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釀乳方][양유방]
治胎熱
澤瀉8g 生地黃6g
猪苓 赤茯苓 茵蔯 天花粉 甘草 各4g
剉作一貼 乳母 食後煎服(丹心).
태열(胎熱)을 치료한다.
택사 8g, 생지황 6g,
저령, 벌건솔풍령(적복령), 더위지기(인진), 하늘타리뿌리(천화분), 감초 각각 4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유모가 끼니 뒤에 달여 먹는다[단심].
[養乳方][양유방]
治慢驚風
人參 木香 藿香 沈香 陳皮 神麴 麥芽各4g 丁香2g
剉作一貼 入薑五片 紫蘇五葉 薑三枚 同煎
乳母食後 須去乳汁盡 方取服之 卽仰臥霎時
次令兒吮數口 不可過飽
如嘔定急 宜截風 服八仙散 兩日後 宜醒脾散 此良法也.
如此調理 無不愈者(湯氏).
만경풍을 치료한다.
인삼, 목향, 곽향, 침향, 귤껍질(陳皮), 약누룩(신국), 보리길금(맥아) 각각 4g,
정향 2g.
위의 약들을 썰어서 1첩으로 하여 생강 5쪽,
차조기잎(자소엽) 5잎, 대추 3알과 함께 달여
유모가 밥을 먹은 뒤에 젖을 다 짜버리고
이 약을 먹은 다음 한참 반듯이 누워 있다가
젖먹이에게 젖을 두어 모금 빨게 한다.
너무 지나치게 배불리 먹여서는 안 된다.
구역이 멎으면 빨리 풍을 없애야 하므로 팔선산(八仙散)을 먹이고
2일 후에 성비산(醒脾散)을 먹이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잘 조리하면 낫지 않는 것이 없다[탕씨].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生犀散][생서산] (0) | 2023.03.09 |
---|---|
[地仙散][지선산] (0) | 2023.03.09 |
[生地黃湯][생지황탕] (0) | 2023.03.08 |
[梨漿飮][이장음] (0) | 2023.03.08 |
[甘露飮][감로음]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