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益黃散][익황산]
治脾藏虛冷, 腹痛泄利.
陳皮 一兩,
靑皮, 訶子肉, 甘草 炙 各五錢,
丁香 二錢.
右爲末. 每二錢或三錢, 水煎服, 或剉五錢作一貼亦可.
一名 [補脾散][海藏].
비장이 허하고 차서 배가 아프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진피 한 냥,
청피, 가자육, 감초(구운 것) 각 다섯 돈,
정향 두 돈.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 번에 두서 돈씩 물에 달여 먹는다.
이 약을 썰어 다섯 돈을 한 첩으로 써도 된다.
보비산이라고도 한다(해장).
[益黃散][익황산]
治脾臟虛冷 腹痛 泄利
陳皮40g,
靑皮, 訶子肉, 甘草灸 各20g,
丁香8g.
爲末 每8g 或12g 水煎服或剉20g 作一貼亦可
一名 [補脾散](海藏).
비장이 허랭(虛冷)하여 배가 아프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한다.
귤껍질(橘皮) 40g,
선귤껍질(청피), 가자육, 감초(닦은 것) 각각 20g,
정향 8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한번에 8g 또는 12g씩 물에 달여 먹는다.
썰어서 20g을 1첩으로 하는 것도 좋다.
이것을 보비산(補脾散)이라고도 한다[해장].
[益黃散][익황산]
治慢驚風
黃芪8g
人參 陳皮各4g,
白芍藥3g
生甘草 灸甘草 各2g
白茯苓1.5g
黃連1g 粗末 水煎 時時服.
一名 [黃芪益黃散] 凡驚兒 瀉靑色 大禁 凉驚丸.
盖風木旺 必剋脾土 當先實其土 後瀉其木也.
當於心經 中以甘溫 補土之源 更於脾土中瀉火
以甘寒補金 以酸凉 使脾土中金旺火衰則風木自虛矣(東垣).
만경풍을 치료한다.
단너삼(황기) 8g,
인삼, 귤껍질(陳皮) 각각 4g,
집함박꽃뿌리(백작약) 2.8g,
감초(생것), 감초(닦은 것) 각각 2g,
흰솔풍령(백복령) 1.6g,
황련 0.8g.
위의 약들을 거칠게 가루내어 물에 달여 수시로 먹인다.
일명 황기익황산(黃 益黃散)이라고도 한다.
대개 경풍으로 푸른 빛의 설사를 하는 어린이에게는 양경환(凉驚丸)을 쓰지 못한다.
풍목(風木)이 왕성하면 반드시 비토(脾土)를 억누르므로
반드시 먼저 비토를 실(實)하게 하고 그 뒤에 간목(肝木)을 사(瀉)한다.
심경(心經) 약 가운데서 달고 성질이 따뜻한 약으로 토(土)의 근원을 보하고
다시 비토약 가운데서 달고 성질이 찬약으로 화(火)를 내리며 시고
성질이 서늘한 약으로 금(金)을 보해서 비토 가운데서 금을 왕성하게 하고
화를 쇠약하게 하면 풍목(風木)이 저절로 없어지게 된다[동원].
'[處方箋] > [處方散]' 카테고리의 다른 글
[補損當歸散][보손당귀산] (0) | 2018.12.22 |
---|---|
[保生救苦散][보생구고산] (0) | 2018.12.22 |
[保命生地黃散][보명생지황산] (0) | 2018.12.22 |
[保命散][보명산] (0) | 2018.12.22 |
[補肝散][보간산] (0) | 2018.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