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當歸拈痛湯][당귀점통탕]
治濕熱脚氣腫痛.
羌活, 茵蔯 酒炒, 黃芩 酒炒, 甘草 灸 各一錢,
知母, 澤瀉, 赤茯苓, 猪苓, 白朮, 防己 各六分,
人蔘, 苦參, 升麻, 乾葛, 當歸, 蒼朮 各四分.
右剉作一貼, 水二盞浸藥少時, 煎至一盞, 空心臨臥, 各一服[寶鑑].
습열로 생긴 각기로 인하여 붓고 아픈 것을 치료한다.
강활, 인진(술에 축여 볶은 것), 황금(술에 축여 볶은 것), 감초(구운 것) 각 한 돈,
지모, 택사, 적복령, 저령, 백출, 방기 각 여섯 푼,
인삼, 고삼, 승마, 갈근, 당귀, 창출 각 너 푼.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 두 잔에 잠시 담가두었다가

한 잔이 되게 달여 자기 전 빈속에 한 번씩 먹는다(보감).
一相公領兵至南方, 怱得脚氣, 遍身微腫, 其痛手不可近, 足脛尤甚.
內經云, 飮發於中, 胕腫於下.
又云, 諸痛爲實.

血實宜決之, 以三稜鍼數刺腫上, 血突出高二尺餘, 漸漸如線, 其色黑紫, 頃時腫消痛減.

以當歸拈痛湯服之, 是夜得睡, 明日再服而愈[寶鑑].
어떤 상공이 군대를 거느리고 남쪽에 이르러 갑자기 각기병을 얻었다.
온몸이 약간 붓고 아파서 손도 대지 못할 정도였는데 발과 정강이가 더욱 심하였다.
내경에서 "수음(水飮)은 중초에서부터 나오는데 아래에서는 발등이 붓는다"고 하였다.
또 "모든 통증은 실증이다"라고 하였으며, 혈이 실하면 터주어야 한다고 하였으므로

삼릉침으로 부은 곳을 몇 번 찔렀다.
그러자 피가 두 자 남짓하게 솟아 나오다가 점차 실같이 가늘어졌는데 그 색이 검붉었다.
조금 지나자 부은 것이 내리고 통증도 줄어들었다.

당귀점통탕을 먹였더니 그날 밤에는 잠을 잘 수 있었다.
다음 날 다시 먹였더니 병이 나았다(보감).

'[處方箋] > [處方湯]'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當歸湯][당귀탕]  (0) 2019.01.15
[當歸地黃湯][당귀지황탕]   (0) 2019.01.15
[當歸芍藥湯][당귀작약탕]  (0) 2019.01.15
[當歸潤燥湯][당귀윤조탕]  (0) 2019.01.15
[當歸六黃湯][당귀육황탕]  (0) 2019.0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