 病)이다.

그러므로 이때에 땀이 나지 않으면 땀을 내고 땀이 나면 멎게 해야 한다.

만일 머리를 숙이고 아래만 보고 손발이 당기고 팔굽과 무릎이 비틀리는 것은

양명경(陽明經)에 속한 치병이다.

만일 한쪽 눈으로 혹 오른쪽만 보거나 왼쪽만을 보며 한쪽 손이나

한쪽 발에 경련이 일어 가드라드는 것은 소양경(少陽經)에 속한 치병이다[해장].
背後搐者 太陽也, 身前搐者 陽明也, 兩旁搐者 少陽也(河間).
경련이 일어 몸이 뒤로 잦혀지는 것은 태양경 치병이고 몸이 앞으로 가드라드는 것은

양명경 치병이며 몸이 양쪽 옆으로 가드라드는 것은 소양경 치병이다[하간].
河間曰 太陽 宜汗, 陽明 宜下, 少陽 宜和 若明此三法 而不中病者 未之有也(正傳).
하간(河間)은 “태양경병 때에는 땀을 내고 양명경병 때에는 설사시키며 소양경병 때에는

화해시켜야 한다”고 하였다.

만일 이 3가지 방법을 잘 알면 병에 맞게 치료할 수 있다[정전].
按 河間 只論三陽 而不論三陰者 盖傳入陰經 其證已危

若腹滿 自利 口燥 咽乾 舌卷 囊縮 皆無可生之理 故置而不論也(正傳).
하간이 3양(三陽)에 대해서만 말하고 3음(三陰)에 대하여 말하지 않은 것은

병이 음경으로 들어가면 그 증은 이미 위태해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만일 배가 그득해지고 설사하며 입과 목구멍이 마르고 혀가 말려들며

음낭이 졸아들면 다 살지 못하기 때문에 이것은 말하지 않았다[정전].
破傷風 在表 則以辛熱 發散之 宜防風湯 羗活防風湯 小續命湯 九味羗活湯,

在半表半裏 以辛凉和解之 宜羗麻湯 防風通聖散,

在裏 則以寒藥下之 宜小芎黃湯 大芎黃湯 左龍丸(河間).
파상풍이 표(表)에 있으면 맛이 맵고 성질이 더운 약으로 발산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방풍탕, 강활방풍탕, 소속명탕(小續命湯, 처방은 위에 있다),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처방은 상한문에 있다)을 쓴다.

그리고 병이 반표반리에 있으면 맛이 맵고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화해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강마탕, 방풍통성산(方風通聖散, 처방은 위에 있다)을 쓴다.

병이 이(裏)에 있으면 성질이 찬 약으로 설사시켜야 하는데

이때에는 소궁황탕, 대궁황탕, 좌룡환을 쓴다[하간].
破傷風 雖宜發汗 若自汗多 則宜用白朮湯 白朮防風湯.
파상풍 때에는 땀을 내는 것이 좋지만 저절로 땀이 많이 나오면 백출탕이나 백출방풍탕을 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