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七製香附丸][칠제향부환]
治.月候不調,結成癥瘕,或骨蒸發熱,
香附米525g. 分7包. 1包,
同當歸75g, 酒浸, 2包,
同蓬朮75g, 童便浸. 3包,
同牧丹皮, 艾葉各37.5g, 米泔浸. 4包,
同烏藥75g, 米泔浸. 5包,
同川芎, 玄胡索各37.5g, 水浸. 6包,
同三稜, 柴胡各37.5g, 醋浸. 7包,
同紅 花 烏梅各37.5g 塩水浸.
各浸, 春5 夏3 秋7 冬10日 晒乾 只取香附
爲末 以浸藥水 打糊和 丸梧子大 臨臥 酒下80丸(入門)
월경이 고르롭지 못하고[不調] 징가가 생겨 혹 뼈가 찌는 것[蒸發]같이 다는[熱] 것을 치료한다.
향부자(썰은 것) 560g을 7몫으로 나눈다.
첫번째 몫은 당귀 80g과 같이 술에 담근다.
두번째 몫은 봉출 80g과 같이 동변(童便)에 담근다.
세번째 몫은 모란껍질(목단피), 약쑥잎(애엽) 각각 40g과 같이 쌀 씻은 물에 담근다.
네번째 몫은 오약 80g과 같이 쌀 씻은 물에 담근다.
다섯번째 몫은 궁궁이(천궁), 현호색 각각 40g과 같이 물에 담근다.
여섯번째 몫은 삼릉, 시호 각각 40g과 같이 식초에 담근다.
일곱번째 몫은 잇꽃(홍화), 오매 각각 40g과 같이 소금물에 담근다.
위의 약들을 각각 봄에는 5일 동안, 여름에는 3일 동안,
가을에는 7일 동안, 겨울에는 10일 동안씩 담가 두었다가
햇볕에 말려서 향부자만 가루를 내어 약을 담가 두었던
물에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0알씩 잠잘 무렵에 술로 먹는다[입문].
'[雜病篇] > [婦人單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男子精冷無子 ][치남자정냉무자] (0) | 2021.08.18 |
---|---|
[四物湯][사물탕] (0) | 2021.08.15 |
[通經四物湯][통경사물탕] (0) | 2021.08.13 |
[淸熱調血湯][청열조혈탕] (0) | 2021.08.11 |
[千金調經湯][천금조경탕] (0) | 2021.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