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陽煉秋石丹][양련추석단]
治虛勞 諸般冷疾 久年腎虛勞損 久服壯陽起痿 臍下如火
此藥能洞入骨髓 壯陽補陰 眞還元 衛生之寶也.
故 一名, [元陽秋石丹] [還元丹] 製法 詳見 雜方.
每取30丸 空心 以溫酒呑下(得效).
허로로 생긴 여러 가지 냉병과 오래된 신허(腎虛)와 노손(勞損)을 치료한다.
오랫동안 먹으면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경을 일어나게 하며
배꼽아래가 몹시 더워진다.
이 약은 골수에 들어가서 양기를 든든하게 하고 음을 보하며
원기를 잘 회복시키므로 생명을 구원하는 데 귀중한 약이다.
때문에 일명 원양추석단 또는 환원단(만드는 방법은 잡방에 있다)이라고도 한다.
한번에 3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득효].
[還元丹][환원단]
治內傷虛損 安五藏 消百病 實精髓 固元氣 大能令瘦者
肥黃犍牛肉 勿拘多少 去筋膜 切作棊子 大河水洗 數遍 仍浸一宿
再洗數遍 水淸爲度 用好酒 同入磁缸內 油紙封口 用桑柴火煮一晝夜
取出 焙乾爲末 其色如黃沙 爲佳 焦黑不可用 每肉末300g
入後藥(蓮肉 山藥並葱塩同炒去葱塩 白茯苓 茴香微炒並爲末各150g)
和勻 用煮棗肉硏爲膏 加好酒 入前藥末 搜和擣 作丸梧子大 晒
乾透空心溫酒 下50~70丸 初則日進3服 久則止進1服 和劑勿用
麪糊米飮之類 其藥不靈(活人心).
一名, [返本丸](丹心).
내상(內傷)으로 허손된 것을 치료한다.
5장(五藏)을 편안하게 하고 온갖 병을 없애며 정수(精髓)를 충실하게 하고
원기(元氣)를 도우며 여윈 사람은 아주 살찌게 한다.
불깐 누른 소의 고기(黃 牛肉, 힘줄과 막을 버린 것,
적당한 양을 바둑돌만하게 썰어서 강물에 여러 번 씻는다.
이것을 하룻밤 그 물에 담갔다가 물이 맑아질 때까지 다시 여러 번 씻어서
좋은 술과 같이 사기그릇에 넣고 기름종이로 아가리를 꼭 봉한 다음
뽕나무불에 하루동안 달여 꺼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다.
이것을 가루낸다.
그 빛이 노란 모래와 같으면 좋고 검은 빛이 나면 쓰지 않는다.
한번에 고기가루 300g에 아래의 약을 600g의 비례로 넣는다,
연밥(연육), 마(산약, 이 2가지를 파, 소금과 같이 닦은 다음 파와 소금은 버린다),
흰솔풍령(백복령), 회향(약간 닦은 것) 모두 가루를 낸 것 각각 160g.
위의 약들을 고루 섞는다.
먼저 찐 대추살을 짓찧어 고약처럼 만든 다음 좋은 술을 넣는다.
여기에 앞의 약가루와 고기가루를 넣고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햇볕에 말린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로 빈속에 먹는다.
처음에는 하루 세번씩 먹고 퍽 지나서부터는 한번씩 먹는다.
반죽할 때 밀가루풀( 糊)과 미음을 쓰지 말아야 한다.
그것은 약효가 좋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활인심].
일명 반본환(返本丸)이라고도 한다[단심].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禦風丹][어풍단] (0) | 2018.11.10 |
---|---|
[養胃丹][양위단] (0) | 2018.11.10 |
[十全丹][십전단] (0) | 2018.11.01 |
[神效奪命丹][신효탈명단] (0) | 2018.11.01 |
[神效乳珠丹][신효유주단] (0) | 2018.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