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雄鵲肉][웅작육 / 숫까치고기]

性寒(一云凉)味甘無毒

主 渴疾消結熱下

石淋治風大小腸澁宜用雄者[本草]
성질이 차고[寒](서늘하다[ ]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

소갈과 열이 몰린 것을 치료한다.
석림(石淋)을 낫게 하고 풍증과 대소변이 잘 나가지 않는 것도 치료하는데 수컷이 좋다[본초].
鳥之雌雄難別

舊云其翼左覆右是雄右覆左是雌

又燒作灰以石投中散解者是雄也

今云投石恐止是鵲餘鳥未必爾[本草]
새들은 수컷과 암컷을 갈라 보기 힘들다.
옛말에 날개가 왼편으로 덮인 것이 수컷이고 오른편으로 덮인 것이 암컷이라고 하였다.
또한 태워서 재를 내어 놓고 거기에 돌을 떨구어 보아 흩어지는 것이 수컷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까치에 한해서 하는 말이다.

다른 새는 반드시 그렇지 않다[본초].
又燒作灰納水中沈者是雄浮者是雌[本草]
또는 태워서 재를 내어 물 속에 넣었을 때 가라앉는 것이 수컷이고

뜨는 것이 암컷이라고도 한다[본초].
凡禽獸大者是雌小者是雄[本草]
새나 짐승은 큰 것이 암컷이고 작은 것이 수컷이다[본초].

'[湯液篇] > [禽部]' 카테고리의 다른 글

[練鵲][연작]   (0) 2019.03.02
[雄鵲巢][웅작소]   (0) 2019.03.02
[慈鴉目睛汁][자아목정즙]   (0) 2019.03.02
[慈鴉][자아]   (0) 2019.03.02
[烏鴉翅羽][오아시우]   (0) 2019.02.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