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益壽固眞丹][익수고진단]
塡精補血 益氣養神 返老還童 延年益壽 中年以後 最宜常服
兎絲子酒浸煮焙擣作末120g
熟地黃酒蒸下篩 生乾地黃酒浸焙 磁石火煆醋淬9次硏水飛
何首烏泔浸一宿切作片 黑豆汁拌蒸晒乾 肉蓯蓉酒浸去鱗甲蒸取肉 各80g
天門冬去心 麥門冬去心 山藥微炒 當歸酒洗焙 白茯苓水飛 澤瀉酒蒸 牧丹皮 各60g
人參 芡仁 山茱萸酒浸取肉 石斛酒洗焙 覆盆子酒洗焙 枸杞子酒洗焙
五味子酒洗焙 蛇床子炒挼去皮 杜冲去皮剉薑汁炒去絲 巴戟塩水煮去骨
鹿茸燎去皮 韭子炒 赤石脂水飛 益智去皮塩水煮一沸 蓮花蘂 破故紙炒
栢子仁去皮 靑塩天雄童尿浸3日炮去皮臍 陽起石火煆 各40g
膃肭臍酥灸黃色(無則黃狗陰莖3箇或5箇酥灸黃色代用).
並不犯鐵 擣爲細末 糯米粉和 淸酒 煮爲糊和 勻擣千杵作丸 如梧子大
每取8g或12g 空心以溫酒或塩湯 或米飮呑下
夏月 去天雄 代黃栢.
忌食 葱 蒜 蘿葍及醋 酒 色亦宜節(新方).
정을 보충하고 기혈을 보하며 정신을 맑게 하고 늙은이를 젊어지게 하며 오래 살게 한다.

중년 이후에 늘 먹으면 아주 좋다.
새삼씨(토사자, 술에 담갔다가 달인 다음 약한 불기운에 말리어 가루를 낸 것) 120g,
찐지황(숙지황, 술로 축여 찐 것),

생건지황(술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자석(불에 달구어 식초에 담그기를 아홉번 한 다음 가루를 내어 수비한 것),

하수오(쌀 씻은 물에 하룻밤 담갔다가 저며서 검정콩 달인 물로 버무려 찐 다음 햇볕에 말린 것),

육종용(술에 담갔다가 껍질을 벗겨 버리고 쪄서 살을 쓴다) 각각 80g,
천문동(심을 버린 것), 맥문동(심을 버린 것), 마(산약, 약간 닦은 것),

당귀(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흰솔풍령(백복령, 수비한 것),

택사(술로 축여 찐 것), 모란뿌리껍질(목단피) 각각 60g,
인삼, 가시연밥(검인), 산수유(술에 담갔다가 살을 쓴다),

석곡(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복분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구기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오미자(술로 씻어서 약한 불기운에 말린 것),

뱀도랏열매(사상자, 닦아서 두드려 껍질을 버린 것),

두충(겉껍질을 버리고 썰어서 생강즙으로 축여 볶아 실을 버린 것),

파극(소금물에 달여 심을 버린 것),

녹용(구워서 솜털을 없앤다),

부추씨(닦은 것), 적석지(수비한 것),

익지인(껍질을 버리고 소금물을 두고 한번 끓어 오르게 한 것),

연화예, 파고지(닦은 것), 측백씨(백자인, 껍질을 버린 것), 돌소금,

천웅(동변에 3일 동안 담갔다가 싸서 구운 다음 껍질과 배꼽을 버린 것),

양기석(불에 달군 것) 각각 40g,
올눌제(졸인 젖을 발라 누른 빛이 나게 구운 것) 1개

(없으면 졸인 젖을 발라 누른빛이 나게 구운 누른개의 음경 3-5개를 대신 쓴다).
위의 약(다 쇠절구로 찧지 않는다)들을 보드랍게 가루를 내어

찹쌀가루를 술에 두고 쑨 풀로 반죽한 다음 잘 짓찧어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8-12g씩 데운 술인 소금 끓인 물이나 미음으로 빈속에 먹는다.
여름에는 천웅을 빼고 황백을 대신 넣는다.
파, 마늘, 무 및 식초 등을 먹는 것과 주색을 금해야 한다[신방].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引神歸舍丹][인신귀사단]   (0) 2018.11.29
[人參化癭丹][인삼화영단]   (0) 2018.11.29
[二神交濟丹][이신교제단]  (0) 2018.11.29
[二參丹][이삼단]   (0) 2018.11.29
[二豆回香丹][이두회향단]  (0) 2018.11.2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