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榮衛返魂湯][영위반혼탕]
治一切痰飮爲患專治 痰腫 又治癰疽 發背 流注腫毒
赤芍藥 木通 白芷 何首烏 枳殼 茴香 烏藥 當歸 甘草 各4g.
剉作一貼 酒水各半 煎服(醫林).
여러 가지 담음으로 생긴 병을 주로 치료하는데 특히 담종(痰腫)을 낫게 한다.
또한 옹저(癰疽), 등창[發背], 유주종독(流注腫毒)도 치료한다.
적작약, 목통, 구릿대(백지), 은조롱(하수오), 지각, 회향, 오약, 당귀,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 넣고 달여 먹는다[의림].
一名 [追風通氣散], [通順散], [何首烏散]
此方宜 與十宣散相間 用之 並加忍冬藤(入門).
일명 추풍통기산(追風通氣散)이라고도 하고
통순산(通順散) 또는 하수오산(何首烏散)이라고도 한다.
이 약은 십선산과 서로 엇바꾸어 가면서 쓰는 것이 좋은데
인동덩굴(인동등)을 더 넣어 써야 한다[입문].
凡氣血逆於肉理 令壅結爲癰疽,
此藥大能順氣勻血 自然榮衛通順 不生變證 尤合內疽(入門).
기혈이 제대로 돌지 못하고 살 속에 막혀 뭉쳐서 옹저가 생겼을 때
이 약을 쓰면 기가 잘 돌게 되고 혈이 고르롭게[順] 되므로
영위(榮衛)가 저절로 잘 돌게 된다.
그러므로 변증(變證)이 생기지 않게 된다.
내저(內疽)에 쓰면 더 좋다[입문].
虛 加附子, 實 加大黃, 痰盛 加南星 半夏,
腫毒堅硬不穿 加川芎 麻黃 葱白 全蝎 穿山甲, 流注 加獨活.
流注者 氣血凝滯 加獨活 則可以動一身血脈 血脈旣動 豈不有流注乎(入門).
허(虛)한 데는 부자(싸서 구운 것)를 더 넣고 실(實)한 데는
대황을 더 넣으며 담이 성한 데는 천남성과 끼무릇(반하)을 더 넣고
종독으로 뜬뜬해지기만 하고 터지지 않은 데는
궁궁이(천궁), 마황, 파밑(총백), 전갈, 천산갑을 더 넣으며
유주 때에는 따두릅을 더 넣는다.
유주란 기혈이 막혀서 생긴 것인데 따두릅을 더 넣어서 쓰면
온몸에 혈맥이 잘 통하게 된다.
혈맥(血脈)이 잘 통하면 어떻게 다시 유주가 생길 수 있겠는가[입문].
此藥治流注 癰疽 發背至於救壞病 活死肌弭丸於未萌之前拔根 於旣愈之後
大能順氣勻血 盖氣陽也 血陰也,

只調陽不和陰 則氣耗而凝肌 必不活,
如[五香連翹]之類 是也,

只和陰不調陽 則血旺 而氣弱 病必再作
如[內補十宣]之類 是也.

此藥兼之 眞神仙妙劑也(醫林).
이 약은 유주, 옹저, 등창을 치료하는데
심지어는 괴병(壞病)으로 위급하게 된 것도 살리며
궂은 살을 없애고 새살이 살아나게 하며 병이 생기기 전에 미리 막고
병이 나은 뒤에는 뿌리가 생기지 못하게 하며 기를 잘 돌게 하고
혈이 고르롭게 되게 한다.
기(氣)는 양(陽)이고 혈(血)은 음(陰)인데 단지 양만 고르롭게 되게 하고
음을 고르롭게 되게 하지 못하면 기가 소모되고 몰리므로
반드시 새살이 살아나지 못한다.

오향연교탕 같은 것이 그렇게 되게 하는 약이다.
단지 음만 고르롭게 되게 하고 양을 고르롭게 되게 하지 못하면
혈은 왕성해지고 기가 약해지므로 반드시 병이 도진다.
내보십선산 같은 것이 그렇게 되게 하는 약이다.
이 약은 음양, 기혈을 다 고르롭게 하는 작용을 겸한 참 좋은 처방이다[의림].

[加減何首烏散][가감하수오산]
治紫白癜風 及癧瘍風白䮕 癮疹 疥癬等疾
何首烏 蔓荊子 石菖蒲 荊芥穗 苦參 威靈仙 甘菊 枸杞子各等分
爲末 每12g 蜜茶調下(綱目).
자전풍, 백전풍, 역양풍, 백철, 은진, 옴, 버짐 등을 치료한다.
은조롱, 순비기열매(만형자), 석창포, 형개수,
너삼(고삼), 으아리(위령선), 단국화, 구기자 각각 같은 양.
위의 약들을 가루를 내어 한번에 12g씩 꿀을 둔 찻물에 타 먹는다[강목].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旱螺散][한라산]   (0) 2019.01.01
[下蟲散][하충산]  (0) 2019.01.01
[夏枯草散][하고초산]  (0) 2019.01.01
[河間生地黃散][하간생지황산]  (0) 2018.12.31
[必效散][필효산]  (0) 2018.12.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