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取患門穴法][취환문혈법]
主少年陰陽俱虛 面黃體瘦 飮食無味 咳嗽 遺精 潮熱盜汗 心胸背引痛
五勞七傷等證 無不效. 先用蠟繩一條 以病人 男左女右 脚板從足大拇指頭齊量
起向後隨脚板 當心貼肉 直上至膝腕 大橫文中截斷,
次令病人 解髮勿分兩邊平身正立 取前繩子 從鼻端齊引繩 向上循頭縫下
腦後貼肉 隨脊骨垂下至繩盡處 以墨點記(此不是灸穴也)
別用稈心按於口上 兩頭至吻却鉤 起稈中心至鼻端根如
字樣齊兩吻截斷將此稈展直於先點墨處 取中橫量 勿令高下於稈心兩頭盡處
以墨記之 此是灸穴, 炒灸七壯 累灸至百壯 初只灸此二穴(入門).
젊은이가 음양이 다 허하여 얼굴이 누렇고 몸이 여위었으며 음식맛이 없고
기침이 나며 유정이 있고 조열과 식은땀이 나며 가슴과 잔등이 땅기는 것같이
아픈 것, 5로7상 등을 치료하는데 다 효과가 있다.
먼저 밀먹인 노끈 한 오리를 환자의(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엄지발가락
끝에 댄 다음 발바닥 가운데를 따라 뒤로 가서 발뒤꿈치를 거쳐 곧바로 올라가
무릎 뒤의 가로간 금까지 재서 끊는다.
다음에는 환자가 머리를 풀어 양쪽으로 가르게 하고 몸을 편안히 한 후 바
로 서서 끊어놓은 노끈의 한 끝을 코끝에 댄다.
다음에 곧바로 위로 올라가 정수리를 거쳐 머리 뒤로 내려가 노끈이 살에 붙게
하면서 등골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 노끈 끝이 닿는 곳에 먹으로 점을 찍는다
(이곳은 뜸뜨는 혈이 아니다).
다시 벼짚오리를 입 위에 대고 한 끝이 입귀에 닿게 하고 다시 벼짚오리를 구부려
반대쪽 입귀에 닿게 한 다음 나머지는 끊는다.
그 모양이 삼각형처럼 되게 한다.
이 벼짚오리를 곧게 펴서 절반 꺾어 가운데를 먼저 먹으로 점찍은 곳에 대고
수평으로 가로 재어 벼짚오리의 두 끝이 닿는 곳에 먹으로 점을 직는다.
이곳이 뜸뜨는 혈이다.
처음에는 7장을 뜨고 여러 번 떠서 100장까지 뜬다.
처음에는 이 두 혈만을 뜬다[입문].
[一法] 治虛勞 羸瘦 令病人平身正直 用草子 男左女右 自脚中指尖量過
脚心下向 上至曲䐐 大紋處切斷 却將此草 自鼻尖 量從頭正中(須分關頭心髮貼肉)
至脊 以草盡處 用墨點記 別用草一條 令病人 自然合口 量濶 狹切斷 却將
此炒於墨點上平摺兩頭盡處量穴 灸時隨年多灸 一壯(如年三十 灸三十一也)
累效(資生).
또 한 가지는 방법은 허로로 몹시 여윈 것을 치료하는데 환자가 몸을 편안히 하고
바로 선 다음 풀대로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 가운데 발바닥 밑을 지나 위로
무릎 뒤의 금까지 재서 끊고 다시 이 풀대로 코 끝에서 머리의 가운데
(반드시 머리칼을 양쪽으로 가르고 살에 붙여 잰다)를 따라 잔등에 내려가서
풀대의 끝이 닿는 곳에 먹으로 점을 찍는다.
그 다음 환자가 자연스럽게 입을 다물게 하고 입의 넓이를 풀대로 재서 끊는다.
이것을 먹으면 찍은 점 위에 한 끝을 대고 양옆으로 재어 끝이 닿는 곳이 혈이다.
뜸을 뜰 때에는 나이수보다 한 장 더 뜨면(가령 나이 30살이면 31장을 뜬다)
효과를 본다[자생].
此法 與上法 略同(類聚).
이 방법은 위의 방법과 대략 같은 것이다[유취].

'[鍼灸篇] > [鍼灸法]' 카테고리의 다른 글

[擇鍼灸吉日法][택침구길일법]   (0) 2018.06.19
[騎竹馬灸法][기죽마구법]   (0) 2018.06.18
[取四花穴法][취사화혈법]   (0) 2018.06.18
[取膏肓腧穴法][취고황유혈법]   (0) 2018.06.18
[奇穴][기혈]   (0) 2018.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