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六味地黃丸][육미지황환]
治 腎水不足 陰虛
熟地黃八兩
山藥, 山茱萸 各四兩
澤瀉, 牧丹皮, 白茯巔 各三兩
右爲末 蜜丸 梧子大 溫酒 鹽湯 空心呑下五七十丸[正傳]
신수(腎水)가 부족하고 음이 허한 것을 치료한다.
찐지황(숙지황) 320g,
마(서여), 산수유 각각 160g,
택사, 모란껍질(목단피), 흰솔풍령(백복령) 각각 120g.
위의 약들을 가루내어 꿀에 반죽하여 벽오동씨만하게 알약을 만든다.
한번에 50-7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물로 빈속에 먹는다[정전].
血虛陰衰 熟地黃 爲君
精滑 山茱萸 爲君
小便 或多或少 或赤或白 茯巔 爲君
小便 淋澁 澤瀉 爲君
心氣 不足 牡丹皮 爲君
皮膚乾澁 山藥 爲君[綱目]
혈이 허하고 음(陰)이 부족한 데는 찐지황(숙지황)을 주약[君]으로 하고
정액이 절로 나오는 데는 산수유를 주약으로 하며
오줌이 혹 많거나 적거나 벌겋거나 뿌연 데는 솔풍령(복령)을 주약으로 하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 데는 택사를 주약으로 하고
심기가 부족한 데는 모란껍질(목단피)을 주약으로 하며
피부가 말라 깔깔하고 윤기가 없는 데는 마(서여)를 주약으로 해야 한다[강목].
[六味地黃元加味][육미지황원가미]
治腎水不足 陰虛.
一小兒五歲 不能言咸 而爲廢人 用六味地黃元方見虛勞加五味子
鹿茸 及補中益氣湯方見內傷 將半年始發一二言 至一年 始言語如常(回春).
小兒鶴膝者 由稟受不足 血氣不充 故肌肉瘦瘠 骨節呈露 如瘧之膝 乃腎虛得之
宜六味地黃元加當歸 牛膝 鹿茸 久服仍以大南星炮 爲末 醋調 烘熱 貼之 甚良(回春).
'[雜病篇] > [小兒處方]' 카테고리의 다른 글
[寒水石散][한수석산] (0) | 2023.03.07 |
---|---|
[通心飮][통심음] (2) | 2023.03.07 |
[瀉肺散][사폐산] (0) | 2023.03.06 |
[瀉白散][사백산] (0) | 2023.03.06 |
[瀉脾散][사비산] (0) | 2023.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