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味消毒飮][가미소독음]
治搭腮腫.
荊芥, 防風, 惡實, 甘草, 連翹, 羌活 各一錢.
右剉作一貼, 水煎服[醫林].
탑시종을 치료한다.
형개, 방풍, 우방자, 감초, 연교, 강활 각 한 돈.
위의 약들을 썰어 한 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 먹는다(의림).
醫鑑, 一名[驅風解毒散].
고금의감에서는 구풍해독산이라고 하였다.
一人, 頭項偏腫連一目, 若半壺, 其脈洪大.
戴人曰, 內經云, 面腫者風. 此風乘陽明經也.
氣血俱多, 風腫宜汗. 先與通聖散, 去硝黃, 入薑葱豉, 同煎服, 微汗.
以草莖, 刺鼻中出血, 其腫, 立消[子和].
어떤 사람이 머리와 뒷덜미 한쪽이 붓고 한쪽 눈까지 부었는데
모양이 쪼갠 박 같았고 맥은 홍대(洪大)하였다.
장종정은 내경에서 얼굴이 붓는 것은 풍이라고 하였다.
이것은 풍이 양명경을 타고 들어온 것이다.
양명경은 기와 혈이 모두 많으므로 풍으로 부은 데는 땀을 내야 한다. 고 하였다.
먼저 통성산(망초와 대황을 빼고 생강, 총백, 두시를 넣은 것)을 달여 먹은 후

땀을 조금 낸 다음 풀줄기로 코를 찔러서 피를 내니 부은 것이 바로 없어졌다(자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