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味小胃丹][가미소위단]
治風痰痞積, 眩暈喉痺, 癱瘓不語, 腹中痞塊等證, 神效.
小胃丹一劑 方見下,
加南星, 半夏 並用白礬皂角薑汁水煮十五次 各二兩半,
蒼朮 用米泔白礬皂角水浸一宿炒 二兩,
桃仁, 杏仁並以白礬皂角水泡去尖, 紅花 酒蒸, 陳皮,
枳實 並用白礬水泡半日炒, 白朮, 白芥子 炒 各一兩.
右爲末, 薑汁竹瀝煮神麴爲糊和丸, 菉豆大. 每服二三十丸. 薑湯下[入門].
풍담과 비적, 어지러운 것과 후비(喉痺), 반신불수와 말을 하지 못하는 것,
뱃속이 더부룩하고 덩어리가 있는 것 등을 치료하는데, 좋은 효과가 있다.
소위단(처방은 뒤에 있다) 한 제,
남성과 반하
(남성과 반하 모두 백반,조각자,생강즙을 넣고 물에 열다섯 차례 달인 것) 각 두 냥 반,
창출(쌀뜨물에 백반, 조각을 넣고 달여 하룻밤 동안 담갔다가 볶은 것) 두 냥,
도인과 행인(도인과 행인 모두 백반, 조각 달인 물에 담갔다가 뽀족한 끝을 버린 것),
홍화(술에 찐 것),
진피와 지실(진피와 지실 모두 백반 달인 물에 한나절 동안 담갔다가 볶은 것),
백출, 백개자(볶은 것) 각 한 냥.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생강즙과 죽력을 달여 신곡을 넣고 쑨 풀로 녹두대의 알약을 만들어,
스물에서 서른 알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입문).
醫鑑, 一名[導痰小胃丹].
回春, 一名[竹瀝化痰丸].
고금의감에서는 도담소위단이라고 하였다.
회춘에서는 죽력화담환이라고 하였다.
'[處方箋] > [處方丹]' 카테고리의 다른 글
[袪風至寶丹][거풍지보단] (0) | 2018.10.17 |
---|---|
[却老烏鬚健陽丹][각노오수건양단] (0) | 2018.10.17 |
[加減鎭心丹][가감진심단] (0) | 2018.10.17 |
[却老烏髮健陽丹][각노오발건양단] (0) | 2018.10.17 |
[結陰丹][결음단] (0) | 2018.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