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疱瘡][천포창]
一名 楊梅瘡 與癩大同 多由肝脾腎 風濕熱之毒 因男女房室傳染
形如楊梅 焮紅濕爛痒痛者 屬心 多生乳脇
形如鼓釘黃豆者 屬脾 多生滿面.
形如棉花者 屬肺 多生毛髮
形如紫葡萄 按之緊痛者 屬肺腎 多叢生於尻臀 兩陰筋骨之處.
形如魚疱內 多白水 按之不緊者 謂之 天疱瘡 乃此類之 輕者(入門).
일명 양매창(楊梅瘡)이라고도 하는데 대체로 문둥병과 비슷하다.
이것은 간(肝), 비(脾), 신(腎)에 풍(風), 습(濕), 열독(熱毒)이 있어서 생기는데
성생활을 통해서 전염된다.
헌데의 모양은 양매(陽梅) 같은데 화끈화끈 달고 벌겋게 되며
진물이 흐르면서 가렵고 아프다.
이 병은 심(心)에 속하는데 젖가슴이나 옆구리에 많이 생긴다.
헌데의 모양이 북에 돌려 박은 못이나 노란 콩 같은 것은
비(脾)에 속하는데 얼굴에 많이 생긴다.
헌데의 모양이 목화꽃 같은 것은 폐에 속하는데 머리털이 있는 데 많이 생긴다.
헌데의 모양이 자줏빛 포도알 같은데 누르면 조여드는 것 같으면서 아픈 것은
간(肝)과 신(腎)에 속한다.
이것은 엉덩이나 사타구니에 많이 생긴다.
헌데의 모양이 물고기 부레 같으면서 속에 허연물이 많고
손으로 눌러보아도 뜬뜬하지 않는 것도 천포창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천포창의 경(輕)한 증상이다[입문].
初起 卽服防風通聖散方見風門 見上
大風瘡一貼 去麻黃 以去內毒再用一貼 去硝黃 發汗以去外毒.
以後用加減通聖散·丸 多服之 此方 爲首尾要藥.
輕者一劑 重者 十貼後 宜服化毒散3日 却用吹藥3日
瘡乾欲落 再服 化毒散 3日後 量用通聖散加減(入門).
천포창의 초기에는 곧 방풍통성산을 쓰되 마황을 빼고 1첩을 먹어서 속에 있는 독을 없애고
그 다음 대황과 망초를 빼고 1첩을 먹고 땀을 내서 겉에 있는 독을 헤쳐버려야 한다.
그 다음 가감통성산이나 가감통성환을 많이 먹어야 한다.
이 약은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중요한 약으로 쓴다.
경하면 1첩을 먹고 중하면 10첩을 먹은 다음 화독산을 3일 동안 먹어야 한다.
그 다음 취약을 3일 동안 쓰면 헌데가 말라 딱지가 떨어지려고 한다.
이 때에 화독산을 또 3일 동안 먹은 다음 통성산을 적당히 가감하여 먹으면 좋다[입문].
失治久則 風毒流入經絡而成頑癬
或氣血虛敗而成漏 或五服水銀 輕粉而風堆腫爛 流膿出汁 病至於此
治之爲難 亦有 蝕傷眼鼻 腐爛玉莖 拳攣肢體 與癩無異(入門).
제때에 치료하지 않고 오랫동안 있으면 풍독이 경락으로 들어가므로
완선(頑癬)이 생기거나 기혈(氣血)이 허(虛)해져 누공(漏孔)이 생긴다.
혹 수은이나 경분같은 약을 잘못 먹으면 풍사가 몰려 붓고 진물면서 고름이 흐른다.
이렇게 되면 치료하기 어렵다.
또한 눈과 코가 상하고 음경이 썩어 진물며 손이 가드라들고[攣]
팔다리와 몸이 문둥병과 다름이 없이 된다[입문].
初起 宜服消風敗毒散 加減通聖散 加減通聖丸.
從肚皮起者 裏熱發於外 速服防風通聖散.
초기에 소풍패독산, 가감통성산, 가감통성환 등 약을 먹으면 좋다.
뱃가죽에서부터 병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속에 열이 겉으로 나오는 것이다.
이런 데는 방풍통성산(처방은 풍문에 있다)을 먹는다.
成頑癬者 宜皂根丸.
완선(頑癬)에는 조근환이 좋다.
成腫塊者 宜仙遺粮丸 西聖復煎丸 消腫遺粮湯.
붓고 멍울이 생긴 데는 선유량환, 서성부전환, 소종유량탕이 좋다.
筋骨痛 宜香鰾湯 通仙五寶丹 仙遺粮湯 換骨散 回生保命丹 茯苓湯.
힘줄과 뼈가 아픈 데는 향표탕, 통성오보단, 선유량탕, 환골산, 회생보명단, 복령탕이 좋다.
成漏 宜象牙丸.
누공이 생긴 데는 상아환이 좋다.
通治 宜用活魂丹 水硃丸 六六丸 天疱丸 三黃敗毒散 取輕粉法.
활혼단, 수주환, 육륙환, 천포환, 삼황패독산과 경분독을 빼내는 법 등을 두루 쓴다.
外治 宜洗方 撘方 熏鼻方 吹藥方 照藥方 滅瘢法 禁忌法 鵝掌癬治方.
겉으로 치료하는 방법은 씻는 약처방, 코에 쏘이는 약 처방, 취약방, 조약방,
흠집을 없애는 약처방, 금기법, 아장선 치료법 등이 있다.